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001 2210080078273
005 20050831000000
008 960204s ja 000a jpn
040 a221008
056 a166.423
110 a일본법철학회
245 00 a社會契約論 /d日本法哲學會 編.
260 a東京 :b有斐閣,c昭和59[1984].
300 a228p. ;c22cm.
440 a法哲學年報(1983)
650 a사회계약론
950 0 aFB
社會契約論
종류
단행본 동양서
서명
社會契約論
저자명
총서명
法哲學年報(1983)
발행사항
東京 : 有斐閣 昭和59[1984].
형태사항
228p ; 22cm.

소장정보

청구기호 : 166.4 일45사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210545
청구기호
166.4 일45사
별치기호
소장위치
의학도서분관 보존서고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일본법철학회
2011-01-13
세상을 등지고 혼자 살아가는 사람도 아주 없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사람은 사회를 이루고 살아가기 마련이다. 가족이라는 작은 단위의 사회에서부터 크게는 국가, 더 크게는 지구촌이라는 사회 속에서 살아간다. 가족이라는 사회 단위 가장 기본적, 원초적인 삶의 자리에서 비롯되는 사회와 우리가 보통 말하는 사회, 즉 ‘한국 사회’니, ‘사회 정의를 실현해야 한다.’느니 하는 말에 등장하는 사회는 사뭇 다르다. 후자의 사회는 혈연관계가 아니라 타인들과 형성한 공동체가 되는 것인데 그렇다면, 여기서 우리는 다음과 같이 쉽게 풀리지 않는 질문을 던져 볼 수 있을 있다. 도대체 사람은 사회를 왜, 어떻게 형성한 것일까? 사람은 왜 하필 지배자가 있고 피지배자가 있는 사회를 이루었던 것일까? 국가라는 사회는 왜 필요한 것일까? 국가가 없는 상태가 인간이 보다 더 자유로울 수 있는 상태가 아닐까? 이것에 대하여 장 자크 루소는 ‘사회계약론’ 첫 부분에서 이렇게 말한다. “사회적 질서는 신성한 권리로서 다른 모든 것의 기초를 이룬다. 그런데 이 권리는 자연에서 나오지 않는다. 그것은 계약에 기초를 둔다.” 루소의 사회계약론은 훗날 존 로크에게로 이어져, 급진적인 직접 민주주의의 요구를 촉발시켰고, 이것은 결국 근대 유럽의 시민 혁명의 사상적 기초가 되었다. 민주주의에 대하여 깊이 생각하고자 한다면, 우리는 오늘날에도 루소가 ‘사회계약론’에서 전개한 통찰을 다시 한 번 되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