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001 2210080251477
005 20140709155359
008 951108s1995 bnk m FB 000a kor
040 a221008
100 a성미정
245 00 a박노갑 소설 연구/d성미정 저. -
260 a부산:b동아대학교,c1995. -
300 a66p.;c27cm. -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c국어교육전공d`95년8월
520 b영문초록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osition of a literary history of Park No-Gab's novel, and to grasp a property of his work. In this study, 1 divided the work into four periods and considered how to form the features of those colonial period in return for the first-the third period's works (「AnHae : The Wife」 1937- 「SaeByuck : The Down」 1943). I analyzed the works in order of distinctive features of backgrounds, characters and a literary style. The features of backgrounds is to show a looks of a poor country and a city. In a novel of country, a desolation of humanity is also outstanding in. proportion to a poor life. They are not so strong that there are opposition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So there are not any opposition between these. Also, poverty is due to a disaster or a disease like a flood and a drought and so on. So there are not an exact diagnosis of the reality of the colonial period. A novel of city emphasizes that it shows the lethargy and the poor situation of the main characters, who are intellectuals. This is the result of the writer 's objectivity. In the features of the characters, women who are stronger than men have a tendency to enter. The men in Park's novel are generally spiritless and passive. On the contrary women are active and strong, opposing the fate. The literature in Do-chon's novel, are almost unemployed persons. They usually live in cities and have a difficulty in living. Do-chon shows the contradiction of the colonial education and a dark reality in 1930's through the literatures' upset and spiritless life. Do-chon's characters in a country novel are tenants, farm servents, or workers. They are all the characters who have a difficulty in solving their food, clothes and housing (the basic condition of their lives) and are incapable of improving their situation. The future of these characters are thoroughly closed. This can speak for the dark situation of the colonial. In the features of the literary style, a frequent use of mimesis and a repeat of similar sounds make us feel a tedious tune. Sometimes the writer intervenes his work like in an ancient novel or a telling of a dramatic song. But he describes psychology with simple sentences. Another feature of the literary style is that there are many conversation. That is to say, affairs are developed in depend on conversation. Do-chon presents the personality of charcters in depend of conversation or the psychological description. This is the view of a self-effacing author and makes the work look better of realism. In a theme and a way of recognizing the actual, Do-chon's theme is shape of a life in a poor country and a city. He forms the shape of reality in 1930's through this kind of theme. But in a country novel he analyizes that poverty is due to a disaster or a disease. Preferably it limits the recognition of the reality. On the contrary, the city novel, whose main character is a literature, shows only the real situation, and this preferably contributes toward forming the darkness of those days. And Do-chon has a litle mocking manner about a socialism. As we can know above summary, Do-chon, Park No-gab shows the shape of the colonial days without a ideological color and without pretending. and his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is more remarkable in a city novel than in a country novel.
