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 Reviews

>>
Book Reviews
>
대한민국에는 연을 쫓는 아이가 있을까
저자/역자
Hosseini, Khaled
출판사명
열림원 2005
출판년도
2005
독서시작일
2015년 12월 18일
독서종료일
2015년 12월 18일
서평작성자
**

Contents

중간고사의 마지막 시험을 끝낸 나는, 집으로가는 길에 도서관에 들렸다. 시험이 끝나자 말자 도서관 들린 이유는 시험기간 때는 시험공부하는 이외에 모든것이 재미있고,
그 중 책읽는것이 가장 재미있다.
시험기간에 책이 재미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책 읽는것이 노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내면 속에서 시험기간에 놀고있다는
죄책감을 느끼게 하지 않기 때문인 것 같다. 나는 책 읽는 것을 여행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읽으면 책 속의 내용을 상상하며
공간을 그리게되고 작가가 그려놓은 글 속으로, 그리고 작가의 국가로 빠져든다. 그리고 이 시기에 뉴스에서 가장 핫 키워드는
IS였다. 그리고 IS는 이슬람종교 극단주의자 조직이였다. 그래서 나는 이슬람과 관련된 독서를 찾아보았으나 그 때는 애석하게 찾지 못하였다. 그리고 고향에 왔을 때, 어린시절 베스트셀러라는 이유로 사두고 페이지가 많아서 읽다가 관둔 연을 쫓는 아이를 발견하였다.
그리고 나는 고향에서 이 책을 가져와서 읽게 되었다. 연을 쫓는 아이, 제목을 봤을때 이슬람과 우리나라의 전통놀이 연 매치가 안되는 그림이였다. 하지만 책을 읽으며 나는 이슬람에도 연날리기를 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주인공은 아미르와 하산인데 연을 쫓는 아이는 하산이라는 꼬마다. 하산은 아미르의 하인이다.
그리고 소설의 배경국인 아프가니스탄의 전통놀이에는 연싸움이있었다. 아미르는 바바라는 아버지를 두고있었다.
바바는 체격도크고 마을에서 부자였지만 정이많아 마을사람들에게도 항상 베풀었고 그렇기에 존경을 받고있었다. 그리고 아미르는 그런 아버지의 사랑을 독차지 하고싶었다. 그래서 아미르는 연싸움에서 1등을 하고싶었고 각 마을의 연싸움대회가 펼쳐질때 아미르는 1등을 한다. 그리고 끊어진 연은 잡는 사람이 주인인데 그 연을 잡기위해 쫓는 아이가 바로 “하산”이다. 아미르는 연을 쫓는 중 하산이 동네 양아치 친구들에게 강간을 당하는 것을 보았지만, 겁이 많아 멀리서 지켜보기만 한다.그리고 아미르는 항상 미안한 마음을 가지고있었지만 표현을 하지못했다. 그리고 아미르는 자신의 물건을 하산의 집에숨기고 하산이 훔쳐갔다고 아버지인 바바에게 알렸다. 그런데 놀랍게도 하산은 자기가 도둑질을 했다고 주인인 아미르를 위해 거짓말을 하였다. 바바는 괜찮다고 정말 끊임없이 붙잡았지만 하산은 떠나게 된다.
그리고 그 후 아미르는 미국으로 떠나게 되고 결혼 후 아프가니스탄을 찾았는데 아는 지인에게 하산이 배다른 동생이라는 것과 하산이 죽었다는 것을 알게된다. 충격을 받고 있을 때 지인이 하산에게 아들이 있다고 말해주었다. 아미르의 부인은 병으로 임신을 못했기 떄문에 하산의 아들을 데리러 오려하는데 하산이 납치되어있었고 아미르가 구해서 미국으로 돌아온다.
나는 하산의 충성심을 배우고싶다.
나의 주관적인 관점으로 봤을때는 하산의 충섬심은 맹목적인 충성심이라고 생각한다. 단지 노예로 태어났기 때문에 얻을 것 없는, 보답없는 그런 충섬심이였다.
하지만 나는 동아대 학군단 학생으로써 미래의 장교가 될 것이다. 그리고 미래에 대한민국의 훌륭한 장교가 되었을때
하산이 그랬던 것처럼 국가를 위해 맹목적인 충성심을 바치고 싶다. 내가 국가를 위해 목숨바쳐 군인 생활을 해도 내가 정말 기쁜 것은 없을 것이지만, 국가는 나를 기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현재 대한민국에는 우리나라가 싫다며 비판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내가 충섬을 바치면 아미르가 고마움을 깨닫고 돌아온 것처럼 국가도 나를 찾을 것이다. 비록 국가가 싫더라도, 충섬심을 가지고 싶지않더라도 국가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졌으면 좋겠다. 

Full 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