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k
001 2210080844978
005 20180625102212
007 ta
008 180621s2018 ggk 000cl kor
020 a9788936475611g03300 :c\15000
035 a(KERIS)BIB000014797020
040 a223009c223009d221008
056 a81825
245 00 a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개의 죽음 :b번식장에서 보호소까지, 버려진 개들에 관한 르포 /d하재영 지음
260 a파주 :b창비,c2018
300 a315 p. ;c20 cm
500 00 a감수자: 강종일
700 1 a하재영,e지음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4797020
900 a강종일
950 0 b\15000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개의 죽음 :번식장에서 보호소까지, 버려진 개들에 관한 르포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개의 죽음 :번식장에서 보호소까지, 버려진 개들에 관한 르포
저자명
하재영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창비 2018
형태사항
315 p ; 20 cm
주기사항
감수자: 강종일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818 하73아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343452
청구기호
818 하73아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43453
청구기호
818 하73아 =2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하재영,
변은수
2019-06-19
  책의 제목만 보면 동물, 그중에서도 개에 관한 이야기인 것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하지만 완독을 한 후에는 작가가 던지는 본질적 질문이 개에 국한되지 않았음을 알게 된다.  나는 이 책의 궁극적 목표를 ‘종차별주의 극복’으로 보았다. 작가는 ‘종차별주의’를 인류가 넘어야 할 가장 큰 도덕적 한계로 지적한다. 종차별주의란 “자기가 소속된 종의 이익을 옹호하면서 다른 종을 배척하는 왜곡된 태도”를 말한다. 동물권을 위한 목소리를 내는 사람들이라면 한 번쯤은 ‘사람’이 먼저라는 말을 들어 보았을 것이다. 인간과 관련된 문제가 아니라면 우선순위를 강요하는 경우는 보편적으로 일어난다. 작가는 이러한 사실을 알기 때문에 동물의 문제가 인간에게도 큰 해를 입힌다는 사실로 그에 대한 관심을 촉구한다.  책의 초반에는 개를 잔인하게 도살하는 과정, 부패한 음식물 쓰레기 사료, 해충이 득실한 환경 등 개농장의 실상을 보여준다. 하지만 이는 인간에게 직접적 영향을 주는 문제가 아니므로 ‘우선순위’에서 미루어진다. 즉 동물 문제에 대한 감성적 접근으로는 해결에 한계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후반부에는 개농장에 대한 적극적 반발을 유도할 만한 이야기들로 이루어진다. 개농장의 열악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인수공통 전염병, 음식물 쓰레기 속 불특정인의 타액으로 인한 세균과 바이러스 감염 등의 문제는 다수를 설득하기에 충분한 근거가 된다.  역설적이게도, 동물 문제가 동물의 범주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에게도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은, 많은 사람이 경각심을 갖고 개선하려는 의지를 가질 수도 있다는 희망으로 느껴졌다.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동물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읽는 내내 인간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우리가 경계해야 할 것은 나에게 피해 주지 않으면 철저히 문제와 분리하는 태도다. 바로 이러한 개인주의가 종 차별주의를 낳고, 많은 사회문제를 등한시하기 때문이다.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개는 그렇게 무관심 속에서 죽어간다. 우리는, 인간은, 감성으로 문제를 인식하고 이성으로 해결하려는 자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며 이 책은 그러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