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c
001 2210080778760
005 20250530103359
007 ta
008 140801s2014 ggka b 000c kor
020 a9788950955779g03180:c\15000
035 a(KERIS)BIB000013493230
040 a211017c211017d221008
056 a191.625
245 00 a행복의 기원 /d서은국 지음
260 a파주 :b21세기북스,c2014
300 a205 p. :b삽화 ;c21 cm
490 aKI신서 ;v5635
500 00 b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504 a참고문헌 수록
700 1 a서은국,e지음
830 aKI신서 ;v5635
950 0 b\15000
행복의 기원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행복의 기원
Author's Name
서은국 지음
Publication
파주 : 21세기북스 2014
Physical Description
205 p : 삽화 ; 21 cm
Keyword
기타 표제 : 인간의 행복은 어디서 오는가 / 참고문헌 수록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191.6 서67행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286529
Call no.
191.6 서67행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286530
Call no.
191.6 서67행 =2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288013
Call no.
191.6 서67행 =3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288352
Call no.
191.6 서67행 =4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Book Overview

Book Reviews

서은국
이동훈
2018-12-13
https://blog.naver.com/ehdgns516/221286329185   오랜 시간 행복을 연구해 온 서은국 교수는 《행복의 기원》이라는 책을 썼다. 《행복의 기원》은 '왜 인간은 행복이라는 경험을 할까?'라는 질문에서 시작된다. 서은국 교수는 행복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설명한다. 단적으로 말하면, 인간은 생존과 번식을 위해서 행복이라는 쾌감을 느끼도록 설계되어 있다. 인류의 진화과정을 봤을 때 인간이 유전자를 남기기 위해서는 생존과 번식이 중요했고, 이런 점에서 음식과 사람이 매우 중요했다. 그래서 보편적으로 인간은 음식과 사람을 통해 행복을 느낀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물려받은 유전자는 음식을 먹을 때, 타인과 함께할 때 행복이라는 쾌감을 느끼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이다.   우리는 어떤 이상을 꿈꾸며 거기에 도달할 때 행복할 거라 생각한다. 그래서 현재를 즐기지 못하고 미래를 위해 자꾸 지금 이 순간 즐겁기를 포기한다. 무엇이 되면, 무엇을 가지면 행복할거라 믿으면서 현재를 포기한다. 물론 무엇이 되고, 무엇을 가지면 기분이 좋기는 하다. 그러나 우리는 그 즐거움이 오래가지 못한다는 걸 깨닫지 못한다.   《행복의 기원》을 읽으면서 행복의 본질은 쾌감이라는 걸 알게 됐다. '행복'이라는 것에서 어떤 중요한 의미를 찾을 필요는 없었다. 아마 우리는 이미 행복함에도 불구하고 행복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