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c
001 2210080742627
005 20120612144749
007 ta
008 120612s2011 ulkd 001c kor
020 a9788976827579g03320:c\15000
023 aCIP2011004572
035 a(KERIS)BIB000012590519
040 a221008
041 akorhjpn
056 a321.9225
245 00 a경제는 왜 위기에 빠지는가 :b알기 쉬운 공황·불황의 경제학 /d하야시 나오미치 지음 ;e유승민,e양경욱 옮김
260 a서울 :b그린비출판사,c2011
300 a304 p. :b도표 ;c22 cm
440 a새움총서 ;v03
500 a색인수록
500 a원저자명 "하야시 나오미"의 한자음 표기: "林直道"
500 a감수: 김성구
507 t恐慌·不況の経済学
546 a일본어 원작을 한국어로 번역
650 a경제 위기[經濟危機]2NLSH
650 a공황(경제)[恐慌]2NLSH
650 a불황[不況]2NLSH
700 a하야시 나오미치
700 a임직도
700 a유승민
700 a양경욱
700 a김성구
700 a하야시 나오미치wKAC200713220
856 3Table of Contentsuhttp://www.riss.kr/Keris_abstoc.do?no=12590519
900 a림직도
900 a임직도
950 0 b\15000
경제는 왜 위기에 빠지는가 :알기 쉬운 공황·불황의 경제학
종류
단행본 국내서
서명
경제는 왜 위기에 빠지는가 :알기 쉬운 공황·불황의 경제학
총서명
새움총서 ; v03
발행사항
서울 : 그린비출판사 2011
형태사항
304 p : 도표 ; 22 cm
주기사항
색인수록 / 원저자명 "하야시 나오미"의 한자음 표기: "林直道" / 감수: 김성구
관련 URL

소장정보

청구기호 : 321.92 임78경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247114
청구기호
321.92 임78경
별치기호
소장위치
자연대보존서고Ⅱ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하야시 나오미치
2012-10-10
하야시 나오미치는 맑스와 마찬가지로 억압받는 노동자들을 보고 그들을 위기에서 탈출 시키고자 했습니다. 『자본론』에서 상품은 사용가치와 교환가치로 나누어지며 상품의 가치는 평균 노동시간이라 말해줍니다. 그러니 노동은 최고의 가치라 할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왜 죽도록 일하는 노동자는 항상 가난하고 부자들은 놀고, 먹는데 부유할까요? 그 이유는 ‘이윤’때문입니다. 빵 하나에 3,000원, 하루에 노동자는 빵 8개를 생산 할 수 있다고 가정 했을 때 빵 8개의 가치는 24,000원입니다. 그러나 노동자에게 임금은 3,000원 밖에 없습니다. 자본가들이 노동자를 착취함으로 그들은 더 부해지고, 노동자들은 더 힘들어 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산업혁명 이후 기계의 발전으로 실업은 더해가고, 임금은 내려갔습니다. 사회가 이렇게 된다면 상품은 팔리지 않을 것이며 기업과 자본가도 결국 망하게 될 것이라는 것이 공황입니다. 그리고 자본주의는 붕괴 할 것이며 노동자들의 혁명으로 사회주의가 발전하게 될 것(변증법)이라 맑스는 주장합니다.『경제는 왜 위기에 빠지는가』에서 공황을 이렇게 설명합니다. 호황 시기에 생산에는 과도한 투자가 이루어지는데, 여기에 ‘생산과 소비의 모순’이라는 문제가 함께 작용하면서 경제위기는 더욱 심화된다고 말입니다. 즉 생산과 보조를 맞춰야 할 소비에 대해서는 “이윤 확대의 손쉬운 수단을 임금 절약에서 구하고(노동 착취), 되도록 고용을 늘리지 않으려 하며, 구조조정을 강요(실업 증가)”함으로써 상품의 최종 구매자인 대중의 소비구매력을 제한하는 터무니없는 모순이 자본주의를 경기순환 밖으로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붙들어 매고 있다는 것입니다. 2010년 제5차 G20 서울 정상회의에서 세계 주요국의 정상들이 대형 금융기관 구제와 대기업 융자에 대한 막대한 재정 자금 투입을 결의한 반면, 곳곳에서 ‘위기’의 주요 원인으로 복지 지출을 지목하고 나섰던 일은 오늘의 자본주의 경제가 더 이상 민주주의와 양립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닐까를 생각하게 하였던 책이었습니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