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c
001 2210080829127
005 20170816105101
007 ta
008 170816s2017 ggk 000c kor
020 a9791130613512g03300 :c\15000
035 a(KERIS)BIB000014546606
040 a247009c247009d221008
041 akorhger
056 a334.225
245 00 a혐오사회 :b증오는 어떻게 전염되고 확산되는가 /d카롤린 엠케 지음 ;e정지인 옮김
260 a파주 :b다산초당 :b다산북스,c2017
300 a271 p. ;c21 cm
500 00 a원저자명: Emcke, Carolin
507 tGegen den hass
650 a혐오
650 a사회 문제
653 a혐오사회a증오a전염a확산
700 a엠케, 카롤린,d1967-,e지음
700 a정지인,e옮김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4546606
900 aEmcke, Carolin, d1967-
950 0 b\15000
혐오사회 :증오는 어떻게 전염되고 확산되는가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혐오사회 :증오는 어떻게 전염되고 확산되는가
Author's Name
Publication
파주 : 다산초당 다산북스 2017
Physical Description
271 p ; 21 cm
Keyword
원저자명: Emcke, Carolin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334.2 엠874혐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330167
Call no.
334.2 엠874혐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엠케, 카롤린,
유혜정
2020-12-20
우선 혐오사회 책은 사회에서 흑백논리처럼 논쟁이 되는 난민 수용, 성소수자 인식, 인종차별, 종교 문제와 같은 이야기를 담아내고 있다. 읽는 내내 다수의 힘에 밀리는 소수계층에 대해서 많은 생각을 하게 해주는 책이다. 가장 인상이 깊었던 부분은 인종차별주의와 난민 수용이었다. 인종차별 중에서 가장 피해를 많이 입고 있는 인종은 흑인이다. 일례로 서양국가에서 백인인 경찰들이 아무런 죄가 없는 흑인을 가해자로 몰아가고 종국에는 강압적으로 제압하다가 사망까지 이르게 한다. 가장 충격적인 것은 그 사건을 촬영한 사람 외에는 그 누구도 도와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방목 또한 혐오를 할 만한 이유에 힘을 실어준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 나오는 것뿐만 아니라 우리는 언론에서도 종종 죄가 없는 흑인이 피해를 받는 안타까운 사건을 접하게 된다. 역사 속에서 아프리카계 미국인인 흑인이 최하계층의 신분이었고, 이 역사로 인해 그렇지 않은 인종들의 기저에는 흑인에 대한 멸시와 혐오가 자라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혐오와 증오라는 감정에서는 분명히 그 근본적인 원인이 있다. 그 원인을 한층 더 정당화시키고 강화시켜 주는 것은 혐오를 해도 된다는 자기확신이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 감정에 대한 자기확신을 가진 사람에게 끊임없이 물어야 한다. 누군가를 혐오하는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해보라고, 그 확신을 무너뜨려야 한다. 멸시를 당하는 자에게는 절대로 이유를 묻지 않아야 하고, 또한 그러한 질문에 대답을 할 이유도 없다.  난민 수용에 있어서는 우리나라에도 난민 수용 반대를 청와대에 청원까지 한 적이 있다. 그때는 물론 나도 난민에 대해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그들이 나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을 거라고 말이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나서 자기반성의 태도를 가지게 되었다. 오고 갈 데가 없는 난민들이 하나같이 나쁜 사람들이라고 포장하는 것은 편협한 생각이라는 것을. 그 속에서도 다양한 사람들이 존재하고, 내가 살고 있는 국가에서도 마찬가지라고. 만 나는 앞으로 사람들을 볼 때 다양성을 존중해주고, 포용 넓은 태도를 가질 것이라고 다짐했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