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c
001 2210080893491
005 20201120104617
007 ta
008 201120s2020 ulk b 000c kor
020 a9788937479984g03300 :c\16000
035 a(KERIS)BIB000015702198
040 a211029c211029d221008
041 akorheng
056 a539.90425
245 00 a우리가 날씨다 : b아침식사로 지구 구하기 /d조너선 사프란 포어 지음 ;e송은주 옮김
260 a서울 :b민음사,c2020
300 a330 p. ;c19 cm
500 a원저자명: Jonathan Safran Foer
500 a권말부록: 14.5퍼센트/51퍼센트
504 a참고문헌: p. 296-327
507 tWe are the weather :
700 aFoer, Jonathan Safran,d1977-,e지음
700 a송은주,e옮김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5702198
900 a포어, 조너선 사프란
950 0 b\16000
우리가 날씨다 :아침식사로 지구 구하기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우리가 날씨다 :아침식사로 지구 구하기
저자명
발행사항
서울 : 민음사 2020
형태사항
330 p ; 19 cm
주기사항
원저자명: Jonathan Safran Foer / 권말부록: 14.5퍼센트/51퍼센트 / 참고문헌: p. 296-327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539.904 포64우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382010
청구기호
539.904 포64우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82011
청구기호
539.904 포64우 =2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조너선 사프란 포어
최민영
2021-02-21
지구에 살고 있다면 모두가 읽어 봐야 할 책, \’우리가 날씨다\’. 우리의 지구는 지구온난화(기후변화)의 심화로 인해 크나큰 고통을 받고 있다. 기온 상승에 따른 해수면 상승, 수온 상승으로 인한 바다사막화.. 이는 우리가 다 알고 있는 것들이다. 잘 알고 있지만 왜 달라지는 게 없냐고? 바로 그 이유를 잘 설명한 책이 바로 ‘우리가 날씨다’이다. 현재 지구 온난화에 대한 우리의 전지구적인 태도는 책의 부연 설명으로도 말할 수 있다. ‘더 잘 안다고 달라질 것은 없다’. – 우리는 지구온난화 상황과 문제점을 직시하고 있지만, 그 사실을 이해 하기는 어렵다. 저항 운동가 카르스키가 독일 나치가 어떤 만행을 저지르고 있는 지를 알리기 위해 미국 대법관 프랭크퍼터를 만나 상황을 전하였지만, 그는 믿을 수 없다고 말하였다. 카르스키의 말이 거짓이라는 것이 아니라 그 참혹한 상황을 받아들일 수가, 이해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이는 현재 지구온난화에 대한 우리의 태도를 적실하게 꼬집는 대목이다. 우리는 지구온난화에 대해, 그 문제점과 피해에 대해 잘 알고 있지만 왜 행동하지 못 하는가? 왜 우리는 알면서도 믿지 못하는가? – 책의 저자 조너선 사프란 포어는 책의 주제를 마치 해리포터 속에서 ‘볼드모트’의 언급이 금지된 것처럼 아주 조심스럽고도 은밀하게 이끌어 내다가 결국 1부의 마지막에서야 제시한다. 지구온난화를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쉬운 방법이자 지구온난화에 즉각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행동, 바로 채식이다. ‘유엔 기후변화협약에 따르면, 소들을 나라라고 치면 이 나라는 중국과 미국에 이어 온실가스 배출에서 3위를 차지한다’. 전 인류가 매일 한끼만이라도 채식을 하기 위해 노력한다면 지구온난화의 속도를 조금이나마 늦출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우리가 기후변화를 논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이해해야 할 것은 우리의 행성은 농장 이라는 사실, 즉 축산업이 기후변화를 유발한다는 사실이다. 식습관을 포기할 것인가, 지구를 포기할 것인가? 결정을 내릴 때 당신은 어디에 있었는가 – PS. 봉준호 감독의 영화 ‘옥자’는 기업식(공장식) 축산업의 문제를 다루었다. 어쩌면 영화의 출발점은 축산업에서 더 나아가 비건, 지구온난화에 관련된 건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옥자의 포스터에서 옥자의 등 위에는 공장이 있으며 그 굴뚝에서는 매캐한 연기를 내뿜고 있다. 비건의 영향력과 축산업의 문제점에 대한 무수한 컨텐츠를 접했음에도 비건을 실천하기 어려운 것을 보면, ‘우리가 날씨다’의 저자가 조심스럽게 언급한 이유를 알 것만도 같다. 저자의 친구조차도 그의 책을 읽지 않았으니.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