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001 2210080201245
005 20050831000000
008 940704s1993 ulk 000af kor
020 a8977211018
040 a221008
041 akorcita
100 a칼비노,이탈로d1923-1985
245 00 a반쪼가리 자작/d이탈로 칼비노 지음;e이현경 옮김. -
260 a서울:b꿈이있는집,c1993. -
300 a189p.;c23cm. -
600 a이탈리아소설
600 a철학동화
700 1 a이현경,e옮김
950 aFB
950 b₩4,800
반쪼가리 자작
Material type
단행본 동양서
Title
반쪼가리 자작
Author's Name
이현경 옮김
Publication
서울: 꿈이있는집 1993. -
Physical Description
189p; 23cm. -
ISBN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83 칼49반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427281
Call no.
883 칼49반
Location Mark
Location
자연대보존서고Ⅱ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427284
Call no.
883 칼49반 =4
Location Mark
Location
의학도서분관 보존서고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427285
Call no.
883 칼49반 =5
Location Mark
Location
의학도서분관 보존서고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칼비노,이탈로
이재민
2020-06-27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은 아직까지 다루어지는 이야기이다. 인간은 선할까? 악할까? 나는 그 물음에 대한 답을 왕충의 ‘성선악혼설’을 통해 답하고 싶다. 인간은 선과 악이 혼재된 존재이며, 경우에 따라 선하고 악한 존재이다.  그러나 여기 이탈로 칼비노의 <반쪼가리 자작>에서는 혼재되어있어야 할 선과 악이 완전히 분리가 되어 등장한다.   대략적인 줄거리는 이렇다. 메다르도 자작은 전쟁에서 포탄을 맞아 정확히 몸의 반만 남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깔끔하게 남은 반쪽을 미치광이 의사들은 신기해하며 기어코 살려낸다. 이 반쪽이 절대악이다. 이 반쪽은 마을로 돌아가자 말자 폭군이 된다. 마을에 불을 지르고 사람들을 사형시키며 생명체들을 반으로 찢어 죽인다. 하지만 자작의 나머지 반쪽 또한 없어진 것이 아니었다. 이 반쪽은 교인(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는데 선인의 부류였다.)들에게 치료를 받아 절대선의 존재가 된다. 이 선한 반쪽이 마을로 돌아오자. 폭정을 견디지 못한 많은 사람들은 그의 선의에 감동하게 된다. 그러나 사람들은 절대선의 불편함을 깨달고 거부하게 된다. 그 결과 어느 쪽이든 반쪼가리는 환영을 받지 못한다. 그러다가 자작이 다시 하나가 되자 인간성을 되찾고 마을을 잘 통치하게 된다.  이탈로 칼비노의 소설은 흔히 동화 같다고 한다. 하지만 어른들을 위한 동화이다. 단순한 동화였다면 절대선이 등장 했을 때, 권선징악의 구조로 소설이 끝났어야만 했다. 하지만 꼭 그렇게 되지는 않았다. 사람들은 절대선을 칭송하다가 결국 두 가지 모두를 거부하게 된다.  우리도 악인보다 선인을, 악행보다 선행을 선호하다. 경우에 따라 악행은 선행으로 변모되기도 한다. 선과 악의 경계는 생각보다 모호하다.   그래서 인간에게 있어서 선과 악은 이분할 수 없는 것이다. 이것이 이분되는 순간 인간은 불완전한 존재가 된다. 이 불완전한 존재는 모든 선택지가 절반이 된다. 선해야만 하는 순간에 악함만 택해야 하고 악해야만 하는 순간에 선함만을 택할 수밖에 없게 된다. 인간은 상황과 조건에 따라 이것을 선택할 수 있어야 완전하다.  완전하지 못했기에 본인들과 달랐기에 마을 사람들은 반쪼가리들을 거부했다. 그리고 이것이 하나가 된 순간 소설은 해피엔딩으로 마무리 된다.  작가는 무엇을 말하고자 했을까? 선과 악 중 무엇이 우월한지? 아니다. 작가는 ‘인간의 다면성’에 대해 초점을 두었다.  사람들은 종종 인간의 다면성을 비난한다. 하지만 인간은 선과 악을 모두 갖추어야 완전한 존재임을, 그래야만 완전한 인간이 될 수 있음을 알았으면 한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