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c
001 2210080006973
005 20050831000000
008 931229s1961 ulk 000af kor
040 a221008
100 a오미,천순평
245 00 a人間의 條件/d五味川純平 著;e李晶潤 譯. -
260 a서울:b正向社,c1961. -
300 a3책.;c19cm. -
650 a일본소설
700 1 a이,정윤,e역
950 aFB
950 b₩900
人間의 條件
Material type
단행본 동양서
Title
人間의 條件
Author's Name
Publication
서울: 正向社 1961. -
Physical Description
3책; 19cm. -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33.6 이73인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012305
Call no.
833.6 이73인
Location Mark
Location
자연대보존서고Ⅱ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012306
Call no.
833.6 이73인
Location Mark
Location
자연대보존서고Ⅱ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오미,천순평
2013-10-14
탈정치를 말하다!  그리스의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정치적 동물(Zoon politikon)’이라고 하였다. 하지만 후에 토마스 아퀴나스의 표준적 번역은 정치적이란 말을 사회적이란 말로 무의식적으로 대체한다. Homo est naturaliter politicus, id est, socialis 그리스어에 해당하는 낱말이 없다는 사실은 이 오역이 상당한 의미가 있다는 것을 뜻한다. 생물학적 삶은 다른 형태의 동물의 삶이나 동물로서의 인간에게나 동일한 것이다. 그리스 사상은 인간은 사적생활 외에 일종의 두 번째 삶인 정치적 삶을 부여받았음을 의미한다. 그들에게 있어 설득하기보다 폭압적 수단으로 사람을 다루는 것은 전정치적(Pre-political)으로 판단했다. 이 방식은 폴리스 밖의 생활, 즉 가장이 전제적 권력을 휘두르는 가부장적 질서이다. 즉, 이는 ‘정치적’이란 단어를 ‘사회적’이란 단어로 옮긴 라틴어 번역의 가장 심각한 오해는 토마스 아퀴나스가 가정지배의 본질과 정치적 지배의 본질을 비교하는 논의에서 가장 분명하게 드러난다. 절대적이고 저항할 수 없는 지배와 정치적 영영은 상호배타적이다. 사적공간의 절대성은 현대사회의 가장 중요한 요소인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공동의 세계 밖에서 오직 ‘자기 자신(idion)’의 사적 자유로 일생을 보내는 삶을 ’백치와 같은 삶(idotic)’이라고 정의한 그리스인의 생각에 동의할 수 없으며, 사생활은 단지 공적 삶의 일거리로부터 일시적인 피난처일 뿐이라는 로마인의 생각에도 동의할 수 없다. 과거에 사생활은 소외와 배제일 뿐이었다. 하지만 현대에서는 사적 영역이 공적 영역을 침범하는 일은 빈번하다. 현대사회에서는 노동으로부터의 자유가 목표로 해야 할 보다 고차적이고 의미있는 인간활동을 더 이상 알지 못한다. 사람들이 노동의 방식으로 함께 살아가는 까닭에 평등한 이 사회에서는 정치적인 귀족제도나 계층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렌트는 노동은 인간에게 남아 있는 유일한 활동이라는 최악의 사태에 도달했다고 평하였다.   잉여의 구조와 인간의 조건   아렌트는 그의 저서에서 인간의 조건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노동, 작업, 행위 노동이란, 인간의 반복적인 활동을 말하는 것이다. 작업은 인간의 노동이 영속성을 갖게하는 것을 말한다. 행위란, 노동의 필연성과 작업의 도구성 어느 것도 절대화되지 않도록 하고 동시에 서로 유기적 관계를 맺도록 만드는 인간의 기초적 활동이다. 이렇게 인간은 노동의 활동은 생명의 조건에, 작업의 활동은 세계성의 조건에, 그리고 행위의 활동은 다원성의 조건에 부합한다. 생각해보면 현대 사회의 노동생산성은 무서울 정도로 빠르다. 사무자동화 등을 통해서 기존의 인간의 작업을 대신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에서는 인간의 무용성을 증명함으로써 인간을 완전히 배제하고자 한다. 이는 독특한 태도가 아니다. 세계 대전 당시에 나치 독일이 보여준 제노사이드의 경우, 사회에서 인간을 어떻게 규정할 수 있는지 보여주였다. 아렌트에 의하면 전체주의적 지배의 본질은 인간에게서 인간성을 완전히 박탈하는데 있다는 것이다. 이 전체주의적 과정이란 무엇일까? 그것은 인간이 피룡없는 유토피아를 건설하겠다는 목표 아래 궁금적으로는 인간을 쓸모없게 만드는 모던적 태도를 의미한다. 급속한 인구팽창과, 지속적인 과학의 기술의 발전 그리고 이에 따른 고향 상실의 증대로 특징지어지는 시대에 대중들은 실제로 공리주의적 범주의 의미에서 보면 남아돌아가는 사람이 된다. 즉, 잉여 세대의 탄생이다. 이 잉여 세대는 노동이 박탈되었을 뿐이지만, 인간의 모든 것을 잃었지도 하다. 작업으로서 인간 사회에 기여할 방법도, 그리고 행위로서 인간 사회에 참여할 의지도 잃어버렸다. 과연그가 말하길 근대의 과정은 세계소외의 과정이었다. 청년실업의 시대, 하지만 대한민국은 여전히 돌아가고 있다. 대한민국을 움직이는 작업은 언제나 진행 중이다. 오히려 국가의 쓰임 필요 이상을 만들어냄으로써 수출 중심의 국가가 되었다. 하지만 이 시대의 20대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는 여전히 의문이다. 탈정치와 탈사회를 말하면서, 정치적 무관심을 토로하는 세대. 과연 그 이전 세대와 무엇이 다른가를 살펴보면, 한나 아렌트의 말이 공감이 간다. 인간은 인간답게 살아야한다. 이러한 실천철학적 방향을 바탕으로한 아렌트는 인간의 조건들, 인간적 활동들과 삶에 대해 말하고 있다. 책의 마지막은 이렇게 끝나고 있다. “사람은 그가 아무것도 행하지 않을 때보다 활동적인 적이 없으며, 그가 혼자 있을 때보다 더 외롭지 않은 적은 없다.” 침묵하고 배타적이며, 소외된 사회 속에 아렌트가 제시한 길을 묻는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