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k
001 2210080428523
005 20140708153304
008 020520s2001 ulk FB kor
040 a221008
056 a513.9943624
100 a강기태
245 00 a간세포암의 직경과 위치에 따른 고주파 열치료효과 및 합병증에 관한 연구 /d강기태
260 a부산 :b동아대학교,c2001
300 a16p ;c26cm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대학원c의학과d2001
520 b영문초록 : Background/Aims : Induction of coagulation necrosis by using thermal energy sources such as radio-frequency, microwaves, and lasers has recently been as a new ,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percutaneous tumor ablation. RF ablation is considerd effect and safe for the local control of small HCC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icacy and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diameter and location of the HCC. Meterial and method : Between May 1999 and December 2000, one hundred-fifty patients underwent RF thermal ablation in Dong-A university hospital. Among them, forty-nine patient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who have no history of prior other treatment including hepatic resection, TAE, PEI, and Chemotherapy, who have follow-up CT which is performed at least six months after ablation. The patients devided into two groups, who have small HCC( ≤3 cm in diameter ) and the others. Recurrence rate was also evaluated with spiral CT performd at least six months after treatment. Result: In large HCC group ( 〉3 cm in diameter )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0.8 months and local recurrence rate was 52%. In small HCC group ( ≤3 cm in diameter ),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2.7 months. Local recurrence rate was 17.9% in patients with small HCC. In all of one hundred fifty patients underwent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between May 1999 and December 2000, 5 cases of intraperitoneal bleeding, 5 cases of pleural effusion, and 3 cases of pneumothorax were observed. In most of cases, the necrotic area of HCC reached to the capsule of liver or hepatic dome. Conclusion : Radio-frequency Ablation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and safe for the treatment of small HCC than that of large HCC and more attetion must to given to the RF ablation if the tumor is larger than 3cm or close to the capsule of liver or hepatic dome.
520 b한글초록 : 배경 및 목적 : 고주파(Radiofrequency), 극초단파(Microwave) 및 레이저(Laser)등의 열에너지를 이용한 경피적 종양제거가 새롭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발전되어 왔다. 고주파 열치료는 소간세포암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국소치료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간세포암의 직경과 위치에 따른 고주파 열치료의 치료효과와 부작용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5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동아대학교 병원에서 고주파열치료를 시행받은 150명의 환자중 이전에 간절제, 경동맥 색전술, 경피적 에탄올 주입술 등의 다른 치료를 받지 않았고 열치료술후 최소한 6개월 이후에 추적관찰 CT가 시행된 간경변이 동반된 간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군은 직경이 3 cm이하인 환자군과 3 cm이 넘는 환자 두 군으로 나누었고 각 군에서 열치료술후 최소 6개월 이후에 시행된 추적관찰 CT로 재발률을 평가하였다. 결과 : 최대직경이 3 cm보다 큰 간세포암군에서 평균 추적조사기간은 10.8개월이었고 국소재발은 21명중 11명으로 52%의 환자에서 국소재발이 관찰되었다. 3 cm이하의 직경을 가진 소세포암의 환자군에서는 평균 12.7개월의 추적조사기간 동안 28명중 5명의 환자가 국소재발을 보여 국소재발률은 17.9%였고 두 군 사이의 국소재발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내 다른 부위에 재발한 경우는 각각 14.3%(3/21), 10.7%(3/28)로 나타났다. 고주파 열치료를 받은 150명의 모든 환자에서 시술후 5예의 복강내 출혈, 5예의 흉수, 3예의 기흉이 발생하였고 이 환자들은 거의 모두 시술로 인한 괴사부위가 간피막까지 이르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결론 : 고주파 열치료는 3 cm이하의 직경을 가진 소간세포암에서 3 cm보다 큰 직경을 가진 간세포암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이며 간피막에 근접한 암일수록 출혈, 기흉, 흉수등의 발생에 더 유의하여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653 a간세포암a고주파열치료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2890
950 0 a비매품
간세포암의 직경과 위치에 따른 고주파 열치료효과 및 합병증에 관한 연구
Material type
