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자인 ‘나’는 카프카스의 어느 산속을 여행중이다. 여행중에 우연히 만나게 된 노인 막심 막시므이치는 화자의 흥미를 끄는 한 이야기를 해주게 된다. 그 노인은 다양한 인종을 경험해 봤을 뿐 아니라 여행중에 필요한 팁을 많이 알고 있었다. 화자는 그의 도움을 받으며 그의 이야기를 들으며 여행기를 계속 작성해 나간다. 노인이 해 주는 이야기의 주인공은 젊은 청년 그리고리 알렉산드로비치 페초린이다. 그는 지치지 않는 체력과 매력적인 악의를 지닌 인물이다. 페초린은 카프카스의 요새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공작의 집에 초대받아 갔다가 그의 어린 딸 벨라를 마음에 두게 된다. 그는 그녀의 동생이며 분별력이 아직 부족하고 자신이 갖고 싶은 것은 꼭 가져야 직성이 풀리는 도련님 아자마트를 이용해 벨라를 얻는다. 카즈비치의 애마 카라교스를 그에게 넘겨주는 대가로 그의 누이 벨라를 자기에게 넘기라고 한 것이다. 말도 안되는 이 거래는 놀라울정도로 순조롭게 이루어지지만 애마를 잃은 카즈비치의 분노는 벨라의 아버지인 미르노이공작을 죽이고 결국은 벨라까지 목숨을 잃게 만든다. 페초린은 이 모든 일의 원인이지만 벨라에 대한 사랑도 한때였던 듯 그녀의 죽음 이후 한 방울의 눈물도 보이지 않는 초연함으로 주변을 무색케한다. 그리고 갑자기 실제 인물로 등장한 그와 애정어린 재회를 꿈꿨던 막심 막시므이치의 기대도 한 번에 저버리고는 그에게 있던 자신의 일기마저도 그저 내팽개친 채 페르시아로 떠난다. 그리고 페르시아에서 돌아오다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자 화자인 ‘나’는 그제서야 자신이 페초린 이야기를 자유롭게 쓸 수 있게 되었다며 그의 일기중 일부분을 공개하겠다고 한다. 이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되는 느낌이다. 이후 이야기에 등장하는 ‘나’는 페초린이다. 그는 타만에서 밀수꾼들을 만나 결국 그들을 해체하게 된 이야기에서 시작된다. 적어도 이부분에서 그는 그다지 악한 의도를 드러낸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이 밀수꾼들을 잡고자 했던 것도 아니다. 그러나 결국 장님소년을 슬프게 만들었다. 그러니 주변을 불행하게 만드는 그의 인생의 결과는 그의 의지때문일 때도 있지만 어쩌면 그의 운명때문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마지막 숙명론자에서 그의 운명이 페초린에 의해 결정되어버린. 불리치의 죽음처럼 말이다. 그루슈니츠키는 영웅이 되는 것이 목표였던 남자다. 그러나 그는 그가 사랑하는 여인에게서도, 또 주변으로부터도 영웅이 될 수 없는 인물이었다. 그는 자존심을 지키고자 했으나 결국은 비참하게 죽어야했다. 영웅이 되고싶다는 남자를 죽음에 이르게 한 인물 페초린을 우리 시대의 영웅이라고 이름붙인 편집자의 의도는 무엇이었을까. 이 시대 모든 악덕이 모인 남자. 이 시대에는 그런 인물이 자꾸 등장하고, 그런 인물 때문에 몇몇 선량하거나 평범한 인물들이 불행에 빠지게 된다는. 그런 의미인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