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a
001 2210080877666
005 20190806143259
007 ta
008 190806s2019 ggka 000cf kor
020 a9791188047918g04800 :c\13000
035 a(KERIS)BIB000015115993
040 a242014c242014d221008
041 akorhger
056 a85325
245 00 a그림자를 판 사나이 /d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지음 ;e최문규 옮김
250 a개정판
260 a파주 :b열림원,c2019
300 a217p. :b삽화 ;c19 cm
490 a이삭줍기 환상문학 ;v01
500 00 a원저자명: Adelbert von Chamisso(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700 aChamisso, Adelbert von,d1781-1838
700 a최문규,e옮김
830 a이삭줍기 환상문학 ;v01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5115993
900 a샤미소, 아델베르트 폰,d1781-1838
950 0 b\13000
그림자를 판 사나이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그림자를 판 사나이
판 사항
개정판
발행사항
파주 : 열림원 2019
형태사항
217p : 삽화 ; 19 cm
주기사항
원저자명: Adelbert von Chamisso(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853 샤38그2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366141
청구기호
853 샤38그2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66142
청구기호
853 샤38그2 =2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Chamisso, Adelbert von,
이동욱
2020-11-19
주인공은 자신의 그림자를 팔아 엄청난 부자가 되지만 그림자가 없다는 이유로 마을 사람들에게 배척당하게 된다. 그는 호화롭고 넓은 방에서 살지만, 사람들을 피해 어둑한 방에 숨어 지내다 그림자가 없다는 것을 들켰을 때는 떠나야 했다. 자신의 선택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고 다시 그림자를 되찾으려 하였으나 자신의 영혼을 팔아야 하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러한 그의 모습을 보며 돈에 자신의 일부를 파는 행위가 얼마나 어리석은 것인지, 후회해도 이미 늦었다는 것을 또한 당연한 것을 되찾기 위해서는 더 많은 희생을 치러야 한다는 것을 아주 잘 보여주었다.   하지만 책의 후반으로 갈수록 하나의 의문이 들기 시작했다. 마을 사람들이 하는 저 행동은 비판인가? 아니면 단순한 혐오인가? 마을 사람들은 주인공을 처음부터 나쁘게 보는 것이 아니었다. 처음에는 그를 좋은 사람으로 평가하였으나 그림자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된 순간부터 모두 그를 비난하고 떠났다. 그렇다 오직 그림자의 유무로만 그를 판단했다. 독자인 나는 주인공이 돈에 그림자를 팔아버렸다는 사실을 알고 있지만, 마을 사람들은 주인공이 그림자가 없는 이유를 알고 있지 않고, 아무도 묻지 않았다. 오직 그의 하인 벤델만이 질문하였고, 주인공에게 처음이었다. 그렇기에 벤델과 마을 사람의 행동이 대조되었고, 주인공이 벤델에게 더욱 의지하는 모습을 보면서 불쌍하다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마을 사람들이 한 행위는 비판이 아닌 혐오라고 생각한다. 이유를 묻지 않고 누군가에게 당연한 것이 없다는 이유로 사람을 배척하는 행동이 비판이라고 할 수 있을까? 왜 없는지, 그래서 후회하는지 등 대화를 나눈 뒤에도 돈에 모든 걸 팔아버리는 남자였다면 마을 사람들의 이러한 행동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단순히 ‘없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누군가를 배척하는 것은 혐오라 생각한다. 만약 선천적으로 당연한 것이 없는 사람이었다면 이 마을에서 그 사람은 어떤 취급을 받았을까? 단언컨대 아무 잘못이 없어도 떠나야 했을 것이다.   이 책은 돈에 자신의 당연한 것을 팔은 어리석은 사람의 이야기를 잘 표현했지만 한편으로는 당연한 것이 없는 사람을 많은 사람이 어떻게 바라보는가를 잘 보여주는 소설이었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