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s

>>
Book Reviews
>
인간에게서 건축이 만들어지다
Book name
저자/역자
De Botton, Alain.
출판사명
이레 2007
출판년도
2007
독서시작일
2018년 11월 19일
독서종료일
2018년 11월 19일
서평작성자
**

Contents

건축에 전혀 관심이 없었지만 행복의 건축의 마지막 페이지를 읽고 마치는 순간 경이로움과 감사함을 느낄 수 있었다.건물이란 인간의 모든 사회적, 경제적, 행정적 활동을 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건축물이며 건물의 용도와 인접성을 고려하여 건축물을 만들 게 된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외양만 보고 건물의 용도나 외양에 감탄하고 넘어갔지만 행복의 건축은 건축에 대한 생각을 변화시켜 주었다.

우리가 밖에서 보는 건물 대부분을 그냥 지나치고 가는 이유는 익숙함과 목적이 없기 때문이다. 늘 일상속에서 보고 살기에 큰 관심을 주지 않을 뿐더러 이용 목적이 없다면 건물에 들어갈 이유가 없어서 관심에 두지 않는다. 하지만 일상 속에서 가장 쉽게 볼 수 있는 인공적인 예술이 바로 건축물이다. 건물이 있어야 인테리어, 가구, 사람까지 디자인 될 수 있다. 인공적인 예술의 가장 시발점이라고 할 수 있다.
건축은 우리 삶에 가장 근접한 예술로서 인간의 두 가지 형태를 보여준다고 생각한다. 첫 번째, 일상속에서 늘 볼 수 있는 익숙함과 편의성에 의한 감사함을 느낄 수 있었다. 주택, 공공기관, 상점, 식당 등 일상적으로 이용하는 건물이며 삶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들이다. 삶의 필수적인 건물은 인간의 필요와 편의에 의해 만들어졌고, 인간의 삶에 필요하게끔 만든 배려의 극치를 느낄 수 있다. 조금만 더 주위를 살피면 우리가 누릴 수 있는 점에 대해 감사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두 번째, 일상에서 보기힘든 멋진 건물은 인간의 경외심을 고취시킨다. 주로 랜드마크로 지어진 높은 빌딩이나 건축물이 예시인데, 랜드마크는 삶의 이상적인 부분과 단점을 보여준다. 인간의 이상을 현실화시킨 건물이지만 익숙하지 않고 낯설음과 경외심을 심어준다. 멋진 건물을 건축하는 것은 인간에게 충족되지 못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방법이며 가진 자가 가지지 못한 자에게 보여주는 경외심의 선포라고 생각한다.
익숙함, 경외심 두 가지의 형태로 건축은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데, 가장 인간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건물은 무엇일까? 바로 태어날 때부터 자라면서 쭉 거주해온 '집'이다. 집은 단순히 실재적인 집이 아니라 정신적, 신체적으로 사회에서 소모된 우리의 에너지를 재충전시켜줄 수 있는 안식처이다. 안식처로서 집은 우리의 정체성과 독립심을 유지할 수 있는 힘을 부여하고 사회에서 살아갈 수 있는 힘을 준다. 또한 집은 우리의 이상을현실화시켜준다. 안식처로서 집은 인간의 정체성 향상에 도움을 줌으로서 개인의 목표를 이룰 수 있게 도와준다. 집이라는 자신만의 공간 안에서 사회적인 평가나 시선에서 벗어나 자신의 이상을 실현시켜줄 수 있다.

단순히 건축물은 우리의 편의와 필요에 의해 존재한다기 보다 건축은 우리의 삶의 시작과 끝에 위치하며 함께하는 요소로서 인간의 정체성과 발전에 이바지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었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