의학학위논문
Title
간세포암의 직경과 위치에 따른 고주파 열치료효과 및 합병증에 관한 연구
Author's Name
Publication
부산 : 동아대학교 2001
Physical Description
16p ; 26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대학원 의학과 2001
Keyword
영문초록 : Background/Aims : Induction of coagulation necrosis by using thermal energy sources such as radio-frequency, microwaves, and lasers has recently been as a new ,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percutaneous tumor ablation. RF ablation is considerd effect and safe for the local control of small HCC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icacy and complications according to the diameter and location of the HCC. Meterial and method : Between May 1999 and December 2000, one hundred-fifty patients underwent RF thermal ablation in Dong-A university hospital. Among them, forty-nine patients were involved in this study who have no history of prior other treatment including hepatic resection, TAE, PEI, and Chemotherapy, who have follow-up CT which is performed at least six months after ablation. The patients devided into two groups, who have small HCC( ≤3 cm in diameter ) and the others. Recurrence rate was also evaluated with spiral CT performd at least six months after treatment. Result: In large HCC group ( 〉3 cm in diameter )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0.8 months and local recurrence rate was 52%. In small HCC group ( ≤3 cm in diameter ),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2.7 months. Local recurrence rate was 17.9% in patients with small HCC. In all of one hundred fifty patients underwent radio-frequency thermal ablation between May 1999 and December 2000, 5 cases of intraperitoneal bleeding, 5 cases of pleural effusion, and 3 cases of pneumothorax were observed. In most of cases, the necrotic area of HCC reached to the capsule of liver or hepatic dome. Conclusion : Radio-frequency Ablation appears to be more effective and safe for the treatment of small HCC than that of large HCC and more attetion must to given to the RF ablation if the tumor is larger than 3cm or close to the capsule of liver or hepatic dome. / 한글초록 : 배경 및 목적 : 고주파(Radiofrequency), 극초단파(Microwave) 및 레이저(Laser)등의 열에너지를 이용한 경피적 종양제거가 새롭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발전되어 왔다. 고주파 열치료는 소간세포암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국소치료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간세포암의 직경과 위치에 따른 고주파 열치료의 치료효과와 부작용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5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동아대학교 병원에서 고주파열치료를 시행받은 150명의 환자중 이전에 간절제, 경동맥 색전술, 경피적 에탄올 주입술 등의 다른 치료를 받지 않았고 열치료술후 최소한 6개월 이후에 추적관찰 CT가 시행된 간경변이 동반된 간암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군은 직경이 3 cm이하인 환자군과 3 cm이 넘는 환자 두 군으로 나누었고 각 군에서 열치료술후 최소 6개월 이후에 시행된 추적관찰 CT로 재발률을 평가하였다. 결과 : 최대직경이 3 cm보다 큰 간세포암군에서 평균 추적조사기간은 10.8개월이었고 국소재발은 21명중 11명으로 52%의 환자에서 국소재발이 관찰되었다. 3 cm이하의 직경을 가진 소세포암의 환자군에서는 평균 12.7개월의 추적조사기간 동안 28명중 5명의 환자가 국소재발을 보여 국소재발률은 17.9%였고 두 군 사이의 국소재발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내 다른 부위에 재발한 경우는 각각 14.3%(3/21), 10.7%(3/28)로 나타났다. 고주파 열치료를 받은 150명의 모든 환자에서 시술후 5예의 복강내 출혈, 5예의 흉수, 3예의 기흉이 발생하였고 이 환자들은 거의 모두 시술로 인한 괴사부위가 간피막까지 이르고 있는 것이 관찰되었다. 결론 : 고주파 열치료는 3 cm이하의 직경을 가진 소간세포암에서 3 cm보다 큰 직경을 가진 간세포암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이며 간피막에 근접한 암일수록 출혈, 기흉, 흉수등의 발생에 더 유의하여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513.99436 강18간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M0007189
Call no.
513.99436 강18간
Location Mark
D
Location
의학도서분관(구덕)_학위논문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M0007190
Call no.
513.99436 강18간 =2
Location Mark
D
Location
의학도서분관(구덕)_학위논문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Book Overview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