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cam k
001 2210080565703
005 20100426151852
008 060329s2006 ulka 001a kor
020 a8991510175g03900
035 a(KERIS)BIB000010267894
040 a221008d221008
056 a701.724
245 00 a번역은 반역인가 /d박상익 지음.
260 a서울:b푸른역사,c2006
300 a275 p.:b삽도;c23 cm.
500 b우리 번역 문화에 대한 체험적 보고서
500 z부록:p.230-255
504 a참고문헌(p.256-260)과 색인수록
653 a번역a반역
700 1 a박상익
950 0 b₩12000
번역은 반역인가
Material type
단행본 동양서
Title
번역은 반역인가
Author's Name
Publication
서울: 푸른역사 2006
Physical Description
275 p: 삽도; 23 cm.
Keyword
기타 표제 : 우리 번역 문화에 대한 체험적 보고서 / 참고문헌(p.256-260)과 색인수록
ISBN
Subject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701.7 박52번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998248
Call no.
701.7 박52번 =3
Location Mark
Location
법학도서분관보존서고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998249
Call no.
701.7 박52번 =4
Location Mark
Location
법학도서분관_지하서고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박상익
2011-01-13
우리나라에서 번역가에 대한 예우가 무척 낮다는 것과 작업하는 데 드는 노동력에 비해 임금이 터무니없이 부족하다는 것을 다른 사람을 통해 익히 들어 알고 있었다. 그러나 이 책은 그 실상을 더욱 적나라하게 보여주었다. 교수인 동시에 번역가인 박상익은 역사적으로 본 번역의 중요성을 설파한 후 경험을 통해 느낀 우리나라 번역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어느 시대건 역사적으로 획을 긋는 문화의 번창이 이루어졌던 때가 있었고, 대개 번역을 통해 번창이 시작되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슬람이나 서유럽, 하물며 근대의 일본까지 모두 번역을 통해 새로운 사상이나 지식을 구했고, 여기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언어의 확장까지 이루어 사고의 틀을 넓혔다. 새문화의 꽃이 피어오르는 순간들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실상은 어떠한가? 번역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전무하다시피 하고, 번역료도 선진국들에 비해 터무니없이 낮다. 노동(혹은 노력) 대비 임금이 받쳐주지 않으니 그 질은 더욱 떨어질 수 밖에 없고, 결국 박상익이 지적한 대로 오류 투성이의 책이 넘쳐나는 것이다. 인문학도나 번역에 뜻이 있는 사람에게 권한다. 번역에 뜻이 없어도 교양 차원에서, 또 사회의 문제점을 번역이라는 관점에서 관찰하고 생각해보는 의미에서 한번쯤 읽어볼 것을 권한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