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cam k
001 2210080695575
005 20100817153705
007 ta
008 990619s1999 ulka 000c kor
020 a8972912255
035 a(KERIS)BIB000007119520
040 a211044c211044d211044d221008
056 a911.0325
245 00 a(사진과 함께 읽는)삼국유사 /d일연 [저];e리상호 옮김;e강운구 사진
260 a서울:b까치글방,c1999.
300 a464 p. :b부분색채삽도 ;c23 cm.
440 a까치글방;v156
500 a사진 : 강운구
500 a이 책은 1960년 북한 과학원 고전 연구실에서 번역 출간한 「삼국유사」(리상호 옮김)를 대본으로 함
500 a원저자명: 一然
700 a일연
700 a리상호
700 a조운찬
700 a강운구
950 0 b\20000
(사진과 함께 읽는)삼국유사
종류
단행본 동양서
서명
(사진과 함께 읽는)삼국유사
총서명
까치글방; v156
발행사항
서울: 까치글방 1999.
형태사항
464 p : 부분색채삽도 ; 23 cm.
주기사항
사진 : 강운구 / 이 책은 1960년 북한 과학원 고전 연구실에서 번역 출간한 「삼국유사」(리상호 옮김)를 대본으로 함 / 원저자명: 一然
ISBN

소장정보

청구기호 : 911.03 일64삼ㄹ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0865392
청구기호
911.03 일64삼ㄹ
별치기호
소장위치
자연대보존서고Ⅱ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일연
2011-04-25
보통 역사서하면 삼국사기를 .. 삼국유사는 소설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삼국사기의 경우, 기전체로 서술하면서 역사서의 형식적인 면을 모두 갖추고 있고 그 내용 전개 또한삼국의 역사를 비교적 객관적이고 사실적으로 서술하려고 했기 때문에 가장 오래되고 중요한 역사서로 본다 반면 삼국유사는 신이한 설화형태의 믿기 힘든 이야기적 서술이 많기 때문에 이를 역사서라 보지 않았다가 20세기가 되어서야 그 문화적 형태로써 더 가치를 두면서 고대문화의 역사서로서의 가치를 인정받기 시작했다. 그리고 삼국유사는 기존의 역사서에서는 볼 수 없는 고대사회의 신앙, 특히 불교사에 대해 많은 자료를 제공하고 있고 삼국사기보다 내용이 방대하기 때문에 정치 경제 및 역사와 문화 등 고대사의 역사, 문화적 모습을 모두 볼 수 있는 재미가 있다. 또한 신이한 설화 중심이기에 고대의 문화를 더 심층적으로 보고 이해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닌다. 그래서 오늘날의 사람들도 고대문화의 모습을 체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는 서적이며,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고 있다면 한문과 불교를 문명의 상징으로 받아들였던 당시 고려인의 자긍심 또한 볼 수 있다.  이렇게 일연의 사회의식을 보면서 고대 사람들의 삶도 같이 느껴보면 좋을 책이다.  
전체 메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