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n
001 2210080281512
005 20140825142500
008 980515s1998 bnka m FB 001a kor
040 a221008
100 a김익준
245 00 a거제 아주동 청동기시대 유적연구/d김익준.
260 a부산:b동아대학교,c1998.
300 aiii,68장.:b삽도;c26cm.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대학원c사학과 전공d1998년2월
520 b영문초록 : Fo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of dolmens, the unification of terms as well as the detailed understanding of each locality are required.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wants to reveal the local aspects of Kojedo dolmens based on the excavated relics Aju-dong. The relics are scattered along the eastern slope of Peak Kuksa (470m) In the area of 740-1, 747-l, and f48-3 of Aju-dong In Koje City, South Kyongsang Province. A total of 27 tombs, 16 dolmens of the Bronze Age and 11 tombs belong to the Three-Kingdom Era, are located in the same area. Among the unearthed relics are stone daggers stone arrowheads, red burnished pottery, and ornamental jades. These are indeed representative relics of dolmens and show similar cultural patterns to those of nearby areas. The haft-style stone daggers excavated from Dolmen No. 13, standing for the 4th stage of the daggers, are very similar to those from the dolmens (No. 8 and 26) in Sanpo, Kochang. The attachable stone arrowheads found in Dolmen No, 3 are rather wide in their bodies and belong to the later period of the Bronze Age. Also, the clay-covered pottery from Dolmen No, 4 is roughly round and dates a little later than the round clay pottery accompanied with the Korean-style bronze resembles that e red burnished pottery from Dolmen No. 15 resembles that from the dolmens in Oe-dong of Changwon. In conclusion, In conclusion, Aju-dong dolmens can be dated to the 5th to 4th century BC. At least, we can say that the inhabitants settled in this island in the pate 5th century BC, wit the dolmen system as their funeral system. The dolmens in other areas of Koje Island are believed to share similar cultural traits. In the future, with more concerned materials, the relations of the dolmens with other accompanied relics will have to be investigated.
520 b한글초록 : 支石墓늘 우러나라 靑銅器時代 代表的 墓制로서 數的인 面에서나 靑銅器支化 究明의 기여도에서 核心的인 硏究對象으로서 거의 全國的인 分布樣相을 보이고 있고 지금까지 많은 硏究가 蓄籍되었다. 그러나 용어상의 統一問題를 비롯하여 支石墓의 發生, 形式分類 問題, 전파문제, 각 형식간 相互關係 問題, 支看墓社會와 國家彩成파의 關係 등 아직까지 뚜렷하게 糾明되지 않은 문제점들을 內包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가운데서도 그 硏究方向은 자료의 增加로 인해 質的인 성장으로 이어져 綜合的인 考察을 가능하게 하였는데 支石墓의 復原的 考祭과 社會硏究, 地域的인 樣相把握, 外國 支石墓와의 比較 硏究등 多樣하게 시도되고 있다. 木考는 이러한 연구방향 가운데 支石墓의 綜合的민 考察을 위한 基礎的 硏究의 一環으로서 용어상의 統一問題와 地域的인 樣相把握이 先決 要件임을 念頭에 두고 鵝洲洞 遺蹟과 巨濟島에 分布하고 있는 支石墓를 土臺료 巨濟島 支石墓의 地域的인 樣相을 把握하고자 한다. 현재 巨濟島는 17개소에서 支石墓가 分布하고 있는데 거제도의 서쪽편 보다는 동쪽편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데 하청면과 연초면이 分布의 中心이다. 