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c
001 2210080869403
005 20190709102624
007 ta
008 190709s2019 ulkd b 000c kor
020 a9791185400914g03800 :c\14000
035 a(KERIS)BIB000015190077
040 a211046c211046d221008
056 a029.425
245 00 a책은 꼭 끝까지 읽어야 하나요? :b내 맘대로 읽어도 술술 읽히는 독서의 비밀 /d변대원 지음
260 a서울 :b북바이북,c2019
300 a263 p. :b도표 ;c21 cm
500 00 a권말부록: 독서 연애지수 테스트, 정말 읽고 싶은 책들, 나의 시공간 발견하기 외
504 a참고문헌: p. 261-263
653 a독서법a독서습관
700 1 a변대원,e지음
950 0 b\14000
책은 꼭 끝까지 읽어야 하나요? :내 맘대로 읽어도 술술 읽히는 독서의 비밀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책은 꼭 끝까지 읽어야 하나요? :내 맘대로 읽어도 술술 읽히는 독서의 비밀
저자명
변대원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북바이북 2019
형태사항
263 p : 도표 ; 21 cm
주기사항
권말부록: 독서 연애지수 테스트, 정말 읽고 싶은 책들, 나의 시공간 발견하기 외 / 참고문헌: p. 261-263

소장정보

청구기호 : 029.4 변23책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365198
청구기호
029.4 변23책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65199
청구기호
029.4 변23책 =2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변대원,
김영훈
2019-07-29
  학교 도서관 신간 코너에서 이 책을 발견했다. 처음에는 생각해놓은 책을 빌리려고 했다. 하지만 막상 서가를 구경하니 책을 읽지도 않았는데 피로감이 몰려왔다. 원래 빌리려고 했던 책은 다들 손꼽고 추천하는 고전 명작이었고 말도 어렵고, 책도 두꺼웠다. 망설이다가 신간 코너에서 빨리 가볍게 읽을 책을 고르기로 마음먹었다. 그 책이 변대원의 <책을 꼭 끝까지 읽어야 하나요>이다. 세상에 엄청나게 많은 책이 있다. 우리는 세상에 존재하는 모든 책을 읽지 못한다. 그렇다면 좋은 책만이라도 뽑아 읽어야 하지 않을까. 사람들은 책을 읽을 때 꼼꼼히 끝까지 읽으려고 한다. 왜 그런 걸까? 바로 그 책을 다시 읽지 않기 위해서이다. 세상에 책이 많으니 같은 책을 읽으면 그만큼 다른 책을 읽을 시간을 뺏긴다. 그렇기에 한 번 읽을 때 자세히 읽는 것인데 사실 책을 한 번 읽고 내용을 모두 이해하기 어렵다. 특히 대학생 추천 도서로 뽑히는 고전들은 더욱더 그러하다. 책은 작가가 많은 시간을 들여 생각을 종합하고 논리적으로 설명한 글이기에 단번에 이해하기 힘들다. 그렇다 보니 책을 읽다 보면 지치고 점점 독서 자체를 싫어하게 된다. 이런 면에서 작가는 속독을 강조한다. 자세히 읽으려고 하다가 책도 이해 못 하고 독서에 흥미를 잃을 바에 속독을 통해 다양한 책을 접하고 자신에게 맞는 책을 고르라고 말한다. 연애로 치면 소개팅이다. 내 마음에 들지 않는 상대에게 애써 봤자 시간 낭비, 돈 낭비일 뿐이다. 책을 고를 때도 마찬가지이다. 소개팅하기 전, 만남을 주선하는 사람이 상대방을 백날 칭찬하고 둘이 잘 어울린다고 말해봤자 내가 마음이 없으면 끝이다. 서울대 100대 추천 도서나 타인의 추천 도서는 참고만 하고, 내가 재밌어하는, 내게 맞는 책을 골라야 한다. 영화를 좋아한다면 영화에 관한 책을, 술을 좋아한다면 술에 대한 책을 읽어야 한다. 이 분야들은 내가 관심 있고 좋아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책이 술술 읽힐 가능성이 높다. 그런 책이라도 이해하기 어렵다면 자기 수준에 맞는 책을 읽자. 책을 이해하지 못하는 이유는 배경지식이 없고, 작가의 의도를 읽어내는 훈련이 부족해서이다. 그런 면에서 작가는 모르는 내용이 30~50%일 때가 좋은 책이라고 말한다. 반 이상이 아는 내용이라 읽기도 쉽고, 다시 한번 아는 내용을 상기하기에 기억에 오래 저장되고, 새로운 지식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이렇게 계속 읽다 보면 자연스레 책 읽는 속도도 높아진다. 책에서 충격을 받은 건 ‘책’을 하나의 인격체에 비유한 점이다. 나는 그동안 책을 수단으로서만 생각했다. 책을 읽으면 그 지식을 얻을 수 있을 뿐이라고 생각했다. 근데 작가는 책을 연인에, 독서를 연애에 비유했다. 재미없고 구속하는 연애는 나를 지치게, 상대방을 싫어하게 만든다. 나는 책에 질질 끌려다니는 연애를 많이 했다. 만나다 보면 지치고 피곤해져서 책을 방치한 채 도서관 대출 연장 버튼만 눌러 댔다. 이제는 구속적인 연애에서 벗어나 나를 중심으로 자유로운 연애를 할 때라고 생각한다. 대학생으로서 공부나 지식을 위해 읽어야 할 책이 많다. 하지만 일단 천천히 가벼운 만남부터 시작하려고 한다. 그래야 책과 만남을 깊고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