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c
001 2210080859967
005 20190416143949
007 ta
008 190416s2019 ulk 001c kor
020 a9788961473354g94200 :c\18000
020 a9788987350264 (세트)
035 a(KERIS)BIB000015045998
040 a211046c211046d221008
041 akorheng
056 a220.125
245 00 a불교 철학 :b역사 분석 /d데이비드 J. 칼루파하나 지음 ;e나성 옮김
260 a서울 :b이학사,c2019
300 a301 p. ;c23 cm
490 a신화 종교 상징 총서 ;v17
500 a원저자명: David J. Kalupahana
500 a권말부록: 1. 형이상학과 붓다, 2. 초기 불교와 선의 관계에 대한 고찰
504 a참고문헌과 색인수록
507 tBuddhist philosophy : a historical analysis
700 aKalupahana, David J.,d1933-,e지음
700 a나성,e옮김
830 a신화 종교 상징 총서 ;v17
900 a칼루파하나, 데이비드 J.
950 0 b\18000
불교 철학 :역사 분석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불교 철학 :역사 분석
저자명
발행사항
서울 : 이학사 2019
형태사항
301 p ; 23 cm
주기사항
원저자명: David J. Kalupahana / 권말부록: 1. 형이상학과 붓다, 2. 초기 불교와 선의 관계에 대한 고찰 /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청구기호 : 220.1 칼296불ㄱ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357448
청구기호
220.1 칼296불ㄱ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57449
청구기호
220.1 칼296불ㄱ =2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Kalupahana, David J.,
이재민
2021-03-12
지난번 오강남의 <진짜 종교는 무엇이 다른가>를 읽으며 심층종교란 \”절대자 혹은 신에 대한 단순 믿음을 통해 외부에서만 정답을 찾는 것이 아닌 내부에서 정답을 찾고 이해와 깨달음을 종요시하는 것\”이란 걸 알았다. 수많은 종교들 중에서 특히 불교는 여타 다른 종교와 다르게 유난히 심층종교적인 측면이 강한 종교이다. 물론 어딘가 사이비 비슷한 불교도 있을 것도 사실이고 다른 종교가 심층종교적인 모습이 없다는 것도 아니다. 아무튼 내가 불교를 숭상하고 다른 종교를 깎아내리는 것이 아니라는 것만은 알아줬으면 좋겠다. 불교는 종교이면서 철학이다. 시작은 부처였지만 이것을 발전시키고 전승시킨 것은 다른 사람들이다. 인간의 언제나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기에 불교에서도 수많은 논쟁과 분열이 있었고 이를 토대로 한 변증법적인 통합도 존재했다. 칼루파하나의 <불교 철학 – 역사 분석>은 이러한 과정을 바탕으로 종교로서 신비화되기 이전의 불교를 분석한 책이다. 초기 불교의 역사를 다룬 1부에서는 인도의 사상적 배경에서 불교가 탄생하게 된 종교적, 철학적 맥락을 서술하였고 2부에서는 부처의 열반 이후에 변화하기 시작하는 불교의 사상을 추적하여 소승불교와 대승불교로 갈라선 뒤에 각 분파가 이루어낸 사상적, 철학적 발전을 살펴본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이 책이 꽤나 어려웠던 것 같다. 아마 시간을 두고 2번 정도를 더 읽어야만 내 것이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책에서 느꼈다는 생각도 아마 모든 불교 관련 책에서 나오는 것과 동일하다. \”모든 형성된 것은 사라지기 마련이다. 방일하지 말고 할 일 을 완수하라.\” 라는 부처의 유훈이다. 부처에게 이러한 가르침을 받고도 슬퍼한 많은 제자들이 있었지만 이러한 가르침을 제대로 이해하고 부처의 죽음을 슬퍼하지 않고 정말 아무렇지 않고 무덤덤하게 넘어간 제자들도 있다. 여기서 누군가는 \”그런 깨달음을 남겼기에 부처이고 그 이해불가능한 것을 이해했기에 기록에 남은 부처의 제자다.\” 라고 말할 수도 있다. 뭐 물론 틀린 말은 아니다. 하지만 이들 모두 우리와 다를 바 없는 한 명의 인간이었다는 것을 알아줬으면 좋겠다. 부처는 생각보다 우리에게 그렇게 어려운 걸 요구한 게 아니다. 무조건적인 신앙을 요구한 것도 아니고 제물을 요구한 것도 아니다. 단지 자신과의 싸움에서 이겨라는 것 그리고 열반의 경지에 오르라는 것. 이것이 전부이다. 벗어나야한다. 불교에서 \”벗어남\”이란 인간답지 않은 것들을 떠나고 인간답지 않게 만드는 것을 다스리는 것이다. \”인간적이다.\” 라는 단어가 누군가에겐 행동양식과 휴머니즘을 뜻할 수도 있으나, 적어도 불교에선 \”깨달음에 가장 가까운 상태 혹은 무명에서 벗어날 가능성을 가장 크게 품은 존재\” 라는 것이다. 우리가 인간적이라는 사실이 정말 즐겁지 아니한가?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