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c
001 2210080803236
005 20160419144018
007 ta
008 160114s2015 ulka b 001c kor
020 a9788968173028g93300 :c\17000
035 a(KERIS)BIB000013929888
040 a211052c211052d221008
056 a309.14225
245 00 a역사로 보는 미국 사회와 문화 =xAmerican society and culture /d최영승 편역
260 a서울 :b한국문화사,c2015
300 a317 p. :b삽화 ;c23 cm
500 00 z기타표제: 링컨에서 에디슨, 신문에서 영화, 자동차에서 햄버거까지
504 a참고문헌(p. 307)과 색인(p. 308-317)수록
536 a이 편역서는 동아대학교 교내 번(편)역과제로 선정되어 동아대학교 번(편)역 총서 제133호로 출간되었음
541 c수증:d2016e(E1236386)
700 1 a최영승,e편역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3929888
950 0 b\17000
역사로 보는 미국 사회와 문화 =American society and culture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역사로 보는 미국 사회와 문화 =American society and culture
Author's Name
최영승 편역
Publication
서울 : 한국문화사 2015
Physical Description
317 p : 삽화 ; 23 cm
Keyword
참고문헌(p. 307)과 색인(p. 308-317)수록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309.142 최64역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236386
Call no.
309.142 최64역
Location Mark
Location
교수저작도서(한림도서관5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309887
Call no.
309.142 최64역 =2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최영승,
박예솔
2020-12-21
우리나라만큼 긴 역사를 가진 국가는 없다며 자부심을 가지라 교육받을 때부터 생각했었다. 짧은 역사라도 그 나라 사람들은 자부심을 가질만한 그들만의 역사가 있을 것이라고. 대표적으로 미국을 짧은 시간 안에 만들어지고 성장한 나라로 알고 있었지만, 썩 잘 알진 못했다. 미국은 충분히 짧은 시간 안에 크게 성장할 운명이었다. 마치 회사에서 능력은 어마어마하지만 인정은 못 받는 인재들이 퇴사를 하고 스스로 성공을 이뤄내는 드라마 속 주인공 같은 느낌이었다. 영국을 비롯해 유럽에서 큰 지지를 못 받던 상류층들이 도망치듯 이주하여 모인 곳이 미국이란 땅이었다. 자기네들의 자유로운 의견 표출과 모두의 동등한 인정을 원했던 만큼 자유라는 가치를 기반으로 미국은 시작했다. 그들의 성장통은 꽤 많았고 컸다. 원주민, 영국의 지배, 노예, 금주법, 총기, 전쟁 등 몇몇은 여전히 미국이 해결해야할 숙제로 남아있지만 해결 된 부분에서는 미국 성장의 증거물이며 앞으로의 성장을 추측할 수 있게 한다. 먼저 미국땅의 원래 주인이었던 원주민을 존중하지 않고 오히려 쳐들어온 자기네들이 그들을 인디안이라 칭하며 주인노릇을 했던 것은 큰 과오다. 왜 상생할 생각은 하지 못했을까? 실제로 원주민의 도움으로 먹거리를 구하고 집을 지었던 무리도 있었는데 왜 겨우 그뿐이었을까. 그리고 수많은 영웅과 희생들로 이뤄낸 노예제 폐지라는 결과는 훌륭하다. 슬프지만 노예제로 빚어진 흑인에 대한 편견은 지금도 잔재하고 미국의 오점이다. 노예제 폐지를 위해 미국 남부와 북부는 혈투를 거치고 끊임없이 찬반을 논했다. 이 과정에서 남부는 경제적 이유, 북부는 인권의 이유로 때론 무자비한 싸움도 서슴지 않았다. 또한, 총기와 관련해 생기는 문제는 태평양 건너 우리에게도 소름이 돋을 만큼 잔인하고 가장 큰 숙제로 남아있다고 생각한다. 당장 해결하지 못할 타당한 이유는 많은데 당장 해결해야 할 필연적 이유도 많다. 오래 전부터 미국도 문제로 인식하고 있지만 나아지기보다 갈수록 총기문제는 일반인 가까이서 일어나고 있지 않은가. 한국 학생들의 찬반 토론 주제로도 자주 언급되는 이 문제가 실질적으로 미국은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궁금하다. 한 번은 교양수업을 통해 미국의 문화를 조사해야했던 적이 있다. 서로 생 처음 만난 팀원들은 어색함을 뚫고 현시점 가장 큰 나라인 미국을 선택하게 됐다. 조사를 하다 보니 가장 큰 나라이자 나라들의 리더격인 나라 미국은 뚜렷한 색깔이 없더라. 땅도 넓고 인구도 많고 선진국이며 모르는 사람이 없으니 그만큼 정보가 많을 것, 하지만 과제를 하면 할수록 ‘뭐가 딱히 없는데…?’라며 힘들어했던 기억이 있다. 말 그대로 허허벌판이었던 땅을 원주민까지 쫓아내며 일구었는데 누군가의 지배를 받으면 얼마나 억울할까. 영국의 지배를 벗어난 미국은 다시금 자기네들의 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미국은 각 주의 색깔이 뚜렷하다. 미국사람이지만 어디어디주 출신이야. 이제와 과제를 다시 조사한다면 좀 쉬울 것 같다. 과연 이런 성장통이 없었다면 미국은 지금 어느 위치에 있을지 아무도 알 수 없다. 그리고 미국만의 독특한 문화 또한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지지도 인정도 못 받던 이들은 사실 성공의 잠재력이 진즉에 다분했다고 믿는다. 미국은 참 매력적인 나라다. 그 이유를 나와 비슷하단 점에서 생각하기로 했다. 어디서도 누구도 칭찬, 인정 따위 해주지 않지만 나의 길을 걸어가 성공해 보이려는 것. 나는 새 땅을 찾아가진 않겠지만 외국의 시장에서 획기적인 아이디어로 나만의 색깔로 이름을 알려보고 싶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