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c
001 2210080832891
005 20170929102527
007 ta
008 170929s2016 ulka 000c kor
020 a9791187038030g03300 :c\10800
035 a(KERIS)BIB000014033811
040 a211014d221008
041 akorhgerhfre
056 a335.725
245 00 a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d장 지글러 지음 ;e유영미 옮김
250 a개정증보판
260 a서울 :b갈라파고스,c2016g(2017 6쇄)
300 a227 p. :b삽화 ;c21 cm
500 a기타표제: 유엔 식량 특별 조사관이 아들에게 들려주는 기아의 진실
500 jWli Kommt der Hunger in die Welt?
500 a원저자명: Ziegler, Jean
500 a이 책은 1999년 프랑스에서 처음 출간된 후 저자에 의해 2000년 독일에서 독일어로 증보 출간되었고, 한국어판 텍스트는 2000년 독일에서 출간된 책을 사용하였음
500 a부록: 신자유주의를 말한다
500 a해제: 우석훈
500 a부록: 주경복
507 t(La) faim dans le monde expliquee a mon fils
650 aHungerxSocial aspects
650 aFood supplyxSocial aspects
653 a기아a식량공급a식량추가
700 a지글러, 장,e지음
700 a유영미,e옮김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4033811
900 a우석훈
900 a주경복
900 aZiegler, Jean,d1934-
950 0 b\10800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Author's Name
판 사항
개정증보판
Publication
서울 : 갈라파고스 2016
Physical Description
227 p : 삽화 ; 21 cm
Keyword
기타표제: 유엔 식량 특별 조사관이 아들에게 들려주는 기아의 진실 / 원저자명: Ziegler, Jean / 이 책은 1999년 프랑스에서 처음 출간된 후 저자에 의해 2000년 독일에서 독일어로 증보 출간되었고, 한국어판 텍스트는 2000년 독일에서 출간된 책을 사용하였음 / 부록: 신자유주의를 말한다 / 해제: 우석훈 / 부록: 주경복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335.7 지17왜2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133909
Call no.
335.7 지17왜2
Location Mark
Location
토목공학과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133910
Call no.
335.7 지17왜2 =2
Location Mark
Location
토목공학과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Book Overview

Book Reviews

Ziegler, Jean
김아연
2020-12-18
이 책이 말하는 세계의 진실은 저 먼 나라의 많은 아이들에게는 참 잔혹하다. 기근으로 인한 아사, 사실 우리가 살고있는 이 한국에선 찾아보기 힘든일이지만 비행기를 타고 불과 몇시간만 가는 나라에는 흔하디 흔한 일이다. 죄도 없는 그 아이들이 태어나자마자 근 몇 년안에 사망해야하는 이유는 무엇이고 그 부모의 찢어지는 마음은 누가 위로할 것인가?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떠오르던 문제 식량부족, 하지만 이 책을 보면서 그 진짜 이유가 인구의 증가가 아니였다, 실제 빈부격차로 인해 부자들이 남긴 음식을 먹고 사는 필리핀의 쓰레기 마을에 사는 사람이 30만명에 달하고 또한 엄청난 양의 옥수수를 먹고 자라나는 캘리포니아의 소이 먹고 사는 옥수수의 반만있어도 잠비아라는 나라를 먹여살릴 수 있다고한다. 이것이 식량부족일까? 아니면 인간의 이기심이 만든 결과일까 점차 사회에 빈부격차의 문제가 도래하고 부각되면서 심화되는 것은 개발도상국의 죄없는 사람들이다. 이 자본주의 사회에서 자본을 얻기 위한 기회조차도 잃은 채 쌓여 있는 기아들의 무덤은 책에서 ‘가장 약한 사람들에게 가해진 구조적 폭력의 상징’이라고한다. 사실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계급이 사라지고 인간은 평등함을 강조하지만 이런 구조가 있는 이상 진정 인간은 평등할까? 라는 의문이 들었고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하는 여러 선진국에의 도움이 조금만 있다면 이 구조를 바꾸어 그들에게 도움을 손길을 낼 수 있는 방도는 없을까에 대한 생각도 들었다. 또한 이 책을 통해 나의 삶의 식습관을 바라보게 되었는데 사실 서평을 쓰면서도, 책을 읽으면서도 양심의 가책이 느껴서 마음의 무게가 무거워졌다. 나도 평소에는 주의를 하지만 어쩔 때는 다이어트를 이유로, 편식등 많은 이유로 음식을 쉽게 버리곤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나를 비롯한 전 세계의 수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읽고 전 세계 기아 문제에 심각성을 느끼고 동정이든 연민이든 또는 죄책감이든 어떠한 감정을 가지든 그 감정을 동반한 행동의 변화가 생겼으면 좋겠고 그 변화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삶을 연명하여 살아 꿈을 꿀 기회를 가졌으면 좋겠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