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c
001 2210080864988
005 20250526115950
007 ta
008 190521s2019 ulk 000cf kor
020 a9788937434488g03830 :c\15000
035 a(KERIS)BIB000014571662
040 a211031c211031d211031d221008
041 akorhjpn
056 a833.625
245 00 a노르웨이의 숲 /d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e양억관 옮김
250 a3판
260 a서울 :b민음사,c2019g(2025 51쇄)
300 a567 p. ;c20 cm
500 z원저자명: 村上春樹(무라카미 하루키)
500 jNorwegian wood
507 tノルウェイの森
700 a村上春樹,e지음
700 a양억관,e옮김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4571662
900 a무라카미 하루키
950 0 b\15000c(2024년 \17000)
노르웨이의 숲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노르웨이의 숲
Author's Name
판 사항
3판
Publication
서울 : 민음사 2019
Physical Description
567 p ; 20 cm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33.6 촌52노ㅇ3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361917
Call no.
833.6 촌52노ㅇ3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361918
Call no.
833.6 촌52노ㅇ3 =2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421638
Call no.
833.6 촌52노ㅇ3 =3
Location Mark
Location
의학도서분관(구덕)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430780
Call no.
833.6 촌52노ㅇ3 =4
Location Mark
Location
의학도서분관(구덕)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436453
Call no.
833.6 촌52노ㅇ3 =5
Location Mark
Location
법학도서분관(부민)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무라카미 하루키
송승열
2024-10-28
무라카미 하루키는 노벨 문학 상 후보에도 오를 정도로 문학에서는 유명한 사람이며 1979년에 데뷔하여 본격적인 작가 활동을 시작한 이후로 프란츠 카프카 상, 예루살렘 상, 안데르센 문학상 등 수많은 상을 수상하였다. 이 책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50권이 넘는 책들 중 일본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얻었던 책이며 문학을 좋아하면 꼭 읽어 봐야할 책이다.   노르웨이의 숲을 두 번 읽어보아도 정확한 주제가 무엇인지 아직까지 감이 잡히지 않는다. 작가가 전하고자 했던 주제는 무엇일까? 책의 내용과 깊이가 넓어 쉽게 주제를 정하기 어렵다. 예를 들면 세상의 맛있는 음식들 중 한 가지만 골라보라고 하는 것과 같다. 그래서 주관적인 부분이 많이 개입될 수 있으나 내가 잡은 주제는 누군가를 사랑한다는 것, 혼자서 살아가는 고독함, 청춘 시절의 방황하는 모습의 포착이다.   작 중 주인공은 삶은 그리 행복한 거 같지는 않다. 고독하며 사랑과 사람의 온기를 갈망하지만 주변의 상황은 크게 달라지지 않고 방황하며 산다. “4월은 혼자 지내기에는 너무도 쓸쓸한 계절이다.”를 통해서 그의 고독한 심정을 알 수 있다. 또한 “가끔은 온기가 필요할 때가 있거든요, 피부로 전해 오는 온기를 느끼지 못하면 때로 견딜 수 없이 외로워요”는 그의 사랑에 대한 갈망이 나타나는 말이다.   삶은 불행, 걱정을 생각하며 살기에는 너무 짧다. 우리들은 사랑받고 행복해지기 위해 태어났다. 때로는 외로움이 사람을 성장시키기도 하나 오래 지속되면 부정적이다. 책 속의 주인공은 행복을 찾고 고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소극적으로 움직인다. 행복이 오기만을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주위에 있는 행복에 우리가 다가가 보는 것 그것이 필자가 느낀 핵심 메시지이다. “미도리와 둘이서 행복을 찾도록 해”라는 문장을 통해서 작가의 의도가 전해진다.   같은 책을 두 번 읽은 것은 이 책이 처음이다. 내용을 이미 다 알고 있는 상황에서 읽었는데도 불구하고 첫 번째로 읽었을 때 보다 더 재미있었고 문장의 문학성에 감탄했다. 읽는 시간 동안은 소설 속에 푹 빠져 몰입하게 되는 책은 오랜만이었고 현대사회의 인관간계, 행복이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질문을 던지게 해주는 책이다. 자투리 시간에 휴대폰이 아닌 노르웨이 숲을 읽어보는 것은 어떨까?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