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c
001 2210080912983
005 20240215154508
007 ta
008 221004s2022 ggk 000af kor
020 a9788936438838g03810 :c\15000
040 a221008
056 a813.725
245 00 a아버지의 해방일지 :b정지아 장편소설 /d정지아 지음
260 a파주 :b창비,c2022
300 a268 p. ;c19 cm
700 1 a정지아,e지음
950 0 b\15000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장편소설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아버지의 해방일지 :정지아 장편소설
Author's Name
정지아 지음
Publication
파주 : 창비 2022
Physical Description
268 p ; 19 cm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13.7 정78아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405474
Call no.
813.7 정78아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405475
Call no.
813.7 정78아 =2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408261
Call no.
813.7 정78아 =3
Location Mark
Location
법학도서분관(부민)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421390
Call no.
813.7 정78아 =4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421391
Call no.
813.7 정78아 =5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정지아
노규빈
2024-07-17
“먹지도 못할 맹감이나 들국화를 꺾을 때 아버지는 무슨 생각을 했을까? 뼛속까지 사회주의자인 아버지도 그것들을 보고 있노라면 바위처럼 굳건한 마음 한가닥이 말랑말랑 녹아들어 오래전의 풋사랑 같은 것이 흘러넘쳤을지 모른다는 데 생각이 미치자 아버지 숨이 끊기고 처음으로 핑 눈물이 돌았다. 사회주의자 아닌 아버지를 나는 알지 못한다.”  아버지의 해방일지는 주인공의 아버지 장례식에서부터 이야기가 시작된다. 조문객들을 만나며 사회주의자의 아버지가 아닌 또 다른 아버지를 마주하게 된다. 그리고 비로소 아버지를 이해하게 된다. 주인공 아리는 평생을 빨치산의 딸로 살았다. 어릴 적부터 주인공 아리는 아버지에 대해 이해 가지 않는 부분이 많았다. 빨치산의 딸로 살면서 가진 설움이나 울분도 분명 존재했다. 그러나 아버지의 죽음을 맞이한 후 비로소 아버지를 이해하게 되었다.  아리의 깨달음처럼 인간은 원래 다 그런가 보다. 존재할 때는 모르나 보다. 사람들과 부대껴 산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각자의 사정이 얽히고설켜 끊임없이 자기 자신을 증명하는 과정일까. 그렇다면 아리는 빨치산의 딸로서만 자신을 바라본 게 아닐까. 어쩌면 아버지까지도 사회주의자로만 보았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아쉽게도 인간은 그렇게 단편적이지 못 하다. “아버지는 혁명가였고 빨치산의 동지였지만 그전에 자식이고, 형제였으며, 남자이고 연인이었다. 그리고 어머니의 남편이고 나의 아버지였으며, 친구이고 이웃이었다.”  나 역시 주인공 아리처럼 단편적인 모습만 보고 사람을 판단하고 오만하게 행동했던 적이 있다. 아리가 본 작은아버지처럼… 아버지처럼… 나는 누군가의 모습들을 몇 개나 보았을까. 아리처럼 생각해 보게된다. 아직 마주해보지 않은 나의 여러 모습들을 마주할 수 있게 되는 책이었다.  우리가 경험한 시대는 아니지만 충분히 공감하고 깊이 빠져들면서 읽을 수 있었던 책이다. 가장 가까이서 들여다보고 있는 게 가족이지만 모르는 면들이 수두룩하다. 나를 둘러싼 관계들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게 되는 책이다. 미처 몰랐던 내 앞에 있는 여러 손들에 대한 생각을 하게끔 해준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