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c
001 2210080869017
005 20250620131356
007 ta
008 190705s2019 ggka 000c kor
020 a9788965708063g03400 :c\16000
035 a(KERIS)BIB000015190995
040 a241002c241002d211021d221008
041 akorkenghita
056 a420.125
245 00 a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d카를로 로벨리 지음 ;e이중원 옮김
260 a파주 :b쌤앤파커스,c2019g(2020 38쇄)
300 a239 p. :b삽화 ;c19 cm
500 z원저자명: Carlo Rovelli
500 b우리의 직관 너머 물리학의 눈으로 본 우주의 시간
500 iThe order of time
507 t(L`)ordine del tempo
546 a영어로 변역된 이탈리아어 원작을 한국어로 중역
700 aRovelli, Carlo,e지음
700 a이중원,e옮김
900 a로벨리, 카를로
950 0 b\16000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저자명
발행사항
파주 : 쌤앤파커스 2019
형태사항
239 p : 삽화 ; 19 cm
주기사항
기타 표제 : 우리의 직관 너머 물리학의 눈으로 본 우주의 시간

소장정보

청구기호 : 420.1 로44시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364976
청구기호
420.1 로44시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64977
청구기호
420.1 로44시 =2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81087
청구기호
420.1 로44시 =3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81088
청구기호
420.1 로44시 =4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81089
청구기호
420.1 로44시 =5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81090
청구기호
420.1 로44시 =6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81091
청구기호
420.1 로44시 =7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81092
청구기호
420.1 로44시 =8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보존서고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Rovelli, Carlo,
이승호
2020-12-20
이 책은 ‘독서 에세이 대회’ 과학 카테고리의 책으로 선정되어 읽게 되었다. 책을 읽기 전 부터 우주 과학에 관심이 많았다. 공학도이기 전 부터 ‘코스모스’ 라는 책이나 ‘인터스텔라’라는 영화를 즐겨 보며 우주에 대한 신비를 알게 되고 흥미로웠다. ‘시간은 흐르지 않는다’ 책의 제목을 보자마자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이 번뜩 생각나고 꼭 읽어봐야 겠다고 다짐했다. 우선 과학 카테고리의 도서 답게 어려운 용어나 쉽게 이해하지 못하는 내용들이 나온다. 물리학과 더불어 열학적인 내용이 심심치 않게 등장한다. 그에 대한 쉬운 설명도 덧 붙혀져 있지만 조금 생각하는 과정을 통해야지만 이해하고 다음 내용도 이해할 수 있었던 것 같다. ‘시간’에 대한 내용을 주로 다루는 만큼 평소에는 생각지도 못한 사실을 알려주었다. “시간은 무엇인가?”에 대해 과거 사람들의 생각과 현재 사람들의 생각 그리고 열역학적인 관점과 물리학적인 관점을 보여주었다. 이를 읽고 한번 생각에 잠기게 되었다. 왜 하필 많고 많은 역학적 변수 중에서 왜 하필 시간 t인가? 나는 시간과 가장 근접한 역학적 변수는 엔트로피라고 생각한다. 엔트로피는 엎질러진 물은 다시 담을 수 없는 것처럼 가역적인 과정(비실존)이든 비가역적인 과정(실존)이든 항상 변화가 0보다 작을 수 없다. (△s>=0) 시간도 동일 하다. 실존하는 세상에서 시간은 0보다 항상 크다.  그말 즉슨 멈춰있거나 다시 되돌아가는 과정없이 항상 앞으로만 흘러간다. 나는 사람들이 시간을 변수로 설정한 이유는 사람들이 열역학적 과정, 엔트로피의 과정을 공식적으로 알아내기 전에 우연히 알게되고 엔트로피같은 상황을 시간이라고 붙인게 아닌가 생각한다. 책에 포함된 삽화중에 시간을 모래시계와 같은 형상으로 표현한 것이 가장 인상깊었다. 시간은 한 선분에서 다른 선분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모래시계같이 (과거의) 두개의 선분이 만난 꼭지점이 현재가 되고 다시 그 점을 지나 각기 다른 꼭지점을 만들어 내는것이 미래, 그리고 수 많은 모래시계 사이의 공간들은 無의 시간이라는 것이 기존의 나의 시간적인 관점을 뒤바꿔주었다. 시간에 대해 새로운 관점을 찾고 싶은 사람이나 미처 생각지도 못한 사실에 흥미롭게 빠져들고 싶은 사람에게 이 책을 추천한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