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c
001 2210080846420
005 20180905114440
007 ta
008 180810s2018 ggk 000cj kor
020 a9788954651820g03810 :c\13500
035 a(KERIS)BIB000014852513
040 a225007c225007d221008
056 a813.725
245 00 a내게 무해한 사람 :b최은영 소설 /d최은영 지음
260 a파주 :b문학동네,c2018
300 a325 p ;c21 cm
490 a문학동네 소설집
505 t그 여름 --t601, 602 --t지나가는 밤 --t모래로 지은 집 --t고백 --t손길 --t아치디에서
700 1 a최은영,e지음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4852513
950 0 b\13500
내게 무해한 사람 :최은영 소설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내게 무해한 사람 :최은영 소설
저자명
최은영 지음
발행사항
파주 : 문학동네 2018
형태사항
325 p ; 21 cm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813.7 최67내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345431
청구기호
813.7 최67내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45432
청구기호
813.7 최67내 =2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46349
청구기호
813.7 최67내 =3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46350
청구기호
813.7 최67내 =4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보존서고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최은영
이민서
2021-06-06
내게 무해한 사람은 쇼코의 미소 이후 두 번째로 접한 최은영 작가의 소설이다. 쇼코의 미소와 결이 비슷했다. 사람들이 외면하려고 애쓰는 관계의 서늘한 구석을 적나라하게 보여 주는 점이 두 소설 모두 뚜렷하게 느껴졌다. 그래서 사실 읽으면서 조금 피곤했다. 누군가를 배반하거나 상처 주었던 순간을 선명하게 기억하고 싶지 않다. 누구나 소중한 관계가 있다. 절대 상처 받지 않았으면 하는, 그 사람에게만큼은 세상이 조금 관대했으면 하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나의 말과 행동도 그 사람의 그늘을 이룰 수 있다. 견고한 관계일수록 조심하게 되는 이유가 그래서다. 의도하지 않았는데 어? 하는 사이에 상대방에게 상처를 줄 때가 있다. 혹은 잠시나마 마음을 먹고 남에게 상처를 준 다음 바로 죄책감을 느낄 때도 많았다. 소설을 다 읽은 다음 본 작가의 말이 크게 와닿았다. 사람이 주는 고통이 얼마나 파괴적인지 몸소 깨달은 바가 있어 무해한 사람이 되고 싶었다고. 나 역시 무해한 사람이 되고 싶다. 이야기를 나눌 때 편안한 사람이 되고 싶다. 하지만 사람은 불완전한 존재이기에 어떻게든 해를 끼칠 수밖에 없다. 포인트는 \’그럼에도\’다. 그럼에도 다들 좋아하는 사람들과 부딪히면서 관계를 맺고 있고, 그럴 수 있기 때문에 더 성장할 수 있다. 또 냉소적인 사람만은 절대 되고 싶지 않다. 내가 그냥 나이기만 할 때는 어떻게 지내든 별 상관이 없다. 하지만 살아가면서 더 이상 나가 아니라 우리가 되는 때가 온다. 좋아하는 사람들과 함께라는 인식으로 묶일 때. 그 사람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싶은 마음이 생겨 변화할 때 우리는 자신 스스로에게 더 만족할 수 있는 사람이 된다. 같은 맥락에서 공감한 책의 문구가 있었다. 어떤 사람들은 단지 나와 연결되어 있다는 느낌만으로도 안도감을 준다. 나를 세상과 연결시켜준다는, 나를 세상에 매달려 있게 해준다는 안심을 주는 사람.​ 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인생을 대신 살아줄 수 없고, 서로를 완전히 받아들일 수 없다. 아무리 애틋한 관계일지라도 서로 완전히 다른 존재라는 점을 자각하면 쓸쓸함을 느낄 수 있지만, 오히려 그래서 더 열심히 살아야겠다는 동기부여가 될 수 있다. \’나\’로서 존재해야겠다는 생각을 다시 한 번 더 하게 만들어준 책이었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