520 b한글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박노갑 소설의 문학사적 위치를 구명하며 작품 특질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박노갑의 작품을 4기로 나누고, 그 중 1-3기까지의 작품 (1937년 「안해」 부터 1943년 「새벽」 까지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식민지하라는 당대 현실의 모습을 작가가 작품 속에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작품 분석에 있어 배경, 인물, 문체상의 특징 순으로 고찰하였다. 배경의 특성은 궁핍한 농촌과 도시의 모습을 보이는 데 있다. 농촌배경소설의 경우, 궁핍한 삶의 정도에 비례하여 인정의 황폐함도 두드러진다.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 사이의 대립이 일어날 만큼 못 가진 자가 강하지 못하며, 따라서 이들 사이의 대립도 없다. 또한, 궁핍의 원인을 홍수나 가뭄 등의 자연 재해나 질병에 두고 있으므로 식민지하 현실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겠다. 도시배경소설의 경우, 주로 지식인인 중심 인물의 무기력하고 궁핍한 처지를 보여주는 데 치중하며, 이런 점은 작가의 객관성 유지에서 기인한 결과라고 본다. 인물의 특성으로는 남성에 비해 강인한 여성이 등장하는 경향이 있다. 박노갑 소설의 남성이 대체로 무기력하고 소극적인 일면을 보이는 데 비해, 여성은 운명에 대항하는 적극적이고 강인한 면을 보인다. 도촌 소설에 등장하는 지식인은 실업자가 대부분이다. 이들은 주로 도시에 거주하나 의식주의 해결도 어려운 형편이다. 도촌은 좌절하고 무기력한 지식인의 삶을 통해 식민지 교육의 모순과 1930년대의 암담한 현실을 보여준다. 농촌배경소설에 등장하는 도촌의 인물은 소작농이거나 머슴 또는 일꾼 등이다. 이들은 모두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삶의 조건인 의식주의 해결에도 힘이 부치는 인물들로서 자신의 처지를 개선해 나가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런 인물들의 앞날은 철저히 닫혀 있는데, 이는 암담한 식민지 현실의 상황을 대변한다고 하겠다. 문체상의 특성으로는, 의태어의 빈번한 사용, 유사음의 반복 등으로 유장한 가락을 느끼게 하는 부분이 있는데, 때로는 고대소설이나 판소리의 사설처럼 작가의 직접적인 개입까지 나타난다. 그러나, 심리묘사 부분에서는 간결하고 군더더기 없는 문장으로 깔끔하게 표현하는 특징을 지닌다. 문체상의 또 하나의 특징은 대화가 많은 것을 들 수 있다. 즉, 대화에 의존하여 사건을 전개시키는 것이다. 도촌은 인물의 성격 제시에 대화나 심리묘사에 의존하는 방법을 취하는데 이는 자기 소멸의 저자(self-effacing author)의 관점으로 작품의 사실주의적 경향을 돋보이게 한다. 중심 제재와 현실 인식 태도에 있어 도촌이 다루는 중심 제재는 궁핍한 농촌과 도시에서의 삶의 모습이다. 이런 제재를 통해 1930년대 현실의 모습을 형상화하는데, 농촌배경소설의 경우, 궁핍의 원인을 자연 재해나 질병 등으로 분석하여 오히려 현실 인식의 한계를 드러낸다고 보여진다. 반면, 지식인이 중심 인물인 도시배경소설에서는 현실 상황을 보여주는 데 그치며, 이는 오히려 당대 현실의 암담함을 형상화하는데 기여한다고 하겠다. 그리고 도촌은 사회주의적 경향에 대해 다소 냉소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상의 요약에서 알 수 있듯이 도촌 박노갑은 식민지하 현실의 모습을 이데올로기적 색채를 전혀 띠지 않고 꾸밈없이 보여주며, 농촌배경소설보다 도시배경소설에서 현실의식이 더욱 두드러진다 하겠다.
541 c수증;a강용권 인문과학대학 한국어문학부 교수;d1998.10.27e(E0587504)
541 c수증;a강용권 인문과학대학 한국어문학부 교수;d1998.10.27e(E0587506)
650 a소설a평론a한국
700 1 a박노갑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4745
950 aFB
950 a비매품b₩3,000c(추정가)
박노갑 소설 연구
Material type
학위논문 동서
Title
박노갑 소설 연구
Author's Name
Publication
부산: 동아대학교 1995. -
Physical Description
66p; 27cm. -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95년8월
Keyword
영문초록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position of a literary history of Park No-Gab's novel, and to grasp a property of his work. In this study, 1 divided the work into four periods and considered how to form the features of those colonial period in return for the first-the third period's works (「AnHae : The Wife」 1937- 「SaeByuck : The Down」 1943). I analyzed the works in order of distinctive features of backgrounds, characters and a literary style. The features of backgrounds is to show a looks of a poor country and a city. In a novel of country, a desolation of humanity is also outstanding in. proportion to a poor life. They are not so strong that there are opposition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So there are not any opposition between these. Also, poverty is due to a disaster or a disease like a flood and a drought and so on. So there are not an exact diagnosis of the reality of the colonial period. A novel of city emphasizes that it shows the lethargy and the poor situation of the main characters, who are intellectuals. This is the result of the writer 's objectivity. In the features of the characters, women who are stronger than men have a tendency to enter. The men in Park's novel are generally spiritless and passive. On the contrary women are active and strong, opposing the fate. The literature in Do-chon's novel, are almost unemployed persons. They usually live in cities and have a difficulty in living. Do-chon shows the contradiction of the colonial education and a dark reality in 1930's through the literatures' upset and spiritless life. Do-chon's characters in a country novel are tenants, farm servents, or workers. They are all the characters who have a difficulty in solving their food, clothes and housing (the basic condition of their lives) and