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c
001 2210080766470
005 20250911101150
007 ta
008 131010s2004 ulk 000cf kor
020 a9788931004489g03850 :c\7000
020 a8931004486g03850 :c\7000
035 a(KERIS)BIB000010352460
040 a211032c211032d224010d211017d221008
041 akorhger
056 a85325
245 00 a데미안/d헤르만 헤세 지음 ;e구기성 옮김
260 a서울 :b문예출판사,c2004
300 a237 p. ;c23 cm
490 a문예 세계문학선;v04
500 a원저자명: Hermann Hesse
500 a이 책은 기초교양대학의 고전읽기 수업 도서임
507 tDemian
700 aHesse, Hermann,d1877-1962,e지음
700 a구기성,e옮김
830 a문예 세계문학선;v04
900 a헤세, 헤르만
950 0 b\7000
데미안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데미안
Author's Name
Publication
서울 : 문예출판사 2004
Physical Description
237 p ; 23 cm
Keyword
원저자명: Hermann Hesse / 이 책은 기초교양대학의 고전읽기 수업 도서임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53 헤54데ㅁ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677111
Call no.
853 헤54데ㅁ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헤르만 헤세
장서정
2025-11-01
 인간은 누구나 성장 과정에서 방황과 혼란을 겪는다. 이러한 내적 갈등과 고민을 깊이 탐구한 작품이 바로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이다. 헤르만 헤세는 독일 출신의 작가로, 인간 내면의 심리와 자기실현에 대한 통찰을 담아내는 작품들로 잘 알려져 있다. 이 작품은 주인공이 겪는 방황과 고민을 통해, 인간이 자신을 찾아가는 여정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본 서평에서는 《데미안》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내적 갈등과 성장, 그리고 자신의 세계를 확장해 가는 과정을 중심으로 작품의 의미와 메시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주인공 싱클레어는 어린 시절부터 부유하며 밝고 안전한 세계와 어둡고 위험한 세계 사이에서 갈등하며 혼란을 겪는다. 그러던 중 그는 데미안의 도움을 받으며, 기존 도덕과 사회적 규범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고, 자신의 내면을 마주하게 된다. 자신의 길을 찾기 위해 고민하는 과정에서 외부 세계를 배우는 것이 아닌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법을 배우며 성장하는 내용이 이 작품의 핵심이다. 《데미안》의 대표적인 중심 메시지는 자기 자신을 발견하고 성장하는 과정이다. 싱클레어는 혼란과 도전을 겪지만, 이를 통해 자신의 세계를 확장하고 성숙해진다. 작품 속 데미안과 상징적 요소들은 그가 기존 가치관에 머무르지 않고 스스로 길을 선택하며 성장한다는 의미를 보여준다. 또한 내가 생각한 메시지는 ‘선과 악’이다. 흔히 사용하는 선은 좋고, 악은 나쁘다는 정형화된 틀에서 벗어나 오히려 반대의 사고를 하는 장면들이 나온다. 자신의 내면 속에 악을 탐구하는 마음이 있더라도 이를 부정하지 않고,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여 선과 악이 조화를 이루며 한층 성장할 수 있다는 의미인 것 같았다.  먼저 인상 깊었던 구절은 싱클레어가 데미안을 받아들이는 내면의 과정을 잘 다룬 세 개의 문장이었다. “그러나 구원해 준 사람을, 그가 기적을 완수하자 나는 곧 제쳐두었다.”(p. 60) 구원자인 데미안(내면의 존재)이 다가왔으나 곧 멀어지는 태도를 보이는데, 내면과의 갈등, 혼란이 시작되는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그것은 나의 내면, 나의 운명 혹은 내 속에 내재하는 수호신이었다 … 이것은 내 운명의 울림이자 리듬이었다.”(p. 112) 더 이상 데미안이 외부의 인물이 아니라 내면의 부분이었으며, 외면해 왔던 내면을 돌아보고, 받아들이는 시점이라 생각한다. “나의 모습이 보였다. 이제 그와 완전히 닮아 있었다. 나의 친구이자 인도자인 그와.”(p. 219) 외부의 존재였던 그가 이제 내면의 일부로 통합되었음에 성장하였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3문장을 합쳐 본다면 외부→내면→통합의 과정을 거쳐 성장이라는 결과를 낸 것으로 보인다. “새는 알에서 나오려고 투쟁한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나아간다.”(p. 122)라는 구정은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상징적 메시지를 담고 있다. 새(새로운 자아)가 자신을 둘러싸고 있던 세계(기존 가치관)을 깨뜨려야만 성장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이 문장을 읽으며, 나 역시 내가 지금 어떤 “알” 속에 머물러 있는지 돌아보게 되었다. 익숙하고 안전한 세계에 안주하면서도, 새로운 세계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지 않았던 것은 아닌가 하는 자각이 남았다. 《데미안》을 읽고 느낀 점은 자신의 내면을 외면하지 않고 스스로의 길로 나아가기 위해 노력해 성장한다는 교훈을 주는 책이었다. 싱클레어처럼 나도 성장 과정에서 흔들리고 갈등하지만, 그 역시 하나의 과정이며 받아들여야 한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특히, 작품 속 상징들은 독자에게 단순한 감상이 아니라 “나는 지금 어떤 알을 깨뜨리려고 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을 남긴다.  이 책은 내면의 갈등과 성장이라는 주제를 다루기에 청소년기의 학생들에게 매우 추천하고 싶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이 책의 서술 방식과 상징적 요소가 많아 처음 읽기에 약간 난도가 높다는 생각을 하였다. 결과적으로 자신의 한계에 마주했거나, 안주한 현실을 극복하고 싶은 사람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