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k
001 2210080686080
005 20120816101415
007 ta
008 091104s2009 ulka 000cm kor
020 a9788915072725g03810
035 a(KERIS)BIB000011824333
040 aezmarccezmarcd241050d222001d221008
056 a81824
245 00 a할머니 의사 청진기를 놓다 /d조병국 지음.
260 a서울 :b삼성,c2009g(2012 9쇄)
300 a311 p. :b삽도 ;c21 cm.
500 00 a6만 입양아의 주치의이자 엄마였던 홀트아동병원 조병국 원장의 50년 의료일기
653 a한국문학a수기a일기a의료일기
700 1 a조병국
950 0 b\12000
할머니 의사 청진기를 놓다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할머니 의사 청진기를 놓다
Author's Name
Publication
서울 : 삼성 2009
Physical Description
311 p : 삽도 ; 21 cm.
Keyword
6만 입양아의 주치의이자 엄마였던 홀트아동병원 조병국 원장의 50년 의료일기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18 조44할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086055
Call no.
818 조44할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250110
Call no.
818 조44할 =2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보존서고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조병국
2012-11-30
* 인터넷 접속이 잘 되지 않아서 나중에 올리는 점에 대해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감동적인 이야기이다. 평생을 아동복지에 의해 일생을 바친 분의 이야기는 하나하나가 의미있다. 하지만 이 소재는 결코 글쓴 사람처럼 아름다운 것이 아니다.  우리나라는 입양공화국이다. 공공연하게 입양하면 한국이라는 소리도 있다. 우리나라의 해외입양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다. 미국 등 해외언론에서는 이를 비꼬아 태극기에 한국입양아를 그려넣기도 한다. 그리고 해외입양이라는 것 자체가 사람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한때 우리나라에서도 입양아가 주인공인 드라마가 나왔었다. ‘웃어라 동해야’에서 동해가 그인데, 입양이라는 결정이 사람의 인생에 어떻게 받아들여질까는 다시금 생각하게 된다. 물론 이 책은 해외입양에 대해 쓴 글이 아니다. 전반적인 입양문화와 그 사이에 느꼈던 감정들을 담담하게 적고 있다. 하지만 내가 아는 입양의 현실은 이것보다 더 냉혹하다.  입양아로서의 삶은, 장애인으로 태어난 삶은, 우리 사회를 살아가는데 큰 짐이다. 얼마 전 해외입양자는 일반인보다 5배 정도의 실업률과 자살률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그런데 조사한 곳은 북유럽식 복지국가였다. 그렇다면 다른 나라는 어떨까. 굳이 말을 하지 않아도 알 것이다. 특히나 여기서 입양 가는 곳은 미국이 많다. 미국은 좀 더 나을 것이라며 해외입양을 보내면서 이 아이가 겪을 상처가 애처롭다. 입양을 거치면서 성공한 사람들도 있다. 이 야이기에 나오는 주인공의 일부도 그런 사람이고 운동선수에서 의사 등 홀트아동복지회가 많은 사람의 희망이 되고 있음을 말해준다. 하지만 그런 사람만 있는 것이 아니다. 이 책에는 일일이 나열하지 못하는 수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도 알기에 불편한 마음으로 책을 읽는다. 중간에 파양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한 번 파양된 아이는 계속 파양받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그런 상처는 아이의 감성을 처참하게 파괴한다. 그러면서 아이의 성경이 안 좋니, 아이가 이상하니 하면서 사회적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라 아니의 책임으로 돌린다. 과연 이러한 현실 속에 이것이 동화 속의 이야기가 될 수 있을까. 따뜻한 이야기가 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든다. 구정물에 피어난 연꽃은 그 자체로 아름다기는 하지만 그 구정물이 갑자기 깨끗해지지는 않는다. 할머니 의사의 담담한 수필이 오히려 사회를 고발하는 듯 하다. 마지막에 입양과정과 입양아의 미래를 다루는 이야기가 있었다. 그리고 자기를 버린 모국과 친부모에 대해 이제는 모두 이해했다는 수잔의 이야기에서 더 미안한 감정이 든다. 매우 가슴아픈 이야기이며, 책 속에서 울고 웃는 감정들이 하나의 비극처럼 느껴진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