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c
001 2210080813408
005 20160816110210
007 ta
008 160816s2016 bnka 000c kor
020 a9788965453604g03910 :c\15000
040 a221008
056 a911.055325
245 00 a(역사의 블랙박스) 왜성 재발견 /d신동명,e최상원,e김영동 [공]지음
260 a부산 :b산지니,c2016
300 a224 p. :b삽도 ;c23 cm
500 00 z기타표제: 편견의 역사를 바로잡는 새로운 역사 인식의 현장
700 a신동명,e지음
700 a최상원,e지음
700 a김영동,e지음
950 0 b\15000
(역사의 블랙박스) 왜성 재발견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역사의 블랙박스) 왜성 재발견
Author's Name
신동명 지음 최상원 지음 김영동 지음
Publication
부산 : 산지니 2016
Physical Description
224 p : 삽도 ; 23 cm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911.0553 신25왜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315523
Call no.
911.0553 신25왜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신동명,
2016-09-30
올해 초 친한 학교 선배와 부산의 역사 유적을 탐방하는 시간을 가져서 정공단, 자성대, 영도대교 등 다양한 유적을 구경하였는데 그 중에 증산 왜성이라는 곳도 있었다.  평소에 역사에 관심이 많지만 왜성 유적에는 한번도 가본 적이 없었는데, 여기 증산 왜성 유적에 가보고 일본 관련 유적이 실제로 우리 생활과 멀지 않은 곳에 있구나 라는 것을 느꼈고 성곽 유적 바로 위에 주택이 있는 것을 보고 신기한 느낌이 들었다. 그렇지만 한편으로는 이 성곽 유적이 임진왜란 때 왜군이 우리나라를 침략했을 때 만들어진 것이라 그런지 다른 유적에 비해 관리가 잘 안되고 있다는 느낌도 많이 들었다.  임진왜란 시기에 축성된 왜성 유적 말고도 우리나라에는 현재 우리학교 박물관으로 사용하고 있는 임시수도청사와 지금은 철거된 조선총독부 청사 등 일본이 우리나라를 식민 통치 하던 시기에 지은 많은 역사 유적이 있는데, 나는 개인적으로 이러한 유적들을 되도록이면 보존해서 앞으로 과거를 상기할 수 있는 교훈으로 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왜성이 일본이 만든 유적이다 보니 학계의 관심도 낮고 문화재 당국의 관리도 비교적 부실한 편인데 이 책은 전국에 있는 왜성의 현황을 축성 당시의 이야기와 현재 상황을 잘 풀어서 서술하고 있고 성곽 사진과 성의 구조를 그린 지도, 주변의 관련 유적도 서술되어 있어 이 책을 보는 사람들이 왜성 유적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잘 서술 해 놓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주변의 문화 유산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