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k
001 2210080633540
005 20071213151720
007 ta
008 060803s2006 ggka 000c kor
020 a8974831937
035 a(KERIS)BIB000009000637
040 a221008d221008
056 a810.90524
100 a혜경궁 홍씨q惠慶宮 洪氏d1735-1815
245 00 a(내 붓을 들어 한의 세월을 적는다)한중록 /d혜경궁 홍씨 지음 ;e이선형 옮김
260 a파주 :b서해문집,c2006.
300 a427, [4] p. :b삽도 ;c23 cm.
440 a오래된 책방v4
500 00 a권말에 연표 수록
504 a참고문헌 수록
653 a한중록
700 1 a이선형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4u.net/keris_abstoc.jsp?no=09000637
950 0 b\11700
(내 붓을 들어 한의 세월을 적는다)한중록
Material type
단행본 동양서
Title
(내 붓을 들어 한의 세월을 적는다)한중록
Author's Name
총서명
오래된 책방 v4
Publication
파주 : 서해문집 2006.
Physical Description
427, [4] p : 삽도 ; 23 cm.
Keyword
권말에 연표 수록 / 참고문헌 수록
ISBN
Subject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10.905 혜14한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1021168
Call no.
810.905 혜14한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021169
Call no.
810.905 혜14한 =2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021170
Call no.
810.905 혜14한 =3
Location Mark
Location
부민자료실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혜경궁 홍씨
2011-01-13
책을 드는 순간, 어두운 우리의 과거역사이기에 그렇고, 두께도 그렇고 활자도 그렇고 내게는 부담으로 살짝 내리누르는 느낌이었다. 하지만, 첫장을 펴서 읽으면서 그런 나의 걱정은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그 옛날 글을 어쩌면 이리도 우리가 잘 읽을 수 있도록 현대어로 매끈하게 풀어냈는가 다시 한 번 찬탄할 따름이다. 영조께서 자신의 유일한 아들인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게 했다는 것은 처음 중학교 역사시간에 배우면서 ‘아무리 조선의 르네상스시대를 열었던 왕이지만, 자신의 아들을 죽게 했다면 약간은 제정신이 아닌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어린 마음에 했던 기억이 난다. 왕위를 아들보다 손자를 이뻐해서 손자에게 왕위를 물려주기 위해 아들을 죽인 듯, 뭐 단순하게 그렇게만 생각했던 나의 어리석음이었을 것이다. 사도세자의 부인인 혜경궁홍씨는 그 치열한 궁에서 80을 넘겨 오래 장수 하시면서, 세 분의 왕을 모신 분이다. 지아비인 사도세자에게선 사랑을 못 받았을지 몰라도 시아버지인 영조의 사랑을 받았고, 아들인 정조와 손자인 순조의 효를 받았으니, 스스로는 모진 목숨을 스스로 끊지 못 해 한이 맺혔을지 몰라도 그렇기에 오늘날 우리가 어느 정도는 사실에 입각한 중요한 역사를 알게 된 것 아닌가 싶다. 처음 혜경궁홍씨는 친정 조카의 부탁으로 글을 쓰게 되면서 한중록을 남기게 된다. 그 어려운 시집살이인 궁에서의 생활을 위해 간택되던 어린시절부터 혼례를 올리고 그 험한 사도세자의 죽음을 겪어내고도 꿋꿋이 아들을 지키겠다는 일념으로 살아낸 그녀를 보면 전형적인 이땅 조선의 어머니의 모습이다. 남편에 대한 이야기, 자신에 대한 이야기, 친정에 대한 이야기 등 여러 이야기가 펼쳐지는데 제일 관심이 가는 이야기가 물론 남편에 대한 이야기 이다. 왜 사도세자가 ‘의대증’이란 정신적인 병을 얻을 수 밖에 없었는지까지 혜경궁홍씨는 분석해놓고 있다. 자신의 판단으로는 어린시절부터 아버지인 영조의 사랑을 듬뿍 받지 못 하고 어려워만 하던 중 그리 되었을 것이라고 하는데, 이는 요즘 말하는 어린 시절 부모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지와도 일맥 상통하는 이야기 이다. 또한, 의대증으로 주변인물까지 살해하고 지팡이모양의 칼까지 만들어놓는 사도세자의 모습을 자세히 그려놓아 사도세자의 예와 기가 높았음을 우리는 또한 알 수 있다. 혜경궁홍씨는 특히 친정에 대한 변명 편에서는 아군과 적군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그 당시 정치 상황을 극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한중록 중 어느 편이 원본이고 필사본인지 확실치 않지만, 그런 그녀의 노력 덕분으로 오늘날 나와같은 역사에 대한 무식쟁이가 조금 눈을 뜰 수 있어서 고마운 일이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