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c
001 2210080792113
005 20250911140955
007 ta
008 150616s2013 ggkaj 000c kor
020 a9788991290495g93100 :c\35000
035 a(KERIS)BIB000013083966
040 a211023c211023d221008
041 akorhgrc
056 a160.2325
245 00 a국가 /d플라톤 지음 ;e천병희 옮김
260 a고양 :b숲,c2013g(2017 7쇄)
300 a592 p. :b삽화, 연보 ;c21 cm
500 z원서편집자: S. R. Slings
500 a이 책은 기초교양대학의 고전읽기 수업 도서임
504 a참고문헌: p. 592
507 tPoliteia
507 tPlatonis Rempublicam
700 a플라톤,dB.C. 427-B.C. 347,e지음
700 a천병희,e옮김
900 aPlaton
900 aSlings, S. R.
950 0 b\35000
국가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국가
저자명
플라톤 지음 천병희 옮김
발행사항
고양 : 2013
형태사항
592 p : 삽화, 연보 ; 21 cm
주기사항
이 책은 기초교양대학의 고전읽기 수업 도서임 / 참고문헌: p. 592

소장정보

청구기호 : 160.23 플292국ㄱ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300297
청구기호
160.23 플292국ㄱ
별치기호
소장위치
자연대보존서고Ⅱ
대출상태
대출불가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330884
청구기호
160.23 플292국ㄱ =2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대출상태
대출중 ( 2025.03.06 ~ 2025.03.20 )
반납예정일
2025.03.20
서비스
등록번호
E1330885
청구기호
160.23 플292국ㄱ =3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30886
청구기호
160.23 플292국ㄱ =4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330887
청구기호
160.23 플292국ㄱ =5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김태일
김민우
2022-05-01
필자는 책의 제목을 보고 궁금증을 만들었다. 책의 제목이 \’국가는 내 돈을 어떻게 쓰는가\’인데 자신의 돈은 자기가 쓰는건데 왜 국가가 나의 돈을 쓰는 것 인가에 대해 의문점을 가졌다. 필자는 제목을 보며 이 책의 내용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국가가 나의 돈을 어떻게 쓰냐에 따라 국가가 제대로 된 일을 위해 돈을 쓰는지 아니면 국가가 나의 돈을 써야만 하는 이유라는 것을 알려 줄 수도 있는 책이라고 생각했다. 이 책이 제기하는 핵심 주장은 우리나라의 경제상황과 지금까지 우리나라 정부가 어떤 활동들에 대해 우리의 세금등을 사용하거나 이 활동들이 정말 우리 사회에 가치있고 헌신적인 활동들인지 궁금한 점들을 나타낸다.  저자는 정부의 경제활동은 세 가지 기본활동으로 설명 할 수 있다고 나타내었다. 첫 번째는 시장에서 수급이 이루어지기 힘든 재화와 서비스를 공급하는 일이다. 다른 나라의 침입을 막는 일(국방), 사회법 질서를 유지하는 일(치안), 도로·항만·댐 같은 사회간접자본을 건설하는 일 등이 대표적인 사례라고 나타냈다. 두 번째로 경제를 안정시키고 성장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것도 재정의 역할이다. 필자는 수년 전 글로벌 금융위기로 경기가 침체되었을 때 정부가 돈을 풀어서 경제를 부양하려고 했던 것이 예가 된다고 말했다. 세 번째로는 소득분배를 개선하는 것도 재정의 역할이다. 사람들은 시장경제에서 일정 수준의 빈부 격차가 발생하는 것은 수용한다. 하지만 빈부 격차가 지나치게 심해지면 무언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이 책의 의의는 흥미로운 논리 실험, 요약해서 제시한 여러 가지 통계와 지표들, 세금의 의의와 바람직한 분배 상태를 둘러싼 다양한 논리 등은 그 자체를 읽는 것만으로도 시장에만 치우쳤던 경제학의 다른 한 축을 알아가는 지적 충족을 나타낸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