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c
001 2210080790111
005 20150520100436
007 ta
008 150520s2015 ulka 000c kor
020 a9788974096540:c\(원화)12000
035 a(KERIS)BIB000013753367
040 a211048c211048d221008
056 a660.125
245 00 a붓다와 카메라 : b붓다에게 배우는 사진학 / d이광수 지음.
260 a서울 : b눈빛출판사, c2015.
300 a167 p. :b천연색삽화.
440 a눈빛사진학개론 ; v002
700 1 a이광수
950 0 b\12000
붓다와 카메라 :붓다에게 배우는 사진학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붓다와 카메라 :붓다에게 배우는 사진학
Author's Name
총서명
눈빛사진학개론 ; v002
Publication
서울 : 눈빛출판사, 2015.
Physical Description
167 p : 천연색삽화.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660.1 이15붓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298532
Call no.
660.1 이15붓
Location Mark
Location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이광수
2016-09-05
인도의 고대사는 글로 역사를 남긴 자료가 거의 없기때문에 유물이나, 전설, 신화등으로 역사를 추적해 나간다. 반면 근대사는 역사기록이 많이 남아있는데 이 책의 저자는 반대로 고대사연구에 쓰던 방법과 비슷하게 사진을 통해서 근대사를 살펴보았다. 사진이라는 매체는 그림이 인간의 느낌에 따라 재현하는것인 반면에 카메라라는 기계가 평면적이고 객관적인 이미지로 표현해내서, 보는이에따라 이미지는 무한이다. 그래서 눈으로 보이지 않는것을, 겉으로만 봐서는 다 알기힘든 부분까지 볼 수 있는 시선을 키울 수 있을 것이고 작가는 그것이 예술적으로 사진을 바라보는 방법이라고 알려준다. 작가는 붓다가 산 기원전 6세기 인도 동북부 사회와 내가 사는 21세기 한국사회의 상황이 매우 유사하다고 생각한다. 그런 생각을 가지고 우리가 알아야하고 해결해야할 문제의식을을 사진을 통해 보여주려한다. 또한, 사진이라는 도구를 각자 그 자리에서 뿌듯하고 작은 기쁨을 갖고 나눌 수 있었던 것 같고, 사진을 제대로 보고, 느끼며 서로나누면서 살면 더불어 사는 세상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희망을 책속의 사진들이 말해주는 것 같았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