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k
001 2210080757692
005 20130403093822
007 ta
008 130403s2012 ulkac 001c kor
020 a9788933706367 g93910 :c\30000
035 a(KERIS)BIB000013004992
040 a211023c211023d221008
041 akorbchi
056 a912.0725
245 00 a왕징웨이 연구 :b현대 중국 민족주의의 굴절 /d배경한 지음.
260 a서울 :b일조각,c2012.
300 a358 p. :b삽도, 초상 ;c24 cm.
500 a찾아보기 : p. 351-358.
500 a한자서명 : 汪精衛 硏究.
504 a참고문헌 : p. 311-325.
504 a주 : p. 267-309.
504 a각 장의 출처 : p. 349-350.
536 a이 저서는 2007년 정부(교육인적자원부)의 재원으로 한국학술진흥재단(현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
600 a왕정위h(汪精衛),d1883-1944
653 a현대중국a민족주의a친일파a중국정치인a중국국민당a친일괴뢰정부
700 1 a배경한h(裴京漢),d1953-.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3004992
900 a왕징웨이.
900 aWang, Jingwei.
940 a현대 중국 민족주의.
950 0 b\30000
왕징웨이 연구 :현대 중국 민족주의의 굴절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왕징웨이 연구 :현대 중국 민족주의의 굴절
Author's Name
Publication
서울 : 일조각 2012.
Physical Description
358 p : 삽도, 초상 ; 24 cm.
Keyword
찾아보기 : p. 351-358. / 한자서명 : 汪精衛 硏究. / 참고문헌 : p. 311-325. / 주 : p. 267-309. / 각 장의 출처 : p. 349-350.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912.07 배14왕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262118
Call no.
912.07 배14왕
Location Mark
Location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배경한
2016-10-12
이 책은 근현대 중국의 유력한 정치인인 왕징웨이에 관한 연구를 한 책이다. 쑨원이나 장제스, 마오쩌둥 등의 인물은 한국인이 잘 알지만 왕징웨이라는 인물에 관해서 알고 있는 한국인은 잘 없다. 이는 왕징웨이가 중국의 실권을 거의 잡은 적이 없는 인물이기도 했고 무엇보다도 중일전쟁이라는 어려운 시기에 왕징웨이는 일본과 협력해서 장제스의 중국 국민정부에 대항하기 위한 목적으로 괴뢰정권을 세워서 현대의 중국인에게 나라를 팔아먹은 매국노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인물이기도 하다. 이를 보면 우리나라의 이완용과 비슷한 입지를 가지고 인물이라고 생각한다. 왕징웨이도 청나라 말기에는 반만주족 민족주의를 주창해서 중화민국을 건국하는데 일조해서 애국자라고 평가 받은 시기가 있었다. 하지만 말년의 과오로 이전의 업적이 가리워지게 되었다. 이 책에는 왕징웨이가 신해혁명 시기에 무슨 일을 하였는가 부터 시작해서 친일정권의 수반이 된 시기까지의 왕징웨이 행적을 기술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의 민족주의가 어떤 방향으로 흘러왔는지 알 수가 있는데 그와 더불어 왕징웨이 정권이 왜 실패했는지도 설명해주고있다. 앞으로 살면서 이러한 과거를 거울로 삼아 현재의 정치를 연구하는 것도 좋은 태도라고 생각한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