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k
001 2210080346069
005 20140905134813
008 000316s2000 bnka FB 000 kor
040 a221008
041 akorbeng
056 a811.623
100 a윤형욱
245 00 a권환 시의 현실 대응 의식 /d윤형욱
260 a부산 :b동아대학교,c2000
300 aiii,54장 ;c27cm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c국어교육전공,d2000
520 b영문초록 : Making excavations at precijos property on the study of national literature. we need systematic attitude for its research. Though Kwon-hwan is not a literary man who had go to north Korea, evaluation for him had a limitation beacause of his career in the KAPF, Korea Aritista Proleta federatio, and cold war-ideology. He has born in 1903 at Masan and awakened to the national consciousness by the influence of his father who had managemented a commercial firm, Bak-san, and a school of Kyong-han. During study at the Japan, he had met with some literary man (Kim nam-chon, Ahn-mak, Lim-wha) and was influenced by them, then worked in KAPF after a return home. He was main figure in KAPF and published 「A Collection of Poems in KAPF」 with Kim Chang-sul, Park Se-young and Lim-wha. His poems in this book represent tendency of his first stage poems and accuse of disadbantage of labors. With a breakup of KAPF and aggravation of phthisis, he gave up a outside working and from this time his poetic world began change. He acquire abundant lyricism during life at Masan and farm of Kim-hae, discovering the world of ordinary. His poetic works 「JAWHASANG (self-portrait)」, 「YUNLI(the code ofconduct)」, 「TONGKYOL(freezing), reflect this tendency. In this time his poems represent despair of gloomy colonized situation, hope of future countrary to it, dissolution of self, recovery through reappearance of home which is the original form of national life and the transparent moral consciousness in the inside of him. This poetic world seems to be form a will of the poet as a art thing who would overcome colonized situatation and a disease of phthisis. It is important that precise study on his three poetic works play important roles to the right evaluation for him. For until now his poems are interpreted excessively in the poltical situation. After liberation from the Japan, Kwon-hwan represents recover of national community and remaining problem after liberation. In the course of developtment of his poems, two main spindle, lyricism and ideology have a aspect which is strenghthened or weakened according to change of objective situation. The both in his poems is not opposite factor but ground forming his poetic world fulfilling of each other. As considered his poems and life, Kwon-hwan's poetic world is formed by overcoming gloomy colonized situation and disease of pythisis. Detailed consideration of poet's creative footprint which is summarized as a active working on the literary world, life in a prison, a fight against a disease, a postication and a return into the literary world may restore Kwon-hwan buried in the darkness to the front of literary history.
