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c
001 2210080773998
005 20140422152205
007 ta
008 140321s2014 ulk 000c kor
020 a9788932026114g03100 :c\12000
035 a(KERIS)BIB000013425323
040 aKYOBOcKYOBOd211046d221008
041 akorhger
056 a331.525
245 00 a투명사회 /d한병철 지음 ;e김태환 옮김
260 a서울 :b문학과지성사,c2014
300 a235 p. ;c20 cm
505 t투명사회 --t무리 속에서 : 디지털의 풍경들
507 tTransparenzgesellschaft
507 tIm Schwarm :
700 a한병철
700 a김태환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3425323
950 0 b\12000
투명사회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투명사회
발행사항
서울 : 문학과지성사 2014
형태사항
235 p ; 20 cm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331.5 한44투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280021
청구기호
331.5 한44투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1자료실(한림도서관4층)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280022
청구기호
331.5 한44투 =2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자료실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서가부재도서 신고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281978
청구기호
331.5 한44투 =3
별치기호
소장위치
자연대보존서고Ⅱ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한병철
2016-09-12
이 책에서 말하는 투명사회라는 것은 좋은의미로 투명성이 발휘되어 깨끗해진다는 뜻이 아니다.정보화사회에 들어서면서 거의 모든 사람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SNS를 이용하면서 사회에서 일어나는 모든일들과 문제들에 자연스럽게 노출되는데 그것이 여과가 되지않고 바로 노출되기때문에 투명사회가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앞서 말했듯이 이 투명사회는 폭력적이다. 모든 매체에 노출되면서 여과없이 강제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기 때문에 너무나 자연스럽게 사람들은 그것을 받아들이고 그 사실만을 '확인'하고 넘어가기가 다반사이다. 그런 이유로 이 투명성은 사람들의 생각과 사색을 없애버린다.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거나 사건이 발생하면 생각과 고뇌의 시간을 거치는 과정에서 사람과 사회는 발전을 이룰 수 있다 그러나 이 투명사회는 그런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 물음에 바로 답이 나오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을 알게되면서 정말 나 자신이 무의식적으로 정보를 보고 시간을 때우려고 하는 행위들이 정말 무의미 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앞으로는 이 사회와 사람들이 생각과 고뇌의 시간을 가졌으면 한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