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brary Catalog

>>
Library Catalog
>
000 nam k
001 2210080362252
005 20140717144436
008 011103s2001 bnk FB 000 kor
040 a221008
041 akorbeng
056 a375.124
100 a주희진
245 00 a陳鶴琴의 幼兒敎育論 硏究/d주희진
260 a부산:b동아대학교,c2001
300 aiii, 71장;c26cm
502 a학위논문(석사)b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c유아교육전공,d2001
520 b영문초록 : In this study, I specialized in He theory of modern Chinese educatior Chen Heqin, focusing on his the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en Heqin is the most representive one in Chines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erms of his practice as well as his theory. Even though he studied in the Unite State, he tried to modify what he had learned suitable to the circumstances of China, not following the American system blindly. Through his firm theoretical basis and years of researches he built up his own original theory, which dominated the field from 1920's to 1940's, affecting critically on later education even after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formed. Chapter III mentions 'The Vital Education' which is the main theoretical foundation of his theory. 'The Vital Education', as the name itself suggeshts, refers to the education that is live and wa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Chines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was considered to be dead. The Vital Education, appearing after The 5.4 Movement, was advanced gradually in its theory through Chen heqins long-time researches and practices. The theory has 3 viewpoints-the goal of bringing up upright human beings, upright Chinese and upringt modern Chinese, the curriculum of regarding the nature and the society as living materials, the melthodology of teaching, learning and making improvements through activities. In Chapter IV, I studied into his theory on kindergarter education. He argued,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s and to accomodate. He needs of the society, what was essential were adequate materials, curriculums and methods that could be compatible with the real circumstances of China and comform to the world trend, worrying that the education in 1920's generally got westernized. With regard to materials, Chen heqin claimed that the materials educational availability and their degree of contribution to the present and future of children shduld be measured and focused. Particularly he thought highly of the value of fairy tales, for they help children enrich their vocabularies, develop their communicative skill, exercise their imagination as well as their ethical lessons help them build up good personalities. Concerning the curriculum and methodology, Chen heqin stressed the basic principle of children-centered or living-centered, with had its basis on children's real lives and experiences. As the accompanying curriculums, he suggested 'The Whole Teaching-Learning Curriculum(Integration Curriculum)' which required teaching children in a comprehencive and systematical way with common themes, considering the timing and regional features About the educational settings and facilities, what is described in detail are the importance of the setting and facilities, the standard principles, and how to arrange and so on. Chapter V is about 'The Home Education' that Chen heqin valued highly along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mainly deal with its basic principles and the significance of parental roles. In regard to primary principles and viewpoint, he suggested parents sh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s and help them develop hygienic rabits, socialities, abundant knowlege and experience. About parental roles, he belived parents should know their children's physical and psychological features, serve themselver as role models, know how to love them truly, admit their misconceptions and change them. In this study, you can see, though briefly, how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led in China when it was transferred from the modernized western countries at a similar time to Korea. It might be very meaningful to study now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ook root in China for through comparison with theirs, we can recognize the indivisual and original features of ours as well as the general common features. Through this process, we can understand our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bjectivery and proceed to use it as a stsrting point to set up our own crea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520 b한글초록 : 중국의 근대시기에 활동하였던 교육가 陳鶴琴의 교육사상을 유아교육론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陳鶴琴은 중국의 대표적인 유아교육 사상가이자 실천가이다. 그는 미국에서 교육학을 배웠으나 미국식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중국 실정에 맞는 유아교육을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견고한 이론적 기초와 착실히 쌓은 실험 연구로써 자신만의 유아교육론을 형성하였는데, 그의 유아교육이론과 실천은 중국 20년대에서 40년대의 유아교육을 주도했고, 中華人民共和國 성립 후의 유아교육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먼저, 제III장에서는 그의 유아교육론의 이론적 기반이 된 '활교육론(活敎育論)'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활교육이란 이름 그대로 '살아있는 교육'을 뜻하는 것으로 중국 전통적인 교육이 죽은 교육이었다는 반성과 함께 이것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한 이론이다. 