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k
001 2210080217994
005 20170221115019
007 ta
008 961209s1996 ulka 000am kor
020 a8971990937g03810
040 a221008
056 a816.623
245 00 a나무야나무야/d신영복 지음
260 a서울:b돌베개,c1996g(2008 44쇄)
300 a158 p. :b삽도 ;c23cm. -
500 00 z기증자: 학사관리과 황정후(E0981626), 2010.3.2.
541 c수증;a황정후 학사관리과 직원;d2010.03.02e(E0981626)
653 a기행문a현대문학
700 1 a신영복
950 0 b₩6500
나무야나무야
Material type
단행본 동양서
Title
나무야나무야
Author's Name
Publication
서울: 돌베개 1996
Physical Description
158 p : 삽도 ; 23cm. -
ISBN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16.6 신64나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240001
Call no.
816.6 신64나 =7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421918
Call no.
816.6 신64나 =13
Location Mark
Location
의학도서분관 보존서고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468964
Call no.
816.6 신64나
Location Mark
Location
자연대보존서고Ⅱ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468965
Call no.
816.6 신64나 =2
Location Mark
Location
자연대보존서고Ⅱ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468966
Call no.
816.6 신64나 =3
Location Mark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468967
Call no.
816.6 신64나 =4
Location Mark
Location
의학도서분관 보존서고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Registration no.
E0981626
Call no.
816.6 신64나 =6
Location Mark
G
Location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Status
대출가능
Due for return
Service
MMissing Book Request
IInter-Campus Loan

Book Overview

Book Reviews

신영복
2015-06-23
진정한 지식은 사랑을 통해서 얻을 수 있다고 작가는 말합니다. 그리고 어리석은 사람의 우직함이 세상을 바꿔간다고 합니다.   이러한 깊이있는 주제를 작가는 전국방방곳곳을 다니며 실감나고 와닿게 전달합니다. 작가가 갔던곳은, 유의태와 허준의 이야기가 담긴 밀양얼음골, 만해와 일해의 백담사, 무등산, 충무공의 한산섬등이 이 있습니다.   작가는 이러한 곳을 둘러보며 현세태에 대한 적나라한 비판도 서슴지 않습니다. 자본주의의 무한경쟁 논리, 물질만능주의, 타인과의 관계를 회피하는 왜소한 시민의식등에 관해서 말입니다.   가벼운 문화와 이를 즐기느라 정신없는 현세태에 대해 작가는 현재의 답사지와 그에관련된 과거의 경험을 통해 지금 우리는 밝은 미래를 위한 희망을 찾아야한다고 말하며 독자들에게 의문을 던집니다.   충무공은 큰 희생을 감내하며 싸웠지만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결국 전사하기에 이르렀으며, 우리나라는 왜 끊임없이 당쟁을 했는지, 등에 관한 의문이 그것입니다.   책의 내용이 전부 잘 기억나지는 않습니다만, 인상깊게 기억나는것은 사랑이었습니다. 사람에 대한 사랑과 관심, 배려와 같은 긍정적인 감정이 온사회 분위기에 퍼질때, 우리는 이웃을 외면하고 자신만의 가벼운 즐거움에만 매몰되어가는 것에서 빠져나와 모두가 행복해질 수 있는 사회에 살 수 있다는 기분좋은 느낌이 들고, 그에 이어서 작은것부터 실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게하는 책이었습니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