520 b한글초록 : 권환(1903-1953)은 월북 작가는 아니지만 좌익문예단체에 지속적으로 깊이 관계해왔고 그 사상적 이론이 좌편향적이라는 이유로 논의에서 제외되어 왔다. 그러나 권환은 1930년 등단하면서부터 15년 남짓한 기간동안 160여 편의 많은 시와 그 외에도 여러 편의 평론과 이론들을 발표하며 유학 후 임화 등과 함께 카프의 제 2차 방향전환을 주도하였고 당시 카프의 문학부 책임자로 활동했던, 우리 문학사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작가다. 또한 해방 후에도 '조선프롤레타리아 문학동맹'을 결성하고 다시 '조선문학가동맹'에서 중앙집행위원을 역임하는 등 결코 적지 않은 족적을 남겨왔다. 카프 해체 이후 많은 작가들이 전향하거나 현실을 도회시해 버리는 상황 속에서도 그는 끊임없이 현실을 고민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였다. 본고는 권환 시의 이러한 현실 대응 양상에 주안점을 두고 이전의 작업에서 초기 시에 국한된 평가를 내리거나 발표 시기를 중심으로 나누어 그의 시세계를 단절로 파악한 점등을 지양하여 보다 포괄적일 수 있는 평가를 하고자 했다. 그의 문학 활동은 지식인으로 출발하여 카프를 비롯한 좌익문학단체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당대 좌익지식인으로서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입장에서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고발과 극복을 위한 많은 활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 시기의 작품은 생경한 이념에 입각한 도식적인 갈등 구조와 선전 선동만을 내세워 보다 구체적인 시적 형상화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후 카프의 해체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그는 현실을 한 발 물러나서 바라보게 된다. 이전 시 속에 '우리'라는 추상적인 단어로 현실과 맞서는 주체로 삼았던 이때부터 '우리'를 분리하여 '나'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을 시작한다. 따라서 그의 시 역시 보다 구체적인 형상화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현실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갈등에 하게 만드는 바탕이 된다. 카프 해체기를 지나면서 권환의 시는 몇 가지 양상으로 나뉘는데 그 역시 현실 대응에 대한 갈등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을 일상성의 추구와 평등 지향의 의식, 윤리 의식과 반성 등의 양상으로 구분하여 그의 다양한 현실 대응 의식을 살피고자 했다. 먼저 특정한 상황이 아닌 일상의 삶을 통해 그 속에서 희망을 담고자 한 의식으로 당시 사회적 상황으로 인해 처음에는 어둡고 부정적인 일상만을 나타냈으나 점차 긍정적인 양장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순수와 고향의 이미지를 통해 현실의 부조리함을 지양하고 평등 지향의 의식을 취하고 있음을 살폈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내면 윤리의 고양을 통해 암울한 현실을 견디어 내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해방이 되면서 그의 시는 다시 이념을 바탕으로한 선전 선동의 관념적 투쟁시로 바뀐다. 이 시들은 다시 나누어 카프 시기때부터 견지해온 민중 문학이 그의 내부로 육화되어 감을 살피고 한편, 친일 잔재 척결을 내세운 민족 의식이 발현된 시들을 살피고 그 관념적 대응의 한계를 알아보았다.
653 a권환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3662
950 0 a비매품b\3000c(추정가)
권환 시의 현실 대응 의식
Material type
학위논문 동서
Title
권환 시의 현실 대응 의식
Author's Name
Publication
부산 : 동아대학교 2000
Physical Description
iii,54장 ; 27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2000
Keyword
영문초록 : Making excavations at precijos property on the study of national literature. we need systematic attitude for its research. Though Kwon-hwan is not a literary man who had go to north Korea, evaluation for him had a limitation beacause of his career in the KAPF, Korea Aritista Proleta federatio, and cold war-ideology. He has born in 1903 at Masan and awakened to the national consciousness by the influence of his father who had managemented a commercial firm, Bak-san, and a school of Kyong-han. During study at the Japan, he had met with some literary man (Kim nam-chon, Ahn-mak, Lim-wha) and was influenced by them, then worked in KAPF after a return home. He was main figure in KAPF and published 「A Collection of Poems in KAPF」 with Kim Chang-sul, Park Se-young and Lim-wha. His poems in this book represent tendency of his first stage poems and accuse of disadbantage of labors. With a breakup of KAPF and aggravation of phthisis, he gave up a outside working and from this time his poetic world began change. He acquire abundant lyricism during life at Masan and farm of Kim-hae, discovering the world of ordinary. His poetic works 「JAWHASANG (self-portrait)」, 「YUNLI(the code ofconduct)」, 「TONGKYOL(freezing), reflect this tendency. In this time his poems represent despair of gloomy colonized situation, hope of future countrary to it, dissolution of self, recovery through reappearance of home which is the original form of national life and the transparent moral