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k
001 2210080296509
005 20140912162416
008 991116s1999 bnk FB 000 kor
040 a221008
041 akor
056 a711.123
100 a옥소라
245 00 a현대 국어의 음절 구조와 변동 규칙의 상관성 연구 /d옥소라
260 a부산 :b동아대학교,c1999
300 aiii, 71장 :b삽도 ;c26cm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대학원:c국어국문학과,d1999
520 b영문초록 : This study is focused on illuminating the fiv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within the right-branching, one of various standpoint, of the syllabic struture so far. Recent studies concur that the syllable exists psychologically, and is the unit most easily recognized. However, the definition of the syllable and opinions on its structure are quite different. It, however, was quite different with the definition of syllable as the following ; a unit with the internal constituents including one syllabic sound (as per the definition of syllable in the phonologically method) and a unit with hierarchical structure. In addition, I will explain the syllabic structure based on hierarchical correlativity among syllabic constituents and phonological rules (neutralization, liaison, palatalization, nasalization) based on the right-branching structure according to c-command. In chapter Ⅱ, Ⅰ will show how previous studies of syllables have been done and what their problems were. I will state the direction of the precious study, whit emphasis on the problem of their different opinions of the definition of syllable and syllabic structure and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syllables in phonology. In chapter Ⅲ, Ⅰ am going to demonstrate that me choice of right-branching structure is based on hierarchical correlativity of the internal syllabic constituent, according to c-command. Previous studies of the definition of syllabic structure have been focused on external evidence such as utterance mistake, no-sa word game, secret language game and so on, rather than the correlativity of internal syllabic constituents. This study will justify the right-branching structure from the hierarchical correlativity of the syllabic constituents ; onset, nucleus, coda, for tight understanding about syllabic structure itself. In chapter Ⅳ, Ⅰ will examine fiv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 neutralization, liaision, palatalization, and nazalization. This will be done from the theoretical viewpoint of the right-branching structure chosen in the previous chapter. Chapter Ⅴ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520 b한글초록 : 이 연구는 지금까지 음절구조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 중에서 우분지 구조를 채택하여 국어의 변동규칙 다섯 가지를 조명해 보는데 있다. 그동안의 연구에서 학자들 간에 의견이 일치되는 부분은, 음절이 심리적으로 실재하며 보편적으로 쉽게 인식될 수 있는 단위라는 점이다. 그러나 음절의 정의를 내리는 문제나 그 구조를 바라보는 관점은 상당히 달랐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음절의 정의에 관해서는 음운론적인 방법으로 정의하여 '하나의 성절음을 포함한 내부 구성요소를 가지면서 계층적 구조를 가진 단위' 로 보겠다. 또, 음절의 구조에 관해서는 음절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사이의 계층적 관계 그 자체에 바탕을 두고 성분 통어 개념에 따라 우분지 구조를 채택하겠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일곱끝소리 되기, 겹받침 줄이기, 소리 이음, 입천장소리 되기, 콧소리 되기의 변동규칙을 설명해 가기로 한다. Ⅱ장에서는 이 논의를 전재해 나가기 전에 음절에 관하여 어떠한 연구가 행해져 왔으며 그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다. 구체적으로는 음절의 정의 문제 및 음절의 구조를 바라보는 학자들 간의 서로 다른 의견과 문제점 그리고 음절이라는 단위의 도입이 과연 음운론에서 필요한 것인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논의 전개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음절을 이루고 있는 내부 구성 요소 사이의 계층적 관계 그 자체에 바탕을 두고 성분 통어 개념에 따라 우분지 구조를 채택하겠다. 지금까지 음절의 구조를 증명하는 논의에서는 음절을 이루고 있는 내부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 보다는 발화 실수나 노사-말놀이, 비밀 언어놀이 등 외부적인 증거들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음절의 구조 그 자체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음절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들-초성, 중성, 종성-사이의 계층적 관계로부터 우분지 구조의 정당성을 찾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앞 장에서 채택된 바 있는 우분지 구조의 관점에서 국어의 변동 규칙 중 다섯 가지-일곱끝소리 되기, 겹받침 줄이기, 소리 이음, 입천장소리 되기, 콧소리 되기-를 규명해 나가기로 한다. V장은 이 논의의 맺음말 부분이다.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9970
950 0 a비매품b\3000c(추정가)
현대 국어의 음절 구조와 변동 규칙의 상관성 연구
Material type
학위논문 동서
Title
