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k
001 2210080377219
005 20200814110410
008 021202s2002 ulk 000a kor
020 a8970131450(세트)
020 a8970133542g04340 :c\4900
040 a221008
056 a912.0524
100 a정철웅
245 00 a역사와 환경 :b중국 명청 시대의 경우 /d정철웅 지음
260 a서울 :b책세상,c2002.
300 a173 p. ;c21 cm.
440 a책세상문고.p우리시대 ;v065
541 c수증;a동아대학교 사학과 신태갑 교수님;d2020.07.22e(E1170513)
653 a중국역사a명청시대
950 0 b\4900
역사와 환경 :중국 명청 시대의 경우
Material type
단행본 동양서
Title
역사와 환경 :중국 명청 시대의 경우
Author's Name
총서명
책세상문고. p우리시대 ; v065
Publication
서울 : 책세상 2002.
Physical Description
173 p ; 21 cm.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912.05 정83역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754775
Call no.
912.05 정83역
Location Mark
Location
자연대보존서고Ⅱ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754776
Call no.
912.05 정83역 =2
Location Mark
Location
자연대보존서고Ⅱ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1170513
Call no.
912.05 정83역 =3
Location Mark
G
Location
기증문고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정진상
2011-01-13
2004년은 나에게 아주 특별한 해였다. 그 해는 6공화국 건설 이후 최초로 진보정당인 민주노동당이 원내정당이 된 해였다. 2004년 민주노동당의 총선공략 중 눈에 띄는 것은 바로 무상의료, 무상교육, 서울대폐지 이 3가지 였을 것이다. 특히 3번째의 서울대폐지는 가장 눈에띄지 않을 수 없다. 바로 이 공략이 경상대 사회학과 전진상 교수가 내 놓은 국립대 통합네트워크이다. 정진상 교수님께서 나중에 말씀하셨지만 서울대폐지는 이 정책의 내용이 아니다. 서울대를 없에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커다란 네트워크 중 하나에 속하게 되는 것일 뿐이다. 그러나 민주노동당이 ‘서울대폐지’라고 건 이유는 선거를 위한 표현에서 비롯되었다. 정책의 내용을 보면 매우 신선하다. 국립대를 통합하고 준국립대(사립대중 일부를 국립대화 시키는 것)를 포함하여 커다란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수능을 폐지하며 대학입학자격시험으로 대체하고 학교지정은 무작위(소위 뺑뺑이)로 하지만 네트워크 속의 대학이면 어디서든 강의를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 인한 2차 3차 효과는 입시경쟁이 없어짐에 따라 사교육이 줄어들고 이를 무상교육으로까지 활용이 가능하며 대학평준화가 이루어진 시점에서 전문대학원제도를 시행하면 전문인력에 대한 효율이 올라간다는 것이다. 대한민국에서 살면서 가장 큰 문제를 뽑아라면 교육문제가 아닐 수 없다. 정부는 대학서열이라는 본질적 문제를 보지 못한체 EBS강의와 같은 허구적인 안건들을 만들어 오히려 국가가 가정을 사교육시켜주고 있는 실정이다. 정말로 이 입시체제가 답답하다면, 그리고 사회에서 학벌로 차별받고 있다면 이 책을 권한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