are incapable of improving their situation. The future of these characters are thoroughly closed. This can speak for the dark situation of the colonial. In the features of the literary style, a frequent use of mimesis and a repeat of similar sounds make us feel a tedious tune. Sometimes the writer intervenes his work like in an ancient novel or a telling of a dramatic song. But he describes psychology with simple sentences. Another feature of the literary style is that there are many conversation. That is to say, affairs are developed in depend on conversation. Do-chon presents the personality of charcters in depend of conversation or the psychological description. This is the view of a self-effacing author and makes the work look better of realism. In a theme and a way of recognizing the actual, Do-chon's theme is shape of a life in a poor country and a city. He forms the shape of reality in 1930's through this kind of theme. But in a country novel he analyizes that poverty is due to a disaster or a disease. Preferably it limits the recognition of the reality. On the contrary, the city novel, whose main character is a literature, shows only the real situation, and this preferably contributes toward forming the darkness of those days. And Do-chon has a litle mocking manner about a socialism. As we can know above summary, Do-chon, Park No-gab shows the shape of the colonial days without a ideological color and without pretending. and his consciousness of the reality is more remarkable in a city novel than in a country novel. / 한글초록 : 본 연구의 목적은 박노갑 소설의 문학사적 위치를 구명하며 작품 특질을 파악하는 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박노갑의 작품을 4기로 나누고, 그 중 1-3기까지의 작품 (1937년 「안해」 부터 1943년 「새벽」 까지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식민지하라는 당대 현실의 모습을 작가가 작품 속에 어떻게 형상화하고 있는가를 고찰하였다. 작품 분석에 있어 배경, 인물, 문체상의 특징 순으로 고찰하였다. 배경의 특성은 궁핍한 농촌과 도시의 모습을 보이는 데 있다. 농촌배경소설의 경우, 궁핍한 삶의 정도에 비례하여 인정의 황폐함도 두드러진다. 가진 자와 가지지 못한 자 사이의 대립이 일어날 만큼 못 가진 자가 강하지 못하며, 따라서 이들 사이의 대립도 없다. 또한, 궁핍의 원인을 홍수나 가뭄 등의 자연 재해나 질병에 두고 있으므로 식민지하 현실에 대한 정확한 진단은 이루어지지 않았다고 하겠다. 도시배경소설의 경우, 주로 지식인인 중심 인물의 무기력하고 궁핍한 처지를 보여주는 데 치중하며, 이런 점은 작가의 객관성 유지에서 기인한 결과라고 본다. 인물의 특성으로는 남성에 비해 강인한 여성이 등장하는 경향이 있다. 박노갑 소설의 남성이 대체로 무기력하고 소극적인 일면을 보이는 데 비해, 여성은 운명에 대항하는 적극적이고 강인한 면을 보인다. 도촌 소설에 등장하는 지식인은 실업자가 대부분이다. 이들은 주로 도시에 거주하나 의식주의 해결도 어려운 형편이다. 도촌은 좌절하고 무기력한 지식인의 삶을 통해 식민지 교육의 모순과 1930년대의 암담한 현실을 보여준다. 농촌배경소설에 등장하는 도촌의 인물은 소작농이거나 머슴 또는 일꾼 등이다. 이들은 모두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삶의 조건인 의식주의 해결에도 힘이 부치는 인물들로서 자신의 처지를 개선해 나가기에는 역부족이다. 이런 인물들의 앞날은 철저히 닫혀 있는데, 이는 암담한 식민지 현실의 상황을 대변한다고 하겠다. 문체상의 특성으로는, 의태어의 빈번한 사용, 유사음의 반복 등으로 유장한 가락을 느끼게 하는 부분이 있는데, 때로는 고대소설이나 판소리의 사설처럼 작가의 직접적인 개입까지 나타난다. 그러나, 심리묘사 부분에서는 간결하고 군더더기 없는 문장으로 깔끔하게 표현하는 특징을 지닌다. 문체상의 또 하나의 특징은 대화가 많은 것을 들 수 있다. 즉, 대화에 의존하여 사건을 전개시키는 것이다. 도촌은 인물의 성격 제시에 대화나 심리묘사에 의존하는 방법을 취하는데 이는 자기 소멸의 저자(self-effacing author)의 관점으로 작품의 사실주의적 경향을 돋보이게 한다. 중심 제재와 현실 인식 태도에 있어 도촌이 다루는 중심 제재는 궁핍한 농촌과 도시에서의 삶의 모습이다. 이런 제재를 통해 1930년대 현실의 모습을 형상화하는데, 농촌배경소설의 경우, 궁핍의 원인을 자연 재해나 질병 등으로 분석하여 오히려 현실 인식의 한계를 드러낸다고 보여진다. 반면, 지식인이 중심 인물인 도시배경소설에서는 현실 상황을 보여주는 데 그치며, 이는 오히려 당대 현실의 암담함을 형상화하는데 기여한다고 하겠다. 그리고 도촌은 사회주의적 경향에 대해 다소 냉소적인 태도를 보인다. 이상의 요약에서 알 수 있듯이 도촌 박노갑은 식민지하 현실의 모습을 이데올로기적 색채를 전혀 띠지 않고 꾸밈없이 보여주며, 농촌배경소설보다 도시배경소설에서 현실의식이 더욱 두드러진다 하겠다.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13.6 성39박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24898
Call no.
813.6 성39박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24899
Call no.
813.6 성39박 =2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75951
Call no.
813.6 성39박 =3
Location Mark
D
Location
대학원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87504
Call no.
813.6 성39박 =4
Location Mark
G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87506
Call no.
813.6 성39박 =5
Location Mark
G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Book Overview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