consciousness in the inside of him. This poetic world seems to be form a will of the poet as a art thing who would overcome colonized situatation and a disease of phthisis. It is important that precise study on his three poetic works play important roles to the right evaluation for him. For until now his poems are interpreted excessively in the poltical situation. After liberation from the Japan, Kwon-hwan represents recover of national community and remaining problem after liberation. In the course of developtment of his poems, two main spindle, lyricism and ideology have a aspect which is strenghthened or weakened according to change of objective situation. The both in his poems is not opposite factor but ground forming his poetic world fulfilling of each other. As considered his poems and life, Kwon-hwan's poetic world is formed by overcoming gloomy colonized situation and disease of pythisis. Detailed consideration of poet's creative footprint which is summarized as a active working on the literary world, life in a prison, a fight against a disease, a postication and a return into the literary world may restore Kwon-hwan buried in the darkness to the front of literary history. / 한글초록 : 권환(1903-1953)은 월북 작가는 아니지만 좌익문예단체에 지속적으로 깊이 관계해왔고 그 사상적 이론이 좌편향적이라는 이유로 논의에서 제외되어 왔다. 그러나 권환은 1930년 등단하면서부터 15년 남짓한 기간동안 160여 편의 많은 시와 그 외에도 여러 편의 평론과 이론들을 발표하며 유학 후 임화 등과 함께 카프의 제 2차 방향전환을 주도하였고 당시 카프의 문학부 책임자로 활동했던, 우리 문학사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작가다. 또한 해방 후에도 '조선프롤레타리아 문학동맹'을 결성하고 다시 '조선문학가동맹'에서 중앙집행위원을 역임하는 등 결코 적지 않은 족적을 남겨왔다. 카프 해체 이후 많은 작가들이 전향하거나 현실을 도회시해 버리는 상황 속에서도 그는 끊임없이 현실을 고민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하였다. 본고는 권환 시의 이러한 현실 대응 양상에 주안점을 두고 이전의 작업에서 초기 시에 국한된 평가를 내리거나 발표 시기를 중심으로 나누어 그의 시세계를 단절로 파악한 점등을 지양하여 보다 포괄적일 수 있는 평가를 하고자 했다. 그의 문학 활동은 지식인으로 출발하여 카프를 비롯한 좌익문학단체에서 시작되었다. 또한 당대 좌익지식인으로서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입장에서 부조리한 현실에 대한 고발과 극복을 위한 많은 활동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 시기의 작품은 생경한 이념에 입각한 도식적인 갈등 구조와 선전 선동만을 내세워 보다 구체적인 시적 형상화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후 카프의 해체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하여 그는 현실을 한 발 물러나서 바라보게 된다. 이전 시 속에 '우리'라는 추상적인 단어로 현실과 맞서는 주체로 삼았던 이때부터 '우리'를 분리하여 '나'와 '현실'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을 시작한다. 따라서 그의 시 역시 보다 구체적인 형상화가 이루어졌으며 이후 현실에 대한 보다 심도 깊은 갈등에 하게 만드는 바탕이 된다. 카프 해체기를 지나면서 권환의 시는 몇 가지 양상으로 나뉘는데 그 역시 현실 대응에 대한 갈등의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을 일상성의 추구와 평등 지향의 의식, 윤리 의식과 반성 등의 양상으로 구분하여 그의 다양한 현실 대응 의식을 살피고자 했다. 먼저 특정한 상황이 아닌 일상의 삶을 통해 그 속에서 희망을 담고자 한 의식으로 당시 사회적 상황으로 인해 처음에는 어둡고 부정적인 일상만을 나타냈으나 점차 긍정적인 양장으로 바뀌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순수와 고향의 이미지를 통해 현실의 부조리함을 지양하고 평등 지향의 의식을 취하고 있음을 살폈다 마지막으로 개인의 내면 윤리의 고양을 통해 암울한 현실을 견디어 내려는 의지를 보이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해방이 되면서 그의 시는 다시 이념을 바탕으로한 선전 선동의 관념적 투쟁시로 바뀐다. 이 시들은 다시 나누어 카프 시기때부터 견지해온 민중 문학이 그의 내부로 육화되어 감을 살피고 한편, 친일 잔재 척결을 내세운 민족 의식이 발현된 시들을 살피고 그 관념적 대응의 한계를 알아보았다.
Subject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811.6 윤94권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701625
Call no.
811.6 윤94권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701626
Call no.
811.6 윤94권 =2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Book Overview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