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k
001 2210080846065
005 20180904162638
007 ta
008 180725s2018 ulka 000c kor
020 a9791160560510g03400 :c\16800
035 a(KERIS)BIB000014853603
040 a225006c225006d225006d225006d221008
056 a40425
245 00 a열두 발자국 /d정재승 지음
260 a서울 :b어크로스,c2018
300 a399 p. :b삽화 ;c22 cm
500 a기타표제: 생각의 모험으로 지성의 숲으로 지도 밖의 세계로 이끄는 열두 번의 강의
500 a권말부록: 인터뷰 특강1. 뇌과학자, '리더십'을 말하다, 인터뷰 특강2. 뇌과학자, '창의성'을 말하다
653 a뇌과학a리더십
700 1 a정재승,e지음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4853603
950 0 b\16800
열두 발자국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열두 발자국
저자명
정재승 지음
발행사항
서울 : 어크로스 2018
형태사항
399 p : 삽화 ; 22 cm
주기사항
기타표제: 생각의 모험으로 지성의 숲으로 지도 밖의 세계로 이끄는 열두 번의 강의 / 권말부록: 인터뷰 특강1. 뇌과학자, '리더십'을 말하다, 인터뷰 특강2. 뇌과학자, '창의성'을 말하다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404 정73열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345085
청구기호
404 정73열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45086
청구기호
404 정73열 =2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45087
청구기호
404 정73열 =3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46377
청구기호
404 정73열 =4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46378
청구기호
404 정73열 =5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정재승
김동현
2021-06-01
필자는 수업이나 특강을 듣는 것을 좋아한다. 그것에 대한 결과가 어떻게 나오든 간에. 하지만 코로나 19로 인해서 전문가 특강이 활발하게 개최되고 있지 않다. 속상하다. 우연한 기회에 책 1권을 발견했다. 이 책은 필자가 평소에 좋아하고 존경하는 KAIST의 정재승 교수님의 책이다. 제목은 『열 두 발자국』이다. 평소 정재승 교수는 강의를 많이 하기로 유명한 교수님이다. 『열 두 발자국』은 문과인 나로서는 상당히 이해하기 어려운 분야를 소개하고 있다. 주로 뇌 과학과 관련된 이야기이다. 본 책은 정재승 교수님의 12개의 특강을 구어체 형식으로 담았다. 굉장히 쉽게 읽히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또한 많다. 그 중에서 가장 흥미 있는 부분을 소개하고자 한다, 『열 두 발자국』의 첫 부분에서는 한 실험을 소개하고 있다. 어린이, 전문가 집단, 대학원생 집단 등에게 몇 개의 재료를 주고 그 재료를 가지고 가장 높게 탑을 쌓게 하는 실험이다. 직관적으로는 전문가 집단, 대학원생, 어린이 순으로 결정이 날 것 같다. 하지만 결과는 우리의 예상 밖이다. 어린이들이 가장 높은 탑을 쌓았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예를 들어 전문가 중 변호사들은 이 탑을 어떻게 하면 가장 높게 세울 수 있을까하고 생각을 먼저 한다. 그 다음에 누구나 생각 할 수 있게 밑을 단단하게 고정 한 다음 긴 재료들을 가지고 탑을 쌓는다. 하지만 어린이들은 달랐다. 일단 시도를 한다. 그것이 불안정한 모습이라도 쓰러지면 다른 방법으로 탑을 쌓는다. 이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다. 혁신은 무엇일까? 아무도 가지 않은 길을 가는 것이다. 그렇다면 그 길을 어떻게 찾을 수 있나? 도전하는 것이다. 실패를 하더라도 일단 부딪혀 보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실패자에 대해 낙인을 찍고, 다시 일어설 수 없는 환경을 만든다. 그것은 잘못 되었다. 누구나 성공한 인생을 살 수 없다. 실패의 크기가 크든 작든 사람은 실패하기 마련이다. 그 실패를 우리 사회가 어떻게 받아들이는지가 중요하다. 우리 사회가 실패에 대해 넓은 마음으로 품어주는 사회가 오길 바란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