활교육은 5·4 운동 이 후 중국에 출현한 교육 개혁 이론으로 陳鶴琴의 오랜 연구와 실천을 통해 점차적으로 이론적 체계를 형성하였다. 이 이론은 '올바른 인간으로, 올바른 중국인으로, 올바른 현대 중국인으로 교육한다'라는 목적론, '자연, 사회 모두가 살아있는 교재이다'라는 과정론, '활동을 통해서 가르치고, 활동을 통해서 배우고, 활동을 통해서 진보를 추구한다'라는 방법론 등 3대 기본 관점으로 요약된다. 제IV장에서는 陳鶴琴이 20년대 중국의 유치원 교육이 전반적으로 서양화되는 경향을 우려해 중국 실정에 맞으면서도 세계적 추세에 벗어나지 않는 교재와 교육과정 및 방법을 구비하여 활용하여야만 유치원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충분히 사회의 필요에도 부응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제시한 유치원 교육론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유치원 교재에 있어 陳鶴琴은 유아의 학습 가능 여부, 경험 여부와 유아의 현재와 장래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에 중점은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특히 동화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였다. 왜냐하면 동화는 유아의 어휘를 풍부하게 하여 의사 전달 능력을 향상시키고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 줄 뿐만 아니라 동화가 담고 있는 윤리적 가치는 유아로 하여금 올바른 인격을 형성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유치원 교육과정과 방법에 있어 陳鶴琴은 유아의 실제 생활과 경험을 기초로 한 유아중심, 생활중심이라는 기본 원칙을 중시하였다. 그 실천 방안으로 '整個敎學法-전체교학법(통합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는 공동 활동 주제를 가지고 교육 내용을 전체적이고 계열성 있게 가르치는 것으로 시기와 지역의 특성도 고려할 것을 요구한다. 유치원 시설 환경 및 설비에 있어서는 시설과 설비의 중요성, 표준원칙, 진열방법 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제V장에서는 陳鶴琴이 유아교육에 있어서 유치원 교육론과 함께 그 역할을 강조한 가정교육론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여기에서는 가정교육론의 기본원칙과 관점, 부모의 역할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기본 원칙으로는 먼저 유아의 심리 발달 단계에 따른 특성을 이해하고, 유아의 위생습관, 사회성,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기를 수 있도록 하라고 제시하였다. 부모의 역할로는 유아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부모 자신이 모범이 되어야 하며, 자녀를 올바르게 사랑하는 법을 알고, 부모 자신의 잘못된 생각을 인정하고 바꾸도록 하라고 하였다. 이상의 陳鶴琴 유아교육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단편적이나마 우리나라와 비슷한 시기에 서구로부터 근대화된 유아교육을 받아 들인 중국에서는 유아교육이 어떻게 정착되었는가를 살펴 볼 수 있었다. 중국에서 유아교육이 어떻게 정착되었는가를 살펴 보는 것은 그 의의가 사믓 크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유아교육 정착 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특징과 개별적이고 특수한 특징을 부각시켜, 우리의 유아교육사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식 유아교육을 정립할 수 있는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653 a진학금a유아교육
856 adonga.dcollection.netuhttp://donga.dcollection.net/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2148473
950 0 a비매품
陳鶴琴의 幼兒敎育論 硏究
Material type
학위논문 동서
Title
陳鶴琴의 幼兒敎育論 硏究
Author's Name
Publication
부산: 동아대학교 2001
Physical Description
iii, 71장; 26cm
학위논문주기
학위논문(석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2001
Keyword
영문초록 : In this study, I specialized in He theory of modern Chinese educatior Chen Heqin, focusing on his the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Chen Heqin is the most representive one in Chines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terms of his practice as well as his theory. Even though he studied in the Unite State, he tried to modify what he had learned suitable to the circumstances of China, not following the American system blindly. Through his firm theoretical basis and years of researches he built up his own original theory, which dominated the field from 1920's to 1940's, affecting critically on later education even after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formed. Chapter III mentions 'The Vital Education' which is the main theoretical foundation of his theory. 'The Vital Education', as the name itself suggeshts, refers to the education that is live and was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the conventional Chinese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was considered to be dead. The Vital Education, appearing after The 5.4 Movement, was advanced gradually in its theory through Chen heqins long-time researches and practices. The theory has 3 viewpoints-the goal of bringing up upright human beings, upright Chinese and upringt modern Chinese, the curriculum of regarding the nature and the society as living materials, the melthodology of teaching, learning and making improvements through activities. In Chapter IV, I studied into his theory on kindergarter education. He argued,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s and to accomodate. He needs of the society, what was essential were adequate materials, curriculums and methods that could be compatible with the real circumstances of China and comform to the world trend, worrying that the education in 1920's generally got westernized. With regard to materials, Chen heqin claimed that the materials educational availability and their degree of contribution to the present and future of children shduld be measured and focused. Particularly he thought highly of the value of fairy tales, for they help children enrich their vocabularies, develop their communicative skill, exercise their imagination as well as their ethical lessons help them build up good personalities. Concerning the curriculum and methodology, Chen heqin stressed the basic principle of children-centered