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nam | |
001 | 2210080251476 | |
005 | 20140709153218 | |
008 | 951108s1995 bnk m FB 000a kor | |
040 | ▼a221008 | |
245 | 00 | ▼a늘봄 소설의 사상 연구/▼d윤충원 저. - |
260 | ▼a부산:▼b동아대학교,▼c1995. - | |
300 | ▼a62p.;▼c27cm. - | |
502 |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c국어교육전공▼d`95년8월 | |
520 | ▼b영문초록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on the type and the degree of Christianity shown in "NUL BOM's novel'. In this thesis, I devide his works into three periods to investigate the types and the degrees of christianity shown in his novels. In the first period, the type and the degree of Christianity were not ordered. In the second, they were direct and bare. but, in the third, they were matured with implicative and symbolic expressions. I studied the causes of the differences in each period in relation to the writer's changes in social position. I also understood 'NUL-BOM' had different thoughts about love, Poverty, and Death in contrast with the writers in his time. In his works, Love, the accomplishment of all laws and commandments in the Bible, was expressed as agape. And he had not depaired and discontented but self-satisfying and transcendent attitude towards poverty. He regarded the painful, desperate death as the enterance to the paradise. Especially, I analyzed the peronalities, names, occupations, and classes of the characters in his works to know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s and his christian thought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 personalities were plain, the names comman, the occupations humble, and the classes estrangedin his novels. As these characters wer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ve characters in the Bible, the fea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UL-BOM's novel got clearer. NUL-BOM was a pioner who opened a new horizon of Christian literature in Korea. And, in addition, As his works have qualitative and quantative importance as Christian novels, they must not be underestimated. | |
520 | ▼b한글초록 : 본고의 연구 목적은 늘봄 소설에 나타난 기독교 사상의 반영 정도와 양상 그리고 특징 둥을 살펴 그의 문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있다. 먼저, 기독교 사상의 반영 정도와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소설의 시기를 3기로 나누었다. 제1기에서는 사상의 반영과 양상이 혼란을 보이더니 제2기로 넘어 가면서 노골적이고 경직된 모습으로 전환되었다. 그리고 제3기에서는 함축적이며 상징적인 표현으로 사상 반영에 있어서 성숙성을 나타냈다. 이처럼 시기별로 달리 드러나는 사상반영의 양상을 작가의 사회적 위치변화와 관련시켜 그 원인을 찾아 보았다. 그리고 작품속의 사랑, 가난, 죽음에 대한 인식이 동시대의 여느 작가와는 다르게 나타나고 있음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모든 율법과 계명의 완성인 사랑은 아가페로 나타났고, 궁핍한 현실의 상징인 가난은 불평과 좌절이 아닌 자족과 기쁨의 현실 초월적인 모습으로 나타났고, 고통과 절망의 죽음은 낙원에의 입문이라는 기독교의 사상을 분명히 하고 있었다. 특히, 작중 인물과 사상의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성격, 명명, 계층과 직업을 분석해 보았는데, 여기서 발견된 특징은 소박한 성격, 서민적인 명명, 소외된 계층과 비천한 직업 등이었다. 그런데 이런 특징의 인물들이 성서 속의 긍정적인 인물들과 일치함으로써 늘봄 소설의 성격이 자명해졌다고 할 수 있다. 늘봄이 이 땅에 기독교 소설의 지평을 연 선구자라는 문학사적 업적 외에도 늘봄의 작품이 양이나 질적인 면에서 결코 과소평가 될 수 없는 기독교 소설로서의 중요성과 의의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
541 | ▼c수증;▼a강용권 인문과학대학 한국어문학부 교수;▼d1998.10.27▼e(E0587502) | |
541 | ▼c수증;▼a강용권 인문과학대학 한국어문학부 교수;▼d1998.10.27▼e(E0587503) | |
650 | ▼a소설▼a늘봄소설▼a기독교소설 | |
700 | 1 | ▼a전영택 |
856 |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4050 | |
950 | ▼aFB | |
950 | ▼a비매품▼b₩3,000▼c(추정가) |
Registration no. | Call no. | Location Mark | Location | Status | Due for return | Service |
---|---|---|---|---|---|---|
Registration no.
E0524896
|
Call no.
813.6 윤817늘
|
Location Mark
D
|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
Due for return
|
Service
|
Registration no.
E0524897
|
Call no.
813.6 윤817늘 =2
|
Location Mark
D
|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
Due for return
|
Service
|
Registration no.
E0575948
|
Call no.
813.6 윤817늘 =3
|
Location Mark
D
|
Location
대학원
|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
Due for return
|
Service
|
Registration no.
E0587502
|
Call no.
813.6 윤817늘 =4
|
Location Mark
G
|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
Due for return
|
Service
|
Registration no.
E0587503
|
Call no.
813.6 윤817늘 =5
|
Location Mark
G
|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
Due for return
|
Servic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