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c
001 2210080698689
005 20110513105947
007 ta
008 100826s2010 ulkad 001c kor
020 a9788989007470g03180
035 a(KERIS)BIB000012141127
040 a241018c241018d221008
041 akorheng
056 a511.181325
245 00 a아이브레인 :b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진화하는 현대인의 뇌 /d개리 스몰,e지지 보건 [공]지음 ;e조창연 옮김.
260 a서울 :b知와사랑,c2010
300 a328 p. :b삽도, 도표 ;c22 cm.
500 a색인: p. 325-328.
500 a부록: 1. 첨단 테크놀로지 용어, 2. 단축용어와 이모티콘, 3. 추가 정보
500 a원저자명:Small, Gary W.
500 a원저자명:Vorgan, Gigi
504 a참고문헌: p. 289-319
504 a서지적 각주 수록
507 tiBrain : surviving the technological alteration of the modern mind.
650 aBrainxEvolution
650 aDigital mediaxPsychological aspects
650 aNeuroplasticity
653 a두뇌a뇌과학
700 aSmall, Gary W.
700 aVorgan, Gigi
700 a조창연,e옮김.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2141127
900 a스몰, 개리
900 a보건, 지지
950 0 b₩16000
아이브레인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진화하는 현대인의 뇌
Material type
단행본 동양서
Title
아이브레인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진화하는 현대인의 뇌
Publication
서울 : 知와사랑 2010
Physical Description
328 p : 삽도, 도표 ; 22 cm.
Keyword
색인: p. 325-328. / 부록: 1. 첨단 테크놀로지 용어, 2. 단축용어와 이모티콘, 3. 추가 정보 / 원저자명:Small, Gary W. / 원저자명:Vorgan, Gigi / 참고문헌: p. 289-319 / 서지적 각주 수록
Subject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511.1813 스35아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814239
Call no.
511.1813 스35아 =2
Location Mark
Location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833806
Call no.
511.1813 스35아
Location Mark
Location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Small, Gary W.
2011-01-13
IT 산업, ICT, I-NET 등 테크놀로지 산업사회와 어울리는 단어들에는 ‘I’가 들어간다. 그런데, 그런 디지털 테크놀로지 시대에 맞춰 진화하는 현대인의 뇌에 대한 이야기가 여기 있다. 뉴런 등 신경세포의 이야기도 나오고, 부록으로는 첨단 테크놀로지 전문용어와 문자메시지 단축용어, 이모티콘, 추가정보까지 전문적인 내용도 많이 나온다. 나같은 디지털이주민같은 경우는 어렵다고 느껴질 수 있겠다. 처음 컴퓨터를 접했을때가 초등학교시절이었다. 코브라라는 아주 좁은 네트워킹으로 우리 학교와 몇몇 학교의 학생들만 콩글리쉬로 흑백모니터에 글을 써가며 채팅아닌 채팅을 했었다. 그 또한 신기한 경험이었는데, 그 이후로 DOS와 Window로의 발전은 나같은 디지털 이주민을 한층 더 윤택한 삶을 살도록 이끌어주었다. 글도 모르는 4살 어린 조카가 어느 날 컴퓨터로 게임을 한다던가, 여기 저기 들어가 예쁜 그림을 보고 있는 장면은 나를 기죽게 만드는 또 하나의 장면이다. 새로이 출시되는 아이폰 앞에서는 내 손 안의 폴더폰이 그 옛날(불과 10여년 전) 부의 상징이던 냉장고폰 보다도 못 하다는 느낌은 또한 나를 기죽게 만든다. 공짜로 내게 주어진다 해도 마음껏 누리지 못 할 디지털 테크놀로지 세상인 것이다. 유연한 뇌로 그 많은 것들을 쏙쏙 받아들이는 젊은 디지털원주민세대는 대신 우리 디지털 이주민에게는 없는 부작용들이 일어나고 있다. 그 또한 이 책에서 잘 설명되어지고 있고, 검사항목까지도 간단히 소개되어진다. 또한 주변에 흔히 일어나는 상황을 꽁트처럼 소개하면서 디지털원주민과 디지털 이주민 사이에 일어날 수 있는 일들을 재미있게 소개해주기도 한다. 그런 부분은 끄덕끄덕, 맞아맞아를 연발하며 읽게 된다. 문화적 충돌까지 저자는 소개하면서,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팁을 주기도 한다. 어쩜 그리도 내가 느끼는 것과 비슷한지… 두꺼운 다이어리를 들고다니는 옆사람을 비웃듯 내 손의 스마트폰을 보고 있는데, 지나가던 사람이 나를 치고 가면서 내 스마트폰은 깨져버리고 만다. 그 옆을 유유히 비웃듯 지나가는 다이어리의 그녀. *^^* 이 책을 읽다보니, 이해하지 못 했던 요즘 젊은 세대들에 대한 이해와 미래 사회에 대한 예측까지도 가능하게 된다. 미래의 뇌는 메모지와 기록된 스마트폰이 잘 어우러지는 진화한 뇌가 아닐까?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