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자료

>>
소장자료
>
000 nam k
001 2210080623960
005 20080317100047
007 ta
008 071002s2007 ulkaj b 001c kor
020 a9788934926689g04900
035 a(KERIS)BIB000011038828
040 a221008d221008
056 a911.0524
245 00 a왕을 낳은 후궁들 /d최선경 지음.
260 a서울 :b김영사,c2007.
300 a236 p. :b채색삽도, 연보 ;c22 cm.
490 a표정있는역사
500 00 a각 장마다 연표 수록
504 a참고문헌(p. 228-230)과 색인수록.
700 1 a최선경
950 0 b₩9900
왕을 낳은 후궁들
종류
단행본 동양서
서명
왕을 낳은 후궁들
저자명
발행사항
서울 : 김영사 2007.
형태사항
236 p : 채색삽도, 연보 ; 22 cm.
주기사항
각 장마다 연표 수록 / 참고문헌(p. 228-230)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청구기호 : 911.05 최54왕
도서예약
서가부재도서 신고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우선정리신청
검색지인쇄
등록번호 청구기호 별치기호 소장위치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서비스
등록번호
E1002171
청구기호
911.05 최54왕
별치기호
소장위치
자연대보존서고Ⅱ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002486
청구기호
911.05 최54왕 =2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보존서고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등록번호
E1025732
청구기호
911.05 최54왕 =3
별치기호
소장위치
부민보존서고
대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서비스
보존서고신청
캠퍼스대출

책소개

동아인 서평

최선경
2016-12-21
남자가 귀한 조선 왕조에서는 적통 왕후의 소생이 아닌 첩의 몸에서 태어난, 후궁 소생 왕자들이 선왕의 보위를 이어받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조선조 후궁은 숙종의 영빈 김씨처럼 왕후와 유사하게 정식 간택절차를 거쳐 매우 높은 품계와 함께 궁궐 생활을 시작한 후궁이 있는가 하면, 신분이 낮은 궁녀로 들어와 우연히 왕의 관심을 받아 후궁에 오른 경우도 있었다. 얼마전 개봉한 영화 '사도'의 주인공인 사도세자 역시 영조와 그의 후궁인 영빈 이씨의 소생으로 아주 어린 나이에 세자의 자리에 올랐다. 물론 세자의 신분으로 죽음을 맞지만, 훗날 정조에 의해 장조로 추존된다. 사도세자가 장조로 추존되면서 그의 어머니인 영빈 이씨 또한 왕의 생모로서 귀하디 귀한 신분이 되었다. 조선왕조 500여년의 시간동안 후궁의 몸에서 서자로 태어나 보위까지 오른 왕과 그 생모는 단종 – 현덕왕후 권씨(문종의 세자시절 후궁으로 입궁하였다.) 연산군 – 폐비 윤씨(성종의 후궁 숙의 윤씨 -> 왕후가 되었다.) 광해군 – 공빈 김씨 경종 – 희빈 장씨(중인 역관 출신으로 궁녀로 시작해 왕후까지 올라간 처음이자 마지막 여인) 영조 – 숙빈 최씨(무수리 등 매우 낮은 신분으로 알려진 숙종의 후궁) 사도세자(장조) – 앞서 언급한 영빈 이씨 순조 – 수빈 박씨(정조의 후궁으로 정식 간택절차를 통해 들어온 신분이 높은 후궁이다.) 영친왕 – 순헌황귀비 엄씨(명성황후의 시녀였는데 왕후 사후에 후궁이 되었다.) 대부분의 역사 책은 남성의 중심으로 많이 서술되어 있는데 이 책은 신기하게도 조선 역사에서 잘 다루지 않는 여성들… 그것도 왕의 정식 부인이 아닌 후궁들의 이야기를 다루었다는 점에서 흥미가 끌렸다.
전체 메뉴 보기