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c
001 2210080678980
005 20111108110814
007 ta
008 090828s2009 ulka 000c kor
020 a9788915071247g13980
035 a(KERIS)BIB000011743809
040 a244002c244002d244002d221008
056 a816.624
245 00 a당신의 아프리카에 펭귄이 찾아왔습니다 :b테오 에세이 /d테오 [지음]
260 a서울 :b삼성출판사,c2009
300 a239 p. :b색채삽도 ;c19 cm.
500 a"Republic of South Africa" -- 겉표지
500 a'테오'의 본명은 '장태호'임
653 a남아프리카a여행a지리자료
700 1 a테오
900 a장태호
950 0 b\12000
당신의 아프리카에 펭귄이 찾아왔습니다 :테오 에세이
Material type
단행본 국내서
Title
당신의 아프리카에 펭귄이 찾아왔습니다 :테오 에세이
Author's Name
Publication
서울 : 삼성출판사 2009
Physical Description
239 p : 색채삽도 ; 19 cm.
Keyword
"Republic of South Africa" 겉표지 / '테오'의 본명은 '장태호'임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16.6 테65당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995934
Call no.
816.6 테65당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보존서고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테오
2011-03-29
  이 책은 ‘여행 에세이’ 입니다.공부, 성적, 취업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떨쳐내버리고 싶어문득 여행을 가고 싶으신 분들이 많으실텐데요,저의 마음과 머릿속을 상쾌하게 해준 ‘당신의 아프리카에 펭귄이 찾아왔습니다’ 를 추천합니다. 저는 여행 에세이를 읽기 전에 편견이 있었습니다.사진만 많고 글도 없는것 같고 배울것도 없을거라는 편견 말입니다.하지만 이런 저런 여행 에세이들을 많이 접하면서 그러한 편견은 사라졌습니다.수많은 에세이를 읽다 보면 따뜻함, 정겨움, 고단함, 산뜻함 등의 느낌이 많지만따뜻함 보다는 시원 혹은 상쾌함을 전하는 이 책.여기에는 인생교훈과 떠나는 여행의 설렘, 그리고 그 속에 녹아있는 사랑이야기들이 담겨있습니다.    – 가난하고 척박한 땅이 가득한 사진이 기다리고 있을것 같나요?      산호해변이 빛나는 바다, 모래사막, 끝이보이지 않는 정원 위의 와인농장,       산을 깎아 인공잔디를 심어 만든 골프장이 아닌 자연과 함께하는 자연골프장 등 의외의 모습으로 가득합니다.    – 여러분이 상상하는 모습도 있습니다.     물론 그 속에는 더더욱 마음 아픈 사연이 있죠.     ” 가난한 흑인들의 마을입니다.     넬슬 만델라에 의해 흑인들이 자유를 되찾았을 때,     백인들이 빼앗아간 땅과, 땅속의 다이아몬드와 움켜진 돈들은 그대로 둔 채     그저 자유 하나만을 되찾았을 때, 가난한 자유지만 그래도 죽을 듯 행복해하며 눈물 흘리고     잔치를 벌이던 바로 그들만의 마을입니다. “                   – 본문 中 –  아프리카에 펭귄이 산다는 놀라운 사실과 함께, 아름다운 남아프리카 속으로 꼭 다녀오세요 !   ”  길을 잘못 들었다는 것은 때로 행운을 가져다줍니다.     의외의 사랑을 발견하게 되는 것입니다.     늘 그런것은 아니지만, 사람이 살아가면서 간혹 길을 좀 잃어주는것도 좋을거라 생각합니다.     제 힘으로는 다른 길로 발을 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정해진 길로부터 벗어나는게 두려운 것입니다. “                                   – 본문 中 –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