이러한 分布樣相은 巨濟島의 서쪽편 보다는 동쪽편이 入間이 生活하기에 더욱 더 適合한 場所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은 앞선 시기인 新石器時代에 있어서도 동쪽편에 보다 많은 遺蹟들이 分布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分布樣相은 支石墓 전파루트상 계통상의 차이 또는 시기적인 차이 등을 고려해볼 수도 있지만 현 단계에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추후 자료 증가를 기다려 支石墓間 比較 硏究를 통하여 解明되리라고 생각된다. 아주동 유적은 경상남도 거제시 아주동 746-1, 747-1, 748-3번지 일대의 海拔 470m의 국사봉 동편 기슭에 傾斜面을 따라 分布하고 있으며, 동일 지역에 靑銅器時代 支石墓 16基, 三國時代 古墳 11基 總 27基의 墳墓가 혼재하고 있는 複合遺蹟이다. 조사된 16基의 支石墓 가운데 形式을 알 수 있는 것은 3호·4호·15호 3基의 支石墓이다. 구조상 분명한 것은 卓子式支石墓는 아니다. 3기의 支石墓는 支石과 蓋石이 있고, 墓室構造는 4호의 경우 석관형이고, 3호와 15호지석묘는 석곽형으로 基盤式支石墓에 해당된다. 長軸方向은 3호의 경우 北東向이고, 4호·15호지석묘는 北西向으로 墓制 設置에 있어 長軸方向의 變化가 보인다. 유구 配置狀態는 남북 4열종상으로 分布되어 있는데 基盤式支石墓인 3호·4호·15호지석묘는 동쪽편에서 3번째 열에 南北일렬로 分布되어 있어 이러한 配置狀態는 支石墓 조영시 築造集團이 時期的으로 일정한 企劃性을 가지고 集團 墓域化하고 있는 것으로 推定된다. 출토된 부장유물상은 磨製石劍, 마제석촉, 단도마연토기 등 인접하고 있는 경상남도 지역의 지석묘에서 출토되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이들 지역과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그 시기는 대체로 기원전 5-4세기에 해당된다고 생각된다. 現在 巨濟島에늘 아주동 遺蹟외에 16개소의 支石墓 遺蹟이 確認되고 있는데 아주동 遺蹟을 통해 時間的인 基準線과 文化樣相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차후 資料의 增加와 더불어 同伴 遺物과의 關係를 보다 具體的으로 檢討함으로서 繼續 수정·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650 a거제a청동기시대유적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2983
950 aFB
950 b₩3,000
거제 아주동 청동기시대 유적연구
Material type
학위논문 동서
Title
거제 아주동 청동기시대 유적연구
Author's Name
Publication
부산: 동아대학교 1998.
Physical Description
iii,68장: 삽도; 26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전공 1998년2월
Keyword
영문초록 : For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study of dolmens, the unification of terms as well as the detailed understanding of each locality are required.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wants to reveal the local aspects of Kojedo dolmens based on the excavated relics Aju-dong. The relics are scattered along the eastern slope of Peak Kuksa (470m) In the area of 740-1, 747-l, and f48-3 of Aju-dong In Koje City, South Kyongsang Province. A total of 27 tombs, 16 dolmens of the Bronze Age and 11 tombs belong to the Three-Kingdom Era, are located in the same area. Among the unearthed relics are stone daggers stone arrowheads, red burnished pottery, and ornamental jades. These are indeed representative relics of dolmens and show similar cultural patterns to those of nearby areas. The haft-style stone daggers excavated from Dolmen No. 13, standing for the 4th stage of the daggers, are very similar to those from the dolmens (No. 8 and 26) in Sanpo, Kochang. The attachable stone arrowheads found in Dolmen No, 3 are rather wide in their bodies and belong to the later period of the Bronze Age. Also, the clay-covered pottery from Dolmen No, 4 is roughly round and dates a little later than the