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c
001 2210080810565
005 20160727115716
007 ta
008 160617s2016 ulk 000c kor
020 a9788932028699g03100 :c\12000
035 a(KERIS)BIB000014091813
040 a211029c211029d221008
041 akorhger
056 a112.725
245 00 a아름다움의 구원 /d한병철 지음 ;e이재영 옮김
260 a서울 :b문학과지성사,c2016
300 a130 p. ;c20 cm
500 00 a본서는 "Die errettung des schönen. 2015."의 번역서임
507 tErrettung des schönen
700 a한병철,e지음
700 a이재영,e옮김
950 0 b\12000
아름다움의 구원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아름다움의 구원
Author's Name
한병철 지음 이재영 옮김
Publication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6
Physical Description
130 p ; 20 cm
Keyword
본서는 "Die errettung des schönen. 2015."의 번역서임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112.7 한44아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312332
Call no.
112.7 한44아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314198
Call no.
112.7 한44아 =2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314199
Call no.
112.7 한44아 =3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한병철,
2017-04-22
이 책은 현대에서 사라지고 있는 미에 대해서 이야기하며 그 미를 무엇이 대신 충족시키고 있는지 이야기 한다. 아름다움, 즉 미는 현대에 드러서면서 진실된 미와 가짜 미로 나뉘게 된다. 진실된 미란 자연적 아름다움을 이야기한다 가려지고 숨겨짐으로서 나타나는 내부의 아름다움이다.진실된 미는 직접적으로 나타나지 않고 항상 숨겨짐으로서 나타난다. 그러나 현대에는 컴퓨터와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 인터넷과 sns를 통해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정보 통신이 가능해져 진실된 미를 대신하여 거짓된 미가 많이 보급되었다. 거짓된 미란 포르노그래피적 아름다움으로 아무것도 숨기지 않고 전부 내비쳐지는 알몸 상태의 미라는 것이다. 이러한 미는 너무 적나라해서 매우 자극적이고 단기적이다. 그래서 아무것도 내포하고 있지 않으며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다. 단순히 외적으로 보여주기만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진실된 미는 항상 가려지고 숨겨지며 외부적인 것을 덮어쓰고 내부에 숨어있다. 그러나 거짓된 미는 항상 오픈되어 있어 매끈하다. 일말의 구겨짐도 허용치 않는다 마치 우리가 쓰는 컴퓨터의 모니터가 매끈한 평면을 이루듯이 스마트폰의 화면이 깨짐 없이 말끔하게 보이는 것과 같다.  거짓된 미는 외적이고 단면적이고 일방적이다. 자신에 대한 정보를 상대방에게 일방적으로 드러내어 서로에 대한 소통을 포기하고 일방적 폭력을 행사한다. 그러나 진실된 미는 내적이고 입체적이고 쌍방향적이다. 진실된 미는 자신을 숨기지만 일부 드러내고 있다. 그래서 서로 소통하려고 하며 폭력적이지 않다. 현대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는 어떠한가?? 우리는 과연 거짓된 미를 믿으며 일방적으로 수용당하고 있는가 혹은 서로를 존중하며 소통하여 진실된 미를 찾으려 애쓰고 있는가?? 나 자신도 거짓된 미에 현혹되어 잘못된 판단을 하고 있지는 않는지 다시 한번 생각하게 되며 앞으로 진실된 미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 될 것이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