현대 국어의 음절 구조와 변동 규칙의 상관성 연구
Author's Name
Publication
부산 : 동아대학교 1999
Physical Description
iii, 71장 : 삽도 ; 26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1999
Keyword
영문초록 : This study is focused on illuminating the fiv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within the right-branching, one of various standpoint, of the syllabic struture so far. Recent studies concur that the syllable exists psychologically, and is the unit most easily recognized. However, the definition of the syllable and opinions on its structure are quite different. It, however, was quite different with the definition of syllable as the following ; a unit with the internal constituents including one syllabic sound (as per the definition of syllable in the phonologically method) and a unit with hierarchical structure. In addition, I will explain the syllabic structure based on hierarchical correlativity among syllabic constituents and phonological rules (neutralization, liaison, palatalization, nasalization) based on the right-branching structure according to c-command. In chapter Ⅱ, Ⅰ will show how previous studies of syllables have been done and what their problems were. I will state the direction of the precious study, whit emphasis on the problem of their different opinions of the definition of syllable and syllabic structure and the need for the introduction of syllables in phonology. In chapter Ⅲ, Ⅰ am going to demonstrate that me choice of right-branching structure is based on hierarchical correlativity of the internal syllabic constituent, according to c-command. Previous studies of the definition of syllabic structure have been focused on external evidence such as utterance mistake, no-sa word game, secret language game and so on, rather than the correlativity of internal syllabic constituents. This study will justify the right-branching structure from the hierarchical correlativity of the syllabic constituents ; onset, nucleus, coda, for tight understanding about syllabic structure itself. In chapter Ⅳ, Ⅰ will examine five phonological rules of Korean ; neutralization, liaision, palatalization, and nazalization. This will be done from the theoretical viewpoint of the right-branching structure chosen in the previous chapter. Chapter Ⅴ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 한글초록 : 이 연구는 지금까지 음절구조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들 중에서 우분지 구조를 채택하여 국어의 변동규칙 다섯 가지를 조명해 보는데 있다. 그동안의 연구에서 학자들 간에 의견이 일치되는 부분은, 음절이 심리적으로 실재하며 보편적으로 쉽게 인식될 수 있는 단위라는 점이다. 그러나 음절의 정의를 내리는 문제나 그 구조를 바라보는 관점은 상당히 달랐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음절의 정의에 관해서는 음운론적인 방법으로 정의하여 '하나의 성절음을 포함한 내부 구성요소를 가지면서 계층적 구조를 가진 단위' 로 보겠다. 또, 음절의 구조에 관해서는 음절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들 사이의 계층적 관계 그 자체에 바탕을 두고 성분 통어 개념에 따라 우분지 구조를 채택하겠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일곱끝소리 되기, 겹받침 줄이기, 소리 이음, 입천장소리 되기, 콧소리 되기의 변동규칙을 설명해 가기로 한다. Ⅱ장에서는 이 논의를 전재해 나가기 전에 음절에 관하여 어떠한 연구가 행해져 왔으며 그에 따른 문제점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다. 구체적으로는 음절의 정의 문제 및 음절의 구조를 바라보는 학자들 간의 서로 다른 의견과 문제점 그리고 음절이라는 단위의 도입이 과연 음운론에서 필요한 것인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논의 전개의 방향을 찾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음절을 이루고 있는 내부 구성 요소 사이의 계층적 관계 그 자체에 바탕을 두고 성분 통어 개념에 따라 우분지 구조를 채택하겠다. 지금까지 음절의 구조를 증명하는 논의에서는 음절을 이루고 있는 내부 구성 요소 사이의 관계 보다는 발화 실수나 노사-말놀이, 비밀 언어놀이 등 외부적인 증거들에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음절의 구조 그 자체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음절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들-초성, 중성, 종성-사이의 계층적 관계로부터 우분지 구조의 정당성을 찾고자 한다. Ⅳ장에서는 앞 장에서 채택된 바 있는 우분지 구조의 관점에서 국어의 변동 규칙 중 다섯 가지-일곱끝소리 되기, 겹받침 줄이기, 소리 이음, 입천장소리 되기, 콧소리 되기-를 규명해 나가기로 한다. V장은 이 논의의 맺음말 부분이다.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711.1 옥55현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81832
Call no.
711.1 옥55현 =3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98142
Call no.
711.1 옥55현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98143
Call no.
711.1 옥55현 =2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Book Overview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