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c
001 2210080791137
005 20150603135053
007 ta
008 150603s2015 ggk b 001c kor
020 a9788946057838g93330
035 a(KERIS)BIB000013764658
040 a211062c211062d221008
041 akorheng
056 a331.525
245 00 a음식과 먹기의 사회학 :b음식, 몸, 자아 / d데버러 럽턴 지음 ;e박형신 옮김.
260 a파주 :b한울아카데미, c2015.
300 a334 p. ; c24 cm.
440 a한울아카데미 ; v1783
500 a원저자명:Lupton, Deborah
500 a부록: 연구 전략과 연구 참여자의 세부 사항
504 a참고문헌(p. 309-324)과 색인 수록
507 tFood, the body and the self
650 aFood habits
650 aFoodxSocial aspects
650 aFoodxPsychological aspects
700 a럽턴, 데버러,e지음
700 a박형신,e옮김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3764658
900 a럽턴, 데버러
950 0 b\36000
음식과 먹기의 사회학 :음식, 몸, 자아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음식과 먹기의 사회학 :음식, 몸, 자아
Author's Name
총서명
한울아카데미 ; v1783
Publication
파주 : 한울아카데미, 2015.
Physical Description
334 p ; 24 cm.
Keyword
원저자명:Lupton, Deborah / 부록: 연구 전략과 연구 참여자의 세부 사항 / 참고문헌(p. 309-324)과 색인 수록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331.5 럽884음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299435
Call no.
331.5 럽884음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299436
Call no.
331.5 럽884음 =2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럽턴, 데버러,
2016-09-28
음식과 먹기의 사회적 인식에 대해 풀어 낸 책이다. 솔직히 말해 번역이 깔끔하지 못하다. 읽는데 어려움이 있었지만, 음식이라는 가까운 주제에 대해서 진지하게 접근한 시각이 신선하게 느껴져서 재밌게 보았다. 물론 글쓴이가 서양사람이라는 점에서 동양의 가치관이 자리잡힌 우리의 태도변화에 어느정도 제한이 있겠지만 글쓴이 조차 동양과 서양의 문화가 다름을 인지하고 있기에 거부감은 없다.   먹음이라는 행위를 단순한 생존수단, 또는 문화적 관점 등 으로 접근해 보는데 그 중에서 나는 본문의 내용 중 다음 구절이 핵심이라고 생각된다 '몸은 그 소유자가 자기 통제력을 소유하고 있는 정도를 보여주는 유력한 신체적 상징이 된다.' 사실 우리는 날씬한 사람과 비만인 사람을 볼 때, 기본적으로 자기관리를 잘하는 사람 또는 게으른 사람으로 그 사람의 몸 상태를 보고 우리 나름의 인식의 틀을 적용해 판단한다. 실제로 먹는 행위가 자기 관리의 도구로써 적용되는 사람이 있는 반면에 쾌락, 즉 혀의 즐거움을 쫓아 몸에 해로운 것을 과하게 섭취하는 사람이 있다. 어느 정도 맞는 이야기라는 것이다. 반면에 살이 찌고 싶어도 찌지 않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람에게는 영양학적으로 즉, 처방적 성격의 식단이 필요한 것이다.   이처럼 음식을 먹는 행위라는 단순하고 가까운 일에서 인간의 심리와 자아 그리고 우리 몸에 대한 생물학적 측면까지 모두 생각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흥미로운 책이었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