round clay pottery accompanied with the Korean-style bronze resembles that e red burnished pottery from Dolmen No. 15 resembles that from the dolmens in Oe-dong of Changwon. In conclusion, In conclusion, Aju-dong dolmens can be dated to the 5th to 4th century BC. At least, we can say that the inhabitants settled in this island in the pate 5th century BC, wit the dolmen system as their funeral system. The dolmens in other areas of Koje Island are believed to share similar cultural traits. In the future, with more concerned materials, the relations of the dolmens with other accompanied relics will have to be investigated. / 한글초록 : 支石墓늘 우러나라 靑銅器時代 代表的 墓制로서 數的인 面에서나 靑銅器支化 究明의 기여도에서 核心的인 硏究對象으로서 거의 全國的인 分布樣相을 보이고 있고 지금까지 많은 硏究가 蓄籍되었다. 그러나 용어상의 統一問題를 비롯하여 支石墓의 發生, 形式分類 問題, 전파문제, 각 형식간 相互關係 問題, 支看墓社會와 國家彩成파의 關係 등 아직까지 뚜렷하게 糾明되지 않은 문제점들을 內包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가운데서도 그 硏究方向은 자료의 增加로 인해 質的인 성장으로 이어져 綜合的인 考察을 가능하게 하였는데 支石墓의 復原的 考祭과 社會硏究, 地域的인 樣相把握, 外國 支石墓와의 比較 硏究등 多樣하게 시도되고 있다. 木考는 이러한 연구방향 가운데 支石墓의 綜合的민 考察을 위한 基礎的 硏究의 一環으로서 용어상의 統一問題와 地域的인 樣相把握이 先決 要件임을 念頭에 두고 鵝洲洞 遺蹟과 巨濟島에 分布하고 있는 支石墓를 土臺료 巨濟島 支石墓의 地域的인 樣相을 把握하고자 한다. 현재 巨濟島는 17개소에서 支石墓가 分布하고 있는데 거제도의 서쪽편 보다는 동쪽편에 주로 분포하고 있는데 하청면과 연초면이 分布의 中心이다. 이러한 分布樣相은 巨濟島의 서쪽편 보다는 동쪽편이 入間이 生活하기에 더욱 더 適合한 場所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은 앞선 시기인 新石器時代에 있어서도 동쪽편에 보다 많은 遺蹟들이 分布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分布樣相은 支石墓 전파루트상 계통상의 차이 또는 시기적인 차이 등을 고려해볼 수도 있지만 현 단계에서는 자료의 부족으로 추후 자료 증가를 기다려 支石墓間 比較 硏究를 통하여 解明되리라고 생각된다. 아주동 유적은 경상남도 거제시 아주동 746-1, 747-1, 748-3번지 일대의 海拔 470m의 국사봉 동편 기슭에 傾斜面을 따라 分布하고 있으며, 동일 지역에 靑銅器時代 支石墓 16基, 三國時代 古墳 11基 總 27基의 墳墓가 혼재하고 있는 複合遺蹟이다. 조사된 16基의 支石墓 가운데 形式을 알 수 있는 것은 3호·4호·15호 3基의 支石墓이다. 구조상 분명한 것은 卓子式支石墓는 아니다. 3기의 支石墓는 支石과 蓋石이 있고, 墓室構造는 4호의 경우 석관형이고, 3호와 15호지석묘는 석곽형으로 基盤式支石墓에 해당된다. 長軸方向은 3호의 경우 北東向이고, 4호·15호지석묘는 北西向으로 墓制 設置에 있어 長軸方向의 變化가 보인다. 유구 配置狀態는 남북 4열종상으로 分布되어 있는데 基盤式支石墓인 3호·4호·15호지석묘는 동쪽편에서 3번째 열에 南北일렬로 分布되어 있어 이러한 配置狀態는 支石墓 조영시 築造集團이 時期的으로 일정한 企劃性을 가지고 集團 墓域化하고 있는 것으로 推定된다. 출토된 부장유물상은 磨製石劍, 마제석촉, 단도마연토기 등 인접하고 있는 경상남도 지역의 지석묘에서 출토되는 것과 유사한 것으로 이들 지역과 동일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 그 시기는 대체로 기원전 5-4세기에 해당된다고 생각된다. 現在 巨濟島에늘 아주동 遺蹟외에 16개소의 支石墓 遺蹟이 確認되고 있는데 아주동 遺蹟을 통해 時間的인 基準線과 文化樣相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차후 資料의 增加와 더불어 同伴 遺物과의 關係를 보다 具體的으로 檢討함으로서 繼續 수정·보완해 나가고자 한다.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911.02 김69거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73298
Call no.
911.02 김69거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81633
Call no.
911.02 김69거 =2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581634
Call no.
911.02 김69거 =3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Book Overview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