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c
001 2210080713785
005 20110520114739
007 ta
008 110520s2011 ulk b 001c kor
020 a9788996588719g03100 :c\16,000
035 a(KERIS)BIB000012398390
040 a242001c242001d242001d221008
041 akorheng
056 a191.625
245 00 a행복할 권리 /d마이클 폴리 지음 ;e김병화 옮김.
260 a서울 :b어크로스,c2011.
300 a374 p. ;c23 cm.
500 a기타표제:욕망과 좌절 사이에서 비틀거리는 21세기적 삶
500 a기타표제:어떻게 이 욕망의 시대를 견뎌야하는가?
500 a설명적 각주 수록
500 a색인: p. 370-374
500 a원저자명:Foley, Michael,d1947-
504 a주석: p. 352-369
507 t(The) age of absurdity : why modern life makes it hard to be happy.
650 aHappiness
700 a폴리 마이클
700 a김병화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2398390
900 a폴리, 마이클
950 0 b\16000
행복할 권리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행복할 권리
Publication
서울 : 어크로스 2011.
Physical Description
374 p ; 23 cm.
Keyword
기타표제:욕망과 좌절 사이에서 비틀거리는 21세기적 삶 / 기타표제:어떻게 이 욕망의 시대를 견뎌야하는가? / 설명적 각주 수록 / 색인: p. 370-374 / 원저자명:Foley, Michael, / 주석: p. 352-369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191.6 폴298행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02573
Call no.
191.6 폴298행
Location Mark
Location
자연대보존서고Ⅱ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폴리 마이클
2012-02-22
책에 대해 얘기하기 이전에 왜 제목을 행복할 권리로 바꾸었는지에 대해 이해가 잘 되지 않는다. 본래 제목인 <부조리의 시대>하고 이 <행복할 권리>하고 딱 보자마자 전해지는 느낌이나 책이 전하고자 하는 내용 등에서 확연히 다르게 느껴지는데 말이다. 부조리의 시대라는 원제가 너무 어려어려워서 그런건지 행복할 권리라는 이 제목이 좀 더 독자들에게 관심을 끌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해서인지 알 방도는 없지만 이런 마케팅차원에서의 제목변경으로 인해 책 내용과 제목과의 괴리감이 느껴지는 일이 전에도 한두번 있어서 그런지 기분이 영 언짢다.책이야기로 돌아와서, 우연찮게 지인에게 추천을 받아서 읽게 되었다, 딱 추천받았을때의 느낌은 그저그런 간단한 내용의 책일줄 알았는데 실제로는 굉장히 체계적으로 그러면서도 내용이나 참고문헌도 풍부한 책이여서 읽는동안 흥미롭게 봤었다. 대체적으로 심리적현상과 거기에 덧붙여 동양철학 그 중에서도 특히 불교적가치관, 수많은 철학적 소재들을 끌어당겨서 이야기를 펼쳐나간다. 그래서 그런지 이 책은 여타 다른 책들과는 달리 하나의 주제를 여러 챕터로 나누어 얘기한다는 느낌보다는 여러 주제들을 담은 챕터들을 하나의 책으로 묶어서 출판했다고 생각해도 무방할 정도로 매 챕터 하나하나가 굉장히 심도있는 이야기를 전해준다. 그래서인지 이 책은 이런 주제를 가지고 저런 이야기를 한다고 규정지어서 감히 얘기하다가는 책이 전해주는 말하고자하는 이야기를 오히려 다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고 그 책의 가치를 절하시킬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물론 내가 느낀 감정을 글로 풀어서 설명하지 못하는 능력의 부재도 한 몫했을 수도 있다.그래서 나는 혹시 시간이 난다면 이 책을 한 번 정독해보라고 권해보고 싶다. 시중에 나와있는 여러 도서들 중에 이 정도로 질 높고 전문성을 갖춘 책이 몇 없다는 것을 감안해볼 때 책을 읽는 시간이 그리 아깝지는 않을 것이라고 감히 장담해본다.그리고 역자가 남긴 물음에 스스로의 의지로 그 답을 아니면 그에 반하는 주장을 해본다면 보다 이 책이 전하고자하는 의미가 명확해 질 수 있을 것이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