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k
001 2210080758950
005 20130422153133
007 ta
008 130422s2013 ggkac 000a bkor
020 a8997918079
020 a9788997918072g03990 :c₩15,000
035 a(KERIS)REQ000027483760
040 a223009c223009d221008
056 a650.9925
245 00 a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b김환기 탄생 100주년 기념 /d이충렬 지음
260 a파주 :b유리창,c2013
300 a325 p. :b삽도, 초상 ;c23 cm
504 a참고문헌: p. 322-325
600 a김환기,d1913-1974
700 1 a이충렬,d1954-
950 0 b₩15,000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김환기 탄생 100주년 기념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김환기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김환기 탄생 100주년 기념
저자명
발행사항
파주 : 유리창 2013
형태사항
325 p : 삽도, 초상 ; 23 cm
주기사항
참고문헌: p. 322-325
주제

소장정보

청구기호 : 650.99 이85김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263896
청구기호
650.99 이85김
별치기호
소장위치
제2자료실(한림도서관5층)
대출상태
대출중 ( 2023.12.01 ~ 2023.12.15 )
반납예정일
2023.12.15
서비스

책소개

동아인 서평

이충렬,
최민영
2020-12-21
수화 김환기는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하기 위해 끝없는 연구와 고뇌를 반복했다. 또한 김환기는 ‘조선적인 것’, 민족의 정서를 화폭에 담고자 하였다. 그러기 위해서는 민족의 정서가 무엇인지, 무엇이 조선인지 알아야 했기에 수화는 금강산에 올라 그림을 그리기도 하였다.  수화의 이러한 고민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결부시킬 수 있을 것이다. “나는 누구인가, 어디에서 왔으며 어디를 향해 가고 있는가?”  세상의 본질과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끊임없이 탐구하던 수화의 고뇌를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은 자아에 대한 깊은 탐구를 하는 인간이라면 한번쯤 해봤을 질문이다. 나는 누구인가, 나의 뿌리는 무엇인가, 나의 민족이란, 나의 민족의 역사는 무엇인가…  수화는 무수한 질문의 끝에서 민족의 정서와 당면했다. 그는 산을 그렸다. 또 백자와 달과 학을 그렸다. 고향 안좌도를 그렸다. 그리운 이들을 기억하며 점을 찍었다. 그리하여 수화는 민족적 정서가 곧 세계적 정서라는 확고한 신념을 가지게 되었다. 가장 수화다운, 수화만의 그림을 그리기 위해 끊임없이 탐구한 그는 결국 자신의 정체성을 깨닫고 본인만의 고유하고 고고한 그림을 그렸다. 이 책을 읽다보면 ‘오직 한없이 가지고 싶은 것은 높은 문화의 힘’이라던 백범 김구선생의 말씀이 떠오른다. K-pop의 위상이 커짐에 따라 한국은 문화강국의 반열에 올랐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미술계는 어떠한가. 글쎄, 한국미술을 주류문화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김환기라는 인물에 대해 이토록 무지했던 필자만 보아도 명백히 드러난다. 피카소의 이름만 대면 다 아는 이들이 유영국, 변월룡, 박래현의 이름을 모르고 있다는 것에 애통할 뿐이다.   우리는 문화인들이 설 곳을 마련해주어야한다. 거창할 것은 없다. 우리는 그저 한국미술계에서 눈을 떼지 않으면 된다. 그리고 아무리 낯선 장르의 것이어도 너그러운 마음으로 살펴보아야 한다. 우리의 무지를 인지하고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취해야 한다. 모던보이와 모던걸의 거실에 어울릴만한 그림을 그리지 않아 민족에게 인정 받지 못하고 궁핍한 삶을 살았던 제 2의 김환기가 나오지 않도록.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