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c
001 2210080708102
005 20110307112321
008 110307s2003 ulk 000cf kor
020 a8970133437(세트)g04840
035 a(KERIS)BIB000008907444
040 d211029d221008
056 a84325
245 00 a자장가 /d척 팔라닉 지음;e최필원 옮김.
260 a서울 :b책세상,c2003.
300 a335 p. ;c19 cm.
440 aMephisto;v10
500 a본서는 "Lullaby. c2002."의 번역서임.
500 a원저자명 :Palahniuk, Chuck
507 tLullaby.
653 a영미문학
700 aPalahniuk, Chuck
700 a최필원,e역.
700 a팔라닉, 척
950 0 b\8500
자장가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자장가
총서명
Mephisto; v10
Publication
서울 : 책세상 2003.
Physical Description
335 p ; 19 cm.
Keyword
본서는 "Lullaby. c2002."의 번역서임. / 원저자명 :Palahniuk, Chuck
Subject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43 팔292자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809501
Call no.
843 팔292자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Palahniuk, Chuck
2011-03-14
 이 소설은 2003년 발행된 척 팔라닉의 소설이다. 척 팔라닉은 파이트 클럽으로 스타덤에 오른 작가로, 현 작가중 가장 컬트적인 소설을 쓰는 작가라고 할 수 있다. 우연히 척 팔라닉을 접하게 되어 그의 소설을 쭉 읽어내려가고 있는데, 두번째로 읽게 된 책이 ‘자장가’이다. 척 팔라닉의 작품들 중, 뛰어난 다른 소설들에 비해서는 흡입력이 부족하다는 평이 있으나 아직 그의 작품을 다양하게 접해보지 않았기에 나는 그런 느낌을 받지 않았다.  ‘자장가’는 오래전 부인과 사랑하는 딸을 잃고 신문사에서 일하던 ‘칼 스트리터’는 편집장의 명령으로 유아돌연사를 취재하던 중, 공통된 특징을 하나 발견하게 된다. 그것은 바로 세계의 자장가를 다룬 책의 27p. 유아돌연사를 겪었던 가정 모두 아이가 죽기 전에 그 노래를 불러준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그것이 ‘죽음의 주문’임을 깨닫게 된다. 그 주문을 사용하기 시작한 그는 그의 분노와 살인충동을 통제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고, 주문을 알고 있다고 여겨지는 헬렌을 찾아간다.  어쩌면 한번쯤은, 누구나 생각해봤음직한 ‘아무런 흔적도 남기지 않고 사람을 죽일 수 있을까?’ 라는 주제를 풀어나간 이 책은 솔직히 읽는 내내 소름이 돋았다. 만약 내가 누군갈 죽이고 싶으면, 나는 그저 노래를 흥얼거리기만 하면 된다. 그럼 그 누군가는 그대로 쓰러져 평생 잠이 든다. 그 방법을 깨닫게 된 주인공 칼은, 그 충동을 자제할 수가 없다. 내가 만약 그 상황이 된다고 해도 그렇지 않았을까? 처음엔 감당하지 못할 힘을 경외시하며 무서워하다가, 사회악을 없애고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쓸 수 있다고 생각하다가, 결국 스스로 신이 되고자 할 것이다.  책 후반부로 가면 헬렌과 칼은 죽음의 주문이 담겨있던 고서 ‘그리모아’를 발견해내고, 그 책안에는 또다른 강력한 주문들이 가득하고 그들은 또 그것을 활용한다. 사랑의 주문, 사람을 조종하는 주문들이 서로 뒤엉키고 엉망이 되어 칼을, 나를 헷갈리게 했다. 책을 끝까지 읽어지만, 알 수 없는 찝찝함이 남는 책이다.   내가 진짜로 워하는 게 무엇인지와 무엇을 원하도록 꾐에 빠졌는지도 알 수 없다.내가 말하고자 하는 건 자유 의지다.우리에게 그것이 있을까?– 본문 중.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