or living-centered, with had its basis on children's real lives and experiences. As the accompanying curriculums, he suggested 'The Whole Teaching-Learning Curriculum(Integration Curriculum)' which required teaching children in a comprehencive and systematical way with common themes, considering the timing and regional features About the educational settings and facilities, what is described in detail are the importance of the setting and facilities, the standard principles, and how to arrange and so on. Chapter V is about 'The Home Education' that Chen heqin valued highly along with early childhood education. It mainly deal with its basic principles and the significance of parental roles. In regard to primary principles and viewpoint, he suggested parents sh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hildren's psychological developments and help them develop hygienic rabits, socialities, abundant knowlege and experience. About parental roles, he belived parents should know their children's physical and psychological features, serve themselver as role models, know how to love them truly, admit their misconceptions and change them. In this study, you can see, though briefly, how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led in China when it was transferred from the modernized western countries at a similar time to Korea. It might be very meaningful to study now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took root in China for through comparison with theirs, we can recognize the indivisual and original features of ours as well as the general common features. Through this process, we can understand our histor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objectivery and proceed to use it as a stsrting point to set up our own creat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 한글초록 : 중국의 근대시기에 활동하였던 교육가 陳鶴琴의 교육사상을 유아교육론을 중심으로 살펴 보았다. 陳鶴琴은 중국의 대표적인 유아교육 사상가이자 실천가이다. 그는 미국에서 교육학을 배웠으나 미국식을 그대로 답습하지 않고, 중국 실정에 맞는 유아교육을 실현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는 견고한 이론적 기초와 착실히 쌓은 실험 연구로써 자신만의 유아교육론을 형성하였는데, 그의 유아교육이론과 실천은 중국 20년대에서 40년대의 유아교육을 주도했고, 中華人民共和國 성립 후의 유아교육에도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먼저, 제III장에서는 그의 유아교육론의 이론적 기반이 된 '활교육론(活敎育論)'에 대해서 살펴 보았다. 활교육이란 이름 그대로 '살아있는 교육'을 뜻하는 것으로 중국 전통적인 교육이 죽은 교육이었다는 반성과 함께 이것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한 이론이다. 활교육은 5·4 운동 이 후 중국에 출현한 교육 개혁 이론으로 陳鶴琴의 오랜 연구와 실천을 통해 점차적으로 이론적 체계를 형성하였다. 이 이론은 '올바른 인간으로, 올바른 중국인으로, 올바른 현대 중국인으로 교육한다'라는 목적론, '자연, 사회 모두가 살아있는 교재이다'라는 과정론, '활동을 통해서 가르치고, 활동을 통해서 배우고, 활동을 통해서 진보를 추구한다'라는 방법론 등 3대 기본 관점으로 요약된다. 제IV장에서는 陳鶴琴이 20년대 중국의 유치원 교육이 전반적으로 서양화되는 경향을 우려해 중국 실정에 맞으면서도 세계적 추세에 벗어나지 않는 교재와 교육과정 및 방법을 구비하여 활용하여야만 유치원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충분히 사회의 필요에도 부응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제시한 유치원 교육론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유치원 교재에 있어 陳鶴琴은 유아의 학습 가능 여부, 경험 여부와 유아의 현재와 장래의 생활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에 중점은 두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는 특히 동화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 평가하였다. 왜냐하면 동화는 유아의 어휘를 풍부하게 하여 의사 전달 능력을 향상시키고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도와 줄 뿐만 아니라 동화가 담고 있는 윤리적 가치는 유아로 하여금 올바른 인격을 형성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유치원 교육과정과 방법에 있어 陳鶴琴은 유아의 실제 생활과 경험을 기초로 한 유아중심, 생활중심이라는 기본 원칙을 중시하였다. 그 실천 방안으로 '整個敎學法-전체교학법(통합교육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는 공동 활동 주제를 가지고 교육 내용을 전체적이고 계열성 있게 가르치는 것으로 시기와 지역의 특성도 고려할 것을 요구한다. 유치원 시설 환경 및 설비에 있어서는 시설과 설비의 중요성, 표준원칙, 진열방법 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서술하고 있다. 제V장에서는 陳鶴琴이 유아교육에 있어서 유치원 교육론과 함께 그 역할을 강조한 가정교육론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여기에서는 가정교육론의 기본원칙과 관점, 부모의 역할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기본 원칙으로는 먼저 유아의 심리 발달 단계에 따른 특성을 이해하고, 유아의 위생습관, 사회성,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기를 수 있도록 하라고 제시하였다. 부모의 역할로는 유아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이해하고 부모 자신이 모범이 되어야 하며, 자녀를 올바르게 사랑하는 법을 알고, 부모 자신의 잘못된 생각을 인정하고 바꾸도록 하라고 하였다. 이상의 陳鶴琴 유아교육론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단편적이나마 우리나라와 비슷한 시기에 서구로부터 근대화된 유아교육을 받아 들인 중국에서는 유아교육이 어떻게 정착되었는가를 살펴 볼 수 있었다. 중국에서 유아교육이 어떻게 정착되었는가를 살펴 보는 것은 그 의의가 사믓 크다. 왜냐하면 우리나라 유아교육 정착 과정과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유아교육의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특징과 개별적이고 특수한 특징을 부각시켜, 우리의 유아교육사를 객관적으로 이해하고 나아가 우리식 유아교육을 정립할 수 있는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관련 URL

Holdings Information

Call no. : 375.1 주97진
RReservation
MMissing Book Request
CClosed Stack Request
IInter-Campus Loan
CPriority Cataloging
PPrint
Registration no. Call no. Location Mark Location Status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726475
Call no.
375.1 주97진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Registration no.
E0726476
Call no.
375.1 주97진 =2
Location Mark
D
Location
부민학위논문실
Status
대출불가 (소장처별 대출 불가)
Due for return
Service

Book Overview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