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s

>>
Book Reviews
>
나를 찾아가는 길
Book name
저자/역자
Hesse, Hermann
출판사명
시사영어사 1987
출판년도
1987
독서시작일
2020년 12월 19일
독서종료일
2020년 12월 19일
서평작성자
양*지

Contents

(서론)

 저는 『데미안』이 다양한 사랑을 통해 자기실현을 이루어 나가는 모습을 독자들에게 보여준다고 생각합니다. 많은 작가들이 사랑과 자기실현을 책에서 주제로 다뤘습니다. 이는 예전부터 최근까지 다뤄오고 있는 역사성 깊은 주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많은 작가들이 책에서 사랑과 자기실현을 다뤄왔지만, 대다수의 현대 사람들은 아직도 이 주제가 어렵게 느껴지고, 잘 모른다고 생각합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였습니다.

 저는 『데미안』을 읽으면서 사랑의 종류와 저에게 맞는 사랑을 알아가는 과정을 겪었습니다. 또 저는 자아성장을 하고 자기의 세계를 발견할 단서를 찾았습니다. 물론 제가 책을 읽은 한 번에 사랑을 깨우치고 단서를 찾은 건 아닙니다. 제가 책을 여러 번 읽고 생각하는 과정을 통해 실마리를 잡았다고 할 수 있겠죠.

(본론)

 저는 『데미안』 속 주인공인 싱클레어가 데미안을 스토르게플라토닉 러브라는 사랑의 종류로 사랑한다고 봤습니다. 스토르게는 부모를 생각하는 마음이라고 합니다. 싱클레어는 부모를 생각하듯 데미안을 의지하고, 고민을 토로하고 지속적인 사랑을 보입니다. 싱클레어는 데미안이 한 툭 던진 말 때문에 자신의 내면의 심층 부분까지 파고들어 의문을 가지고 자신에 대해 더 잘 알아가는 생각과정을 겪습니다. 또 싱클레어는 데미안 덕분에 자신에게 주입된 사회적 통념에 대해서 다른 시각으로 보기 시작했습니다. 이처럼 책 속 여러 부분에서 싱클레어는 데미안을 통해 마음과 영혼을 고무시키고 자신의 내면에 집중하여 성장합니다. 이는 플라토닉 러브의 특징입니다.

 싱클레어는 베아트리채를 사랑하는데, 이 마음은 결국 나를 사랑하는 마음이며 이를 통해 자신을 깨닫는 한 과정을 겪습니다. 싱클레어는 베아트리채를 보며 데미안을 떠올립니다. 거기서 확대하여 싱클레어는 데미안을 통해 자신의 자아를 깨닫습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싱클레어는 어두운 세계에서 밝은 세계로 발걸음을 내딛습니다. 책에서 싱클레어는 본인의 내면과 삶에 대해 깨달으며 성장해 나갑니다.

 저도 데미안의 말로 싱클레어와 같은 종류의 깨달음을 얻고 동질감을 느꼈습니다. 저는 원래 정보를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고 한 쪽의 의견만 듣고 판단해버리는 경향이 있습니다. 제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 와중에 다른 관점의 생각과 다양한 정보를 접하게 되면 혼란스러웠습니다. 그렇지만 저는 『데미안』을 읽으며 어느 생각이 맞는 걸까?’하고 비판적으로 생각하게 되고 시야가 넓어진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처럼 『데미안』을 통해 저는 다양한 관점의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 있을수록 더 현명한 비판적 사고가 가능하다고 보았고, 비판적 사고에 많은 도움을 받았습니다.

 싱클레어는 에바부인을 사랑하면서도 자신을 사랑하는 마음을 깨닫습니다. 싱클레어는 에바부인과 대화를 나누며 마음속의 변화를 느낍니다. 에바부인은 싱클레어에게 자신의 마음속에서 성취를 확신하고 소망하는 사고 속에서 모든 것을 극복해야만 한다고 합니다. 더하여 사랑을 간청해서는 안되고, 사랑 속에서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에바부인과 하는 대화를 통해 싱클레어는 자신이 하는 사랑의 본질이 에바부인이 아닌 자신의 내면 속 한 가지 상징이며, 자신 속으로 더 깊게 인도하고 있다고 느낍니다.

 에바부인은 싱클레어에게 사랑에 대한 이야기들을 해줍니다. 앞에서도 잠깐 언급했듯이 에바부인은 사랑은 간청해서는 안 돼요.”, “당신의 사랑이 나를 끌면, 그러면 내가 갈 거에요.”라고 싱클레어에게 말해줍니다. 또 에바부인은 싱클레어에게 대부분의 사람은 사랑하면서 자신을 잃어버리지만, 사랑을 하며 자신을 발견해야 한다고 말해줍니다. 아마 저자는 독자들에게 사랑의 본질을 깨우치고 자신을 사랑해라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이러한 저자의 의도는 저에게 성공적으로 다가왔습니다. 아직 저는 사랑이 무엇인지 확실하게 정의하지 못했습니다. 그렇지만 책을 읽고 제 나름대로 사랑에 대해 생각해보았을 때 사랑은 주는 것이라고 보았고, 나 자신을 먼저 사랑하기로 다짐할 수 있었습니다.

 (결론)

 

 온전한 내가 되기 위해서 자기의 세계를 발견해야 하고 또 그러기 위해선 자신만의 데미안이 필요합니다. 책을 읽으면서 저는 싱클레어의 데미안처럼 저만의 데미안을 찾으려고 노력했고, 저의 주변에서 찾을 수 있었습니다. 어떤 사람들은 데미안이란 존재를 어렵게 생각해서 찾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람마다 데미안은 다릅니다. 그러니 각자 삶 주위를 잘 둘러보면 이미 자신만의 데미안이 있을 것입니다.

  『데미안』은 종교, 국가, 시대 등 우리의 삶과 많은 부분에서 다릅니다. 우리가 책을 읽을 때 다름에서 오는 무지 때문에 이해가 잘 안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부분이 다르다 해도 공감이 가고 마음에 와 닿는 부분이 모두에게 있을 거라고 확신합니다. 저는 『데미안』을 나를 찾아가는 길을 알려주는 지침서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 책이 청소년뿐만 아니라 아직 길을 헤매고 있을 어른들에게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제 서평을 본 분들이 『데미안』을 읽는다면 저처럼 사랑을 알고, 자아성장 및 성찰에 더하여 자기실현에 대한 갈피를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추천드립니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