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c
001 2210080791571
005 20150609133310
007 ta
008 150609s2015 ulka b 000c kor
020 a9788961472159 g94000
020 a9788961471855 (세트)
035 a(KERIS)BIB000013767447
040 a211009c211009d221008
056 a00125
245 00 a상상력과 지식의 도약 /d김상환, e박영선, e장태순 엮음
260 a서울 :b이학사,c2015
300 a391 p. : b삽화 ;c23 cm
440 a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총서 = xKIAS transdisciplinary research library ;v003
500 jLead over imagination
500 a저자: 김상환, 김상현, 최문규, 오생근, 이지훈, 조민환, 조송식, 최경옥, 최재경, 박치완, 이강영, 김범준, 김상욱, 정지훈, 정소연, 신승철, 남문현
504 a참고문헌 수록
700 a김상환,e엮음
700 a박영선,e엮음
700 a장태순,e엮음
900 a김상현,e저
900 a최문규,e저
900 a오생근,e저
900 a이지훈,e저
900 a조민환,e저
900 a조송식,e저
900 a최경옥,e저
900 a최재경,e저
900 a박치완,e저
900 a이강영,e저
900 a김범준,e저
900 a김상욱,e저
900 a정지훈,e저
900 a정소연,e저
900 a신승철,e저
900 a남문현,e저
950 0 b\25000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
저자명
김상환 엮음 박영선 엮음 장태순 엮음
총서명
고등과학원 초학제연구총서 = xKIAS transdisciplinary research library ; v003
발행사항
서울 : 이학사 2015
형태사항
391 p : 삽화 ; 23 cm
주기사항
저자: 김상환, 김상현, 최문규, 오생근, 이지훈, 조민환, 조송식, 최경옥, 최재경, 박치완, 이강영, 김범준, 김상욱, 정지훈, 정소연, 신승철, 남문현 / 참고문헌 수록

소장정보

청구기호 : 001 김52상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299804
청구기호
001 김52상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김상환,
2016-09-05
오늘 상상력과 지식의 도약이라는 책을 빌렸다. 상상력이라 함은 사전적의미는 실제로 경험하지 않은 현상이나 사물에다여 마음속으로 그려보는 힘이라고 정의되어 있다. 이 책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 상상력을 통해서 사물을 정의하고 또한 지금까지 알고잇는 지식을 통해서 새로운 것을 만들거나 터득한 내용들을 담고 있었다. 그 중에서 나는 세종대왕님과 장영실의 상상력과 창의성이 돋보이는 자격루 창제에 감명을 많이 받았다. 그 시대에만 하더라도정확한 시간을 알기란 어려웠다. 있어봐야 해시계나 물시계였는데 여기서 말하는 시계들을 일일히 시계관리자들이 잣대의 눈금을 이용하여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이였지만 자격루는 자동적으로 시간을 말해주는 인형시계 즉 자동화된 시계였다. 그당시만 하더라도 이렇게 자동적인 방식은 많지 않았는데, 왜냐하면 경점지기라고 하여 수동적으로 시간을 읽는 방식이 보편화되어 있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세종은 이러한 시계가 오래되고 시간을 제대로 나타내지 못한다고 하여 관념적인 생각을 버리고 창의적인 생각으로 정확하고 새로운 방식으로 시간을 알수  없을까 생각을 했다. 그리하여 그당시 지식적으로 풍부했던 장영실을 이용하여 자격루라는 창의적인 발명품을 개발하였다. 세종처럼 불편하고 좀 더 편하게 바꿀 수 있는것에 대해 상상하고 창의력있게 생각하는 그런 점 그리고 장영실처럼 그러한 작품을 만들 수 있는 지식적인 내용 이러한 것이 지금 내게 필요한 가